베트남 북부평야지역에서의 베트남인들의 생태문화

트란 르 바오
(하노이 국립사범대학교 교수)

vn_20100221121.jpg 

과학기술에 의한 문명생활이 날로 발전함과, 특히 서양국가들로부터 시작된 자연정복 의지와 함께
인류는 바로 자신의 가옥이 무너지고 살아가는 환경이 말살되는 비극 앞에 놓이게 되었다. 모든 지역에
서 심각한 환경오염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기후는 날이 갈수록 상승하고 있으며, 해수면도 따라 상승하
고 있다. 또한 자연재해도 날이 갈수록 지구상의 많은 지역에서 더욱 심각하게 일어나고 있다. 그 외에
도 전쟁과 테러는 여전히 인류의 골치 아픈 문제가 되고 있으며, 마약, HIV 문제도 많은 역내 국가를
휩쓸고 있다. 부녀자 및 아동 매매, 빈곤문제는 세계인구의 1/4을 항상 위협하고 있다. 부정부패, 빈부
격차 또한 많은 국가에서 일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것이 기존의 불안정한 사회 환경을 더욱 불안정하게
변화시키고 있다.
위의 모든 문제는 21세기 초반 세계적 환경의 모습이다. 인류는 이러한 환경에 처해 있으며 인류는
적시에 위에 언급한 재난들을 막아 냄으로써 보다 안정되고 깨끗한 사회와 자연의 생활환경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인류가 자연환경에 대한 적절한 대응방안과, 과거의 삶의 방식을 스스로 버려야
할 필요가 있으며, 친자연적이고 자연과 조화로운 삶의 원칙을 유지할 것과, 인문생태환경을 조성할 것
을 요구하고 있다.
자연과 사회간 상호작용의 과정 속에서, 모든 민족공동체들은 서로 다른 삶의 환경(생태환경)의 조건
에 따라 서로 다른 대응방안과 태도를 갖게 될 것이다. 그것으로부터 서로 다른 많은 문화적인 가치를
창조해 낸다. 이러한 문화적 가치들은 바로 사람들이 사회와 자연환경에 대한 오래된 대응 경험의 결정
체인 것이고 또한 각각의 공동체의 문화 창조 및 적응을 증명하는 것이며, 지역의 문화적인 다양함과
통일성에 기여하는 것이다. 북부평야지역 베트남사람들의 생태문화 또한 바로 위와 같은 규율에 의해
탄생하였다. 그래서 북부평야지역의 독특한 문화적인 특징을 갖고 있음과 동시에 베트남지역 그리고 동
남아 지역 더 나아가서는 동아시아지역의 공통된 특징들도 갖고 있다.
그러므로 동아시아문화의 기원을 찾고, 삶의 환경에 대한 그들의 대처방안과 삶의 관념들을 발견해
내고, 말살되어질 수도 있다는 위기에 봉착한 현대인 삶의 환경에 적용될 실제적이고 유익한 점들을 찾
아내는 것은 모두 시급한 일들이다. 인류는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삶의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같은 소
리를 내서 손을 내밀어 함께 협력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인문적인 것이며, 시대적시급성을 갖는 것이
다.

1. 생태문화와 동아시아 생태관념
1.1 생태문화
생태환경 또는 삶의 환경이라고 불리 우는 것은 사회환경과 자연환경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를 둘러
싼 삶의 공간이며, 사람을 포함한 모든 살아있는 것들의 적극적인 삶의 한 영역이다. 그중에서도 중요
한 것은 그 주변 환경에 대한 인류사회 그리고 사람과 동식물들의 살아있는 몸체와의 상호작용 관계이
다.
환경이란 인류의 삶에 있어서 특별하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환경은 사람과 인류사회의 삶의 공간
일 뿐만이 아니라 인류사회와 인간을 포함하는 만물의 삶을 보장하고 직접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물
질적인 원료를 공급해 준다. 동시에 사람의 생활과 생산으로 부터 발생되는 쓰레기들을 직접적으로 받
아들이고 변화시켜준다. 그러나 환경은 또한 살아있는 실체이고, 자연의 규율에 따라 운행되며, 생물학
의 주기에 따라 운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주기라는 것은 객관성외에도 수 천 년 동안 인류사회와 사람
들의 크고 작은 영향력에 따르기도 한다.
300년 동안의 자본주의 발전은 300년 동안의 과학의 발전이였고, 재화가 날로 더 많이 생산되었으
며, 날로 높아지는 인류사회의 수요에 응답하였으나, 동시에 300년 동안의 엄중한 환경 파괴를 가져왔
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환경도덕문제에 대해 언급하지 않을 수가 없다. 즉 사람과 자연간의 관계, 사회
속에서 사람과 사람사이의 관계의 조화성을 살펴보고 해결하는 일에 대해 언급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
도달하는 것은 또한 인간성을 갖고 있는 삶의 환경을 건설하는 것이며, 생태문화를 건설하는 것이다.
자연 속에서의 모든 생물은 많은 기능을 갖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2가지 가장 중요한 기능을 갖게 되
는데 그것은 바로 자기 자신 그대로의 기능과 사용으로서의 기능이다. 자연환경도 또한 그러하다 오랜
세월 동안 사람들은 그것의 사용기능에 대해 보통 관심을 가져왔다. 그것은 삶의 공간, 일하는 공간을
개척하는 일이며, 사람과 사회의 삶에 서비스하기 위한 물질원료를 개발하는 것이고, 자연을 모든 생활
쓰레기, 공업쓰레기들을 담은 거대한 쓰레기통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환경
자신의 가치는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하며, 자원의 원천이 고갈되고, 환경은 심각하게 오염되어 지는
것이다. 바로 환경 자신 또한 스스로 더 이상 조절할 수 없게 되어 진다. 그러므로 모든 형식의 천재지
변이 우리의 행성을 점차 더 사납게 전행성적으로 강타하고, 수십만의 생물과 얼마인지도 모를 많은 노
동의 성과들을 파멸시키고 있다. 이러한 관계들을 조화롭게 조절할 수 있다면, 사람들은 여전히 좋은
삶을 보장할 수 있고, 삶의 환경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만들 수 있게 된다. 이것이 바로 환경도덕의 기초
이다.
사회 환경 속에서 도덕을 이야기 하는 것은 경제발전을 증강시키는 것이고, 사회의 공평을 보장하는
것이고, 생활환경의 안전을 유지하는 것이다. 물질과 정신적 삶의 보장을 날이 갈수록 높이는 것은 삶
의 기회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공평함을 가져다주고, 모든 계층, 나이, 성별의 평등, 사회 속에서 각각의
국민들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평등함을 가져다준다.
그러므로 사회생태학분야는 사회와 지리환경, 사회와 주변문화의 관계에 대해 연구할 목적으로 생겨
났다. 그것은 문화적 활동과 주변 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개조에 대해 직접적이고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
었다. 사회생태학은 자연환경과 사회환경사이의 통일관계를 연구하고 ‘자연-사회’라는 통일체를 만들
어 낸다. 그리고 생태문제의 통계수치를 찾아내고, 자연환경에 대한 친화적인 대응방법들을 권고하고,
문화적인 방법에 따라 자연자원을 개발하고, 생산발전조건 속에서 인간의 가치의 지향에 대해 영향을
주고, 인성의 완성과 발전을 목적으로 한다.
생태문화라는 것의 본질은 인류의 문화-개조활동(우선 생산 활동)과 주변자연환경의 안정성사이에서
의 모순을 나타내는 것이다. 모든 종류의 생물들은 생존의 가능성을 갖고 있고 삶의 환경 규율에 참여
하고, 생물권의 정보, 에너지, 질적인 것을 교환하는 것을 포함한 생물학적인 주기의 자연규율(질서와,
자율조정, 자율조직, 자율보호, 자정성 등)에 따른다. 사람과 사회는 자연의 고도성장에 힘입어 태어나
며, 또한 생물계의 한 종류이고, 이 행성위의 모든 다른 종류의 생물과 마찬가지로 상기의 주기에 참여
해야만 한다.
비록 자연의 발전주기에 있어 보다 늦게 출현했지만, 사람들은 다른 어떤 종류의 생물 보다도 더 종
합적인 능력을 갖고 있다. 사회 환경의 주체라는 자격으로 스스로 창조해낸 과는 술의 힘과 지혜로 사
람은 모든 종류의 생물보다도 자연환경에 대해 강한 영향을 주었다. 자연환경에 대한 적응으로 부터 생
존을 자격으자연환경의 활용까지 사람들은 점차 힘과 정복하고 개조해나감으로써 사회의 정신적 물질
적 삶을 날이 갈수록 발전하게 하였다. 문명이 날로 발전해 가는 과정은 또한 사람이 환경에 많은 영향
을 주었을 때이다. 심지어는 사회적인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환경을 파괴하였을 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의 적응력과 삶의 환경 모두는 한계를 갖고 있다. 만약 일정한 한계를 넘어서
면 사람의 적응능력과 삶의 환경은 파괴되고, 많은 자연재해가 발생하며 지구상의 모든 생물이 멸망이
라는 참화에 빠질 수 있는 위기를 제공하기도 한다. 고도로 발전된 기술문명의 시대에 물질의 생산은
어떤 시기보다도 많고, 자연환경에 대한 인간의 파괴행위는 거의 마지막 단계에 까지 다다르고 있으며,
매우 심각한 오염의 상황에 처해있다. 환경과 사람의 적응능력은 모두 더 이상 견뎌낼 수 없다. 생태안
전문제는 개인과 사회의 활동방향을 변화하는 것을 기초로 해야 해결할 수 있으며, 소비사상을 버리고,
견고한 생태문화기초를 건설해야만 한다.
유엔총회에서 환경문제를 중요한 문제로 여기고, 1972년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세계 환경에 관한 회
의에서 6월 5일을 세계환경의 날로 삼은 것은 우연이 아니다.
오늘날 사람들은 전 지구적인 환경파괴의 기본적인 원인들을 숲의 파괴, 도시화, 기후변화로 정리하
였다. 전 세계 모든 지역에서 가장 분명하게 나타나는 변화인 스페인 동남부지역의 온실현상의 확대,
라틴아메리카 아시아지역에서의 새우양식의 빠른 증가, 극지방의 빙하가 녹아내리는 것에 의한 작용들,
남미지역에서의 숲을 파괴하는 행위, 아프리카 사하라인근 지방에서의 숲을 불태우는 것 등등 모두는
2009년 6월 5일 세계환경의 날 행사 일에 세계 환경지도에 표시되었다.
그러므로 환경안전을 유지하는 일에 사용하기 위한 환경에 대한 동아시아 사람들의 친환경적 대처방
안들은 유익한 것이고, 환경문제에 관한 유엔총회의 외침을 향유하는데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인류의
지붕인 지구의 안전을 위한 개인 각자의 행위와 인식에 까지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

1.2 동아시아에서의 생태문화에 관한 관념들
중국, 인도 등과 같은 동방문명들은 주로 벼농사문화의 기원으로부터 태어났다. 자연과의 상호작용과
정의 실제로부터 동방의 사람들은 단지 달의 운행과 성운 그리고 계절에 따른 비와 바람의 변화에 대해
서만 관심을 가졌다. 그들은 단지 자연에 순응하는 것을 중요시 여겼으며, 재배로부터 시작해서 생산물
들을 수확할 수 있었다. 삶을 유지하기 위해 자연을 개조하고 적응하는 일로부터 동방사람들은 자연에
대한 대응원칙과 관념들을 찾아내었다.: 사람들은 자연과 하늘, 땅과 함께 조화롭게 살아야 한다. “하늘
-땅-사람”, “하늘과 사람은 서로 상응한다.” 노자의 가르침인 “사람들은 자연의 규율에 따라 순응한다
(모든 만물은 기원으로 돌아간다. - 4계절에 따라 준행한다는 관념)”. 노자는 또한 무위(자연과 사회의
운행이 조화의 규율에 따라 진행되도록 무엇도 하지 않는다)를 언급했다. 기원전 500년 전 공자가 이야
기 했던 '和'(모든 사물을 균형되고 조화로운 상황으로 되돌리기 위해 모든 모순을 처리 한다)라는 단어
의 범주는 현재에 까지도 시사적인 의의를 지니고 있다. 사람과 우리의 사회는 불균형을 만들어 내고,
심지어는 생태환경을 심각하게 파괴하고, 생태지역들 사이의 모순과, 빈부의 모순, 종교 간의 모순, 정
치제도와 사람들의 생존권사이의 모순 등을 만들어 낸다.
동방의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지금까지 자연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사상을 간직해왔고, 아름다운 대처
방안들을 찾아내었고, 동방사람들의 풍부한 인문적인 특성들을 가져왔다. 아마 그러하기에 서방나라들
도 동방사람들의 자연에 대한 조화로운 삶의 방식을 찾는 것에 관심을 갖는 것 같다.
그러나 동방사람들의 자연에 대한 조화로운 삶의 관념들은 단지 낮은 발전수준의 생산에 적응되어져
있었다. 서방문명에 영향을 받게 되었을 때에는 시장경제와 마주쳐야했다. 경제발전에 대한 요구가 날
로 증가함에 따라 동방의 국가들은 생태환경이 파괴되어져야 하는 견고하지 못한 발전의 나쁜 결과들
을 감당해야만 했다. 발전을 위한 댓가는 실로 심각했다. 이러한 점은 21세기 베트남을 포함한 동방의
사람들이 환경이 날로 파괴되어져가는 상황에 대항하기위해 동방의 생태문화의 합리적인 가치들을 다
시 찾아야한다는 점을 상기시켜주고 있다.

2. 베트남생태와 대표적인 3곳의 생태지역
2.1 베트남 생태는 영토 국경을 포함하여 지리 공간으로 확정된 베트남 거주민 공동
체들의 삶의 공간이다 그중에서도 공동체의 지리적공간, 사회문화적공간과 더불
어 사람과 사회, 사람과 자연사이의 상호작용관계를 포함한다.
베트남은 동아시아생태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베트남은 동아시아인들의 생태에 관한 관념
과 생태의 공통점들을 갖고 있다. 그러나 또한 베트남생태만의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특징들도 갖고 있
다. 그래서 베트남인들은 베트남사람들의 생태환경에 대한 독특한 대응방안과 적응법들을 갖고 있다.
베트남은 면적이 넓고 큰 나라는 아니지만 동남아와 인도차이나반도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찾이
하고 있으며, 특히 반도의 동쪽 지역에 넓게 위치하고 있다. 북쪽은 중국과 접하고 있고, 동쪽은 동해와
접하고 있으며, 남쪽은 태국만과 접하고 있고, 서쪽은 라오스와 캄보디아와 접하고 있다. 베트남은 육지
동남아지역과 태평양서남쪽지역 주변에 속하는 군도들과 연결고리가 되고 있다. 오랜 옛날 베트남은 북
쪽에서 남으로 또는 남에서 북으로 올라가는 동식물들의 이동을 위한 교량역할을 하였다. 베트남은 도
한 고대 인도와 중국문명의 교차점이였으며, 이후에는 유럽과 아시아의 교차점이였다.
베트남은 넓은 들판을 갖고 있다. 산과 숲이 국가 면적의 4/3을 찾이 하고 있으며, 북쪽과 남쪽의 커
다란 평야는 홍강과 구룡강이라는 거대한 2강에 의해 조성되어졌다. 중간지역은 맑고 빨리 흐르는 짧은
강에 의한 작은 규모의 평야들이 있다. 이 2곳의 커다란 평야는 수 천 년 동안 베트남인들의 삶을 유지
시켜준 쌀을 생산하는 곡창지역이다. 현재 베트남은 세계 제2위의 쌀 수출국이다. 또한 동남아지역의
다른 나라들처럼 베트남에서도 쌀재배 기술이 꽤 일찍부터 시작되었고 오래된 전통을 갖고 있다.구불구
불한 강줄기들은 5백 만 헥타르에 달하는 비옥한 땅에 부사를 가져다주었고 이것은 쌀농사의 발전에
편리한 전제조건이 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강줄기들이 자주 홍수를 일으킨다. 쯔엉선은 베트남에서 가
장 긴 산맥으로 그 길이가 1,200키로이다. 산에는 석탄, 동, 철, 석유 등 아직 개발되지 않은 많은 광산
을 갖고 있으며, 많은 곳에서는 쉽게 개발할 수 있는 노천탄광도 있으며 매장량도 많다.
바다의 길이는 2,500키로이며, 전 세계로부터 많은 손님들이 여행을 오는 장소이다. 바다는 많은 종
류의 새우와 귀한 생산들이 서식한다. 바닷물은 염도가 높다. 그러므로 베트남은 세계적으로도 많은 소
금을 생산하는 국가들 중에 하나이다.
베트남의 기후는 계절풍의 습한 온대기후로 항상 습하고 더우며 강우량도 많다. 그래서 동식물이 자
라기에는 매우 편리한 환경을 갖고 있다. 특히 벼농사에 적합하다. 나무들은 사철 푸르러 베트남생태문
화에 충분한 생명력과 푸르름을 가져다준다. 그러한 기후들은 풍부하고 신선하고 아름다운 경치를 만들
어 주어 관광업이 쉽게 발전할 수 있으며 특별히 생태여행에 적합하다.
이곳의 자연은 편리하기만한 것이 아니라 매우 많은 어려운 점들도 있다. 가뭄과 홍수는 가장 큰 자
연재해이고 자주 발생한다(3~5년마다 큰 자연재해가 일어난다) 그로인해 사람과 재화에 큰 손실을 끼치
기도 한다. 최근에는 3~5년 주기의 자연재해가 거의 매년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가뭄과 홍수를 극복
하는 것은 시급한 문제로 베트남사람들은 수 천 년 전부터 이러한 환경에 적응하고 효과적이고 최소한
의 손실로 막을 수 있는 방법들을 찾는데 많은 관심을 가졌다.
위에 언급한 지리적측면의 문제들은 베트남에서의 생태환경에 대해 개괄적으로 보여준다. 그러나 사
회와 자연생태에 대해 보다 구체적이기 위해서 나는 베트남의 대표적인 3곳의 생태지역을 소개하고자
한다.

2.2 대표적인 3곳의 생태지역
사람들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서로 다른 생태지역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과 지리, 문화라
는 기준에 따르면 베트남은 다음과 같은 6개의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서부문화지역, 동북문화지역,
북부평야문화지역, 중부문화지역, 떠이응우웬문화지역, 남부문화지역. 그러나 자연생태지역에 대한 개괄
적인 기초에 의하면 베트남생태는 산악지역생태, 평야지역생태, 바다지역생태 등 3개의 대표적인 생태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베트남의 이러한 3곳의 자연생태지역은 각각의 지역에 있어서 거주민들의 문화적인 주체성과 삶의
방식을 만들어 가는 전제이다.

a. 산악생태지역
이 지역 주민들의 대부분은 소수민족들이며 산악지역의 가장 작은 행정단위인 “반(bản), 므엉
(mường)”을 이루어 살고 있다. 반은 10에서 몇 십체의 집들이 물이 있는 곳에 모여살고 있는 것이다.
산악지방의 민족들은 복잡하고 어려움이 많은 지형 즉 숲과 산, 그리고 Lo므엉, Thanh므엉과 같이 계
곡을 갖고 있는 삶의 환경에 적응해야 한다. 그러므로 그들의 경제발전정도는 매우 낮으며, 이전에는
대부분 자급자족경제에 의존해서 살았다. 농업생산은 주로 2가지 형태였는데 계곡의 밭과, 산등성이의
화전밭이다. 식량은 주로 옥수수, 쌀, 고구마, 무 등이다. 그외에도 자연숲에 들어가서 수렴이나 사냥을
하기도 하였다. 주거를 위한 집은 보통 nhà sàn(원두막형식의 집)으로 목재, 대나무, 나뭇잎 등 숲에 있
는 재료들을 사용하였다. 원두막형식의 집은 산의 독기와, 맹수의 위협을 피할 수 있었고, 집안에 부엌
을 두어 여름은 시원하고 겨울은 따듯하게 지낼 수 있었다. 원두막형식의 집은 일반적인 동남아산악지
역민족들과 특히 베트남산악지방 민족들에게 있어 자연에 대응하는 매우 창조적이고 독특한 건축양식
이다. 산악지역동포들의 의복은 매우 다양한 색상을 가고 있으며 일상복장과 전통예식복장을 갖고 있
다. 그러나 겨울에는 추위를 이기기 위해 면으로 만든 겉옷을 추가로 입는다. 교통수단은 주로 걷기나
말을 타는 것이다. 산악지방의 각각의 민족들은 많은 풍속, 습관 그리고 전통예식을 갖고 있다. 그중에
서도 일부 소수민족 공동체는 아직까지도 화전밭을 경작하고 있어 산림보호에 위협이 되기도 한다. 반
대로 다른 일부 소수민족들은 자연숭배사상에 의해 환경을 유지 보호하는 풍속을 갖고 있기도 하다. 그
들은 특별히 숲을 보호하고 지나치게 개발하는 것을 제한한다. 산악지방주민들의 신앙과 종교는 산신,
나무신, 번식신 등의 자연신앙과 관련이 있으며, 또한 다양한 종류의 귀신을 섬기는데 그중에는 조상숭
배도 있고, 민족영웅을 섬기기도 한다. 그러나 문명의 정도가 아직 높지 않으므로 소수민족공동체들은
귀신을 쫒음으로써 병을 치료하는 등 아직도 많은 낙후된 풍속을 유지하고 있기도 하다.

b. 해양생태지역
베트남의 해안은 2,500키로에 달한다. 이러한 환경은 인간이 바다에 잘 적응하기만 한다면 사람들이
살아나가는데 매우 편리한 생태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동시에 바다는 또한 지역사람들이 또 다른 문화
를 받아들이고 교류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주기도 하고, 반대로 많은 외국의 침략에 대항해야 하는
힘을 길러야 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경제, 문화, 사회발전에 편리한 조건을 갖고 있는 일부 해양도시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다른 해양지역의 사람들은 바다라는 자연환경에 대항하여야 하고, 원시적이고 비효
율적인 어선으로 인해 어려운 생활을 하고, 태풍 또한 자주 발생한다. 베트남의 어민들은 존재하기위해
서로 힘을 합쳐 반짜이(vạn chài)를 만들었다. 반짜이는 바다위에 사는 어민가구들의 가장 작은 행정단
위 집합체이다. 베트남해안지역 모든 곳에서 반짜이를 조직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상
대적으로 안정되고, 돌섬들이 둘러싸여있어 바다로부터의 큰 폭풍우들을 막을 수 있는 곳 이여야 한다.
대표적인 것은 하이퐁과 꽝닌성에 속한 해양지역에 있는 반짜이이다. 반짜이의 가족단위는 배이다. 주
된 배는 반짜이 주민의 집이자 생활의 방편으로 그들이 물고기를 잡으러 가기위해 사용된다고 말할 수
있다. 반짜이에는 행사, 예식, 놀이 등을 할 때 모일 수 있는 공동체공간과 같은 기능을 가진 큰 배들
도 있다. 바다위에서 살 수 없는 지역에서는 어민들은 바닷가에 몇 십 채 또는 몇 백 채씩 집단을 이루
어 어민마을을 이루어 살기도 한다. 어민들의 주된 삶의 원천은 해산물을 잡는 것이며, 생선별 시즌과
사용하는 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해산물을 얻을 수 있다. 어민들에게 있어서 고기를 잡으러
나가는 일은 남자의 몫이다. 여성들과 아이들은 집에서 가정 일을 돌본다. 어민들은 배를 반짜이 안을
돌아다니기 위한 교통수단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양식, 식량을 교환하기위한 목적으로 육지와 교류를
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반짜이 어민들의 의복은 수상생활에 적합하도록 간편하다. 그들은 또한 전
통예식을 위해 사용하는 화려한 색채의 의복을 갖추고 있다. 조상을 숭배하는 신앙이외에도 해안가지역
의 어민공동체들은 海神을 섬기는 신앙을 갖고 있으며, cá voi 라 불리는 물고기를 신성히여겨 일상의
안전과 남편과 아들이 바다로 나가 많은 해산물을 잡아올 수 있도록 기도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베트남의 바닷가와 산악생태지역은 일부 항구도시(하이퐁, 호치민, 다낭)를 제외하고는 크
게 발전하지 못하였다. 생태조건에 의해 삶의 환경은 생산과 교통로 등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
고, 특히 주민들의 의식수준이 매우 낮아 베트남사람들은 이러한 지역을 ‘깊고 먼 지역(오지)’ 또는 ‘해
안 및 도서지역’이라고 부름으로써 평야지역 또는 강주변의 충적토생태지역에 위치한 대도시지역인 ‘중
심지역과’ 대립되게 바라본다.
c. 주요 강들의 하류평야 생태지역
베트남에는 2곳의 강에 의한 충적토평야지역이 있는데 하나는 홍강, 타이빙강, 마강이 흐르는 지역인
북부지역이고, 또 한 곳은 남부지역의 구룡강 하류지역이다. 강들은 부사와 물이 풍부하고 이 유역의
지형이 상대적으로 평평한 모습이라 이곳주민들에게 편리한 생태환경조건을 제공하고 있으며, 동시에
자연에 적응하고 개조하는 과정을 통해서 각각의 공동체는 자신만의 문화적인 특색들을 만들어 나갔다.
그러나 이연구보고서에서는 주제의 집중성을 위해서 북부평야지역생태문화에 대해서만 깊이 있게 설
명하려고 한다. 이 북부평야지역을 선택한 이유는 바로 이곳이 베트남사람이 4천 년 간의 문화의 원천
인 곳이기 때문이고, 또한 베트남의 문화적 특색을 갖추고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또한 남부평야지역은
역사적으로 엄밀히 따져보면 단지 300년 만의 역사성을 갖추고 있는 곳이다.

3. 북부충적토평야생태

3.1 자연사회생태환경

북부평야생태지역은 홍강, 타이빙강, 마강 유역인 Hà Tây, Hà Nam, Nam Định, Hưng Yên, Hải
Dương, Thái Bình, Hà Nội시, Hải Phòng시, 평야지역인 Phú Thọ, Vĩnh Phúc, Bắc Ninh, Bắc Giang,
Ninh Bình, Thanh Hóa, Nghệ An, Hà Tĩnh 성 등 16개의 성과 시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노이생태지역
은 문명과 문화의 중심지로 여겨졌다. 하노이문명의 전파력이 북부평야인근지역으로 퍼져나간 것은 매
우 필연적인 일이였으며, 반대로 하노이 문명 또한 북부평야지역의 작은 단위들로부터 그들의 문화적가
치를 받아들였다.

a. 북부평야자연생태
북부지방의 지리적 위치는 남북간 동서간 이라는 2가지 중요한 국제적인 교류축이 만나는 장소이다.
이러한 이지역의 지리적 위치는 다른 지역으로 부터의 문화적인 가치를 받아들이는데 편리한 조건이
되었으며, 동시에 동남아의 다른 지역으로 진출하는 전략적인 위치가 되었다. 이러한 점이 또한 베트남
을 침입하려던 세력들에게 매력적인 것으로 작용되었다.
북부지역의 지형은 산과 평야가 섞여있으며, 주로 낮은 계곡과 평평한 지형을 갖고 있다. 서북쪽이
높은 고도이고 동남쪽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지역에서 높낮이가 일정하지 않은 지
형을 보인다.
이지역의 기후는 대략 4계절이 상대적으로 분명하다. 3개월간의 겨울철은 북부평야지역이 다른 지역
에 비해 쌀 생산량이 적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게다가 이곳의 기후는 안정적이지 못하고, 춥고 습한
동북계절풍과 덥고 습한 여름의 계절풍으로 사람들이 살기에 기후적으로 매우 힘든 곳이다.
북부평야지역은 물이 풍부한 환경이다. 특별히 수로가 매우 길고 전 지역에 걸쳐 잘 분포되어있다.
이러한 수로시스템은 홍강, 타이빙강, 마강 등을 거쳐 있으며, 이것은 또한 북부평야지역 전역에 쌀경작
을 비롯한 농업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우기와 건기라는 2계의 계절풍기후로 인해 강의 수
위도 계절에 따라 분명히 나뉜다.우기에는 홍수가 찾아와 특별히 홍강은 커다란 유량을 갖게 되며 부사
가 쓸려온다. 건기에는 강물이 마르고 물이 여러개의 작은 갈래로 나뉘어 흐른다. 그 외에도 북부만의
조수간만의 차이로 하루저녁에 강물의 수위가 한 번에 걸쳐 오르고 내린다. 이러한 요소들은 북부평야
지역주민의 계절에 따른 경작습관에서부터 사회와 자연에 대한 대응심리, 거주풍속에 이르기까지 독특
한 특색을 만들어 내었고, 지역성을 갖는 공통된 문화적인 특징과 더불어 북부평야지역의 개별적인 생
태특징을 갖는 문명들을 만들어 내었다.

b. 사회생태
북부평야지역의 주민들은 일찍부터 이곳의 토양에 매우 적합한 식물인 벼에 대해 알고 있었고, 쌀경
작 문화가 발전하고 오랜 세월동안 양식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쌀재배 기술에 익숙해 있었고, 농
업생산을 손쉽게 할 수 있었다.
비록 숲과 바다가 북부평야지역을 둘러싸고 있지만 이곳의 거주민들은 숲으로부터 멀리 동떨어지고
바다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는 생활을 유지해 왔다. 수 천 년 간 이곳의 거주민들은 치수를 위해 둑
을 쌓으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고 벼농사를 짓고, 소금을 생산하고 물고기를 잡았다. 이곳의 주민들
은 근면한 두 손으로 홍하델타를 동해바다의 바닥으로부터 건져냈다고 말할 수 있다. 바다로 뻗어나가
는 강을 따라 양 주변에 있는 푸른 들판들은 수 천 년간 그들에게 양식을 제공해 주었다. 그 외에도 그
들은 바다와 강을 이용하여 어업을 하거나 양식을 하기도 하였다. 이곳의 사람들은 수산물을 개발하기
위해 물을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졌다. 수산물을 생산하는 것이 이곳의 농민들에게 다른 분
야보다도 더 중요한 일로 여겨졌던 시기도 있었다.( 첫째는 물고기양식이고, 둘째는 정원에 나무를 심는
것이고, 셋째가 벼를 심는 것이다) 그러나 물고기를 잡고 양식하는 일은 여전히 그들의 주업으로 여겨
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수 천 년이 흐르는 동안 베트남인들은 대규모의 어업을 조직해 본 적이 없으며,
또한 먼 바다로 물고기를 잡기 위해 만든 대규모 어선단은 없었다.
어찌되었던 북부평야지역주민들의 주요경작방식은 여전히 벼를 심는 것이었다.(식량을 생산하는 면적
의 82%를 찾이함) 벼를 경작하는 기술은 이곳의 주민들이 민간가요의 가사에 기록되었으며, 특히 수
천 년 전부터 베트남인들의 베트남사회와 자연에 대한 대응경험을 속담 속에 기록해하여 전해왔다. (첫
째는 물이고, 둘째는 비료이고 셋째는 4종자가 필요하다). 벼를 재배하는 것 이외에도 이곳의 주민들은
옥수수, 고구마, 감자, 콩외에 지역별 토양과 계절별 기후에 적합한 식물들을 심어왔다. 이러한 점은 이
곳 주민들의 창조성과 적응성을 보여주는 것이다어왔다. 북부평야지역의 면적이 크지 않으므로들은 지
역의 인구밀도는 매우 높았다. 그렇기 때문에 농민들은 일 년 내내 재배할 수 있는 기하였고, 땅은 쉴
수 있는 시간이 없었다. 그래서 옥수수, 고구마, 콩외인구작물들은 쌀재배 사이사이에 지역별 하였다.
또한 이곳의 농민들은 많은 종류의 수공예를 개발하였다. 북부평야지역에서는 사람들이 약 수백종류의
수공예분야를 만들어내었다. 일부마을은 이러한 수공예가 오랫동안 발전되어 도자기, 옷, 모자, 자개 만
들기 등 전문화 된 유능한 기술자들을 갖고있었다.

농업생산에 기반을 두고 있었기에 북부평야지역사람들은 모여서 마을을 이루고 살았다. 부부평야지
역의 기초사회단위는 마을(Lang)이다. 마을은 또한 베트남사회에서 삶의 세포단위이기도하다. 마을은
원시시대부터 농업시대와 봉건시대를 거쳐 가며 국가행정의 가장 작은 단위가 되었다.
경제적으로는 북부평야지역의 베트남마을들은 벼를 경작하는 소농사회이다. 마을은 공동의 힘을 모
아 개척하고 둑을 쌓고 수로를 만들었다. 봉건시기에는 공동으로 논을 소유하는 것이 오랜 시간 내려져
왔고, 그래서 마을내에서의 계급 관계는 분명하지 않았다. 공동체적인 성격은 깨어지지 않았고 자급자
족경제체제가 유지되었으며 평등균형의 심리와 나이에 따라 평등해 지는 민주적 심리를 갖고 있었다.
마을 공동체 속에서의 사람사이의 유대관계는 마을의 토지, 마을회관, 마을사찰, 마을우물 등의 소유관
계에서뿐만 아니라 심리적 관계, 혈통관계, 북부평야지역주민공동체의 수 천 년 세대의 퐁속, 습관과 도
덕적 기준들에서도 유대관계가 분명히 나타나 있다. 이러한 관계들은 향약 속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나
있다. 그것은 마을의 영토주권, 토지사용원칙, 환경보호부터 마을조직에 관한규약들, 마을공동체의식,
신앙, 전통예식, 공동 놀이문화 등에 이르기까지 모든 문제에 대해 개별마을의 규정 및 관념들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향약은 마을의 문화전통, 심령, 의지의 통일, 정신적인 강인함이 되었다. 한편 공동체
성을 고양시키기 위해 개인과 개인의 역할은 옛날 마을에서는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다.
바로 이러한 생태적인 특징은 북부평야지역사람들의 대응방안들을 만들어 냈고, 이곳의 문화적인 가
치를 만들어 냈다.

3.2 북부지역평야생태문화의 특징
위에서 언급한바와 같이 북부평야지역은 베트남민족 문명의 원천이다. 이곳은 베트남인문화의 출발
점이자 결정체인 곳이고 동선문화로부터 대월문화, 그리고 베트남문화에 이르기까지의 특색과 전통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은 이곳으로 부터 중부와 그리고 남부에 이르기까지 전파되었다. 이러
한 중남부지역으로의 문화 전파는 베트남인의 강인한 삶의 역량을 나타내는 것뿐만이 아니라 수 천 년
에 걸친 베트남인들의 창조정신을 나타내는 것이다. 오랜 세월 중요한 문화중심지라는 인식과 더불어
북부평야지역의 베트남문화생태는 베트남문화의 일반적 특징과 이지역의 독특한 특징을 같이 갖고 있
다.
a. 북부평야지역사람들의 자연생태에 대한 대응
논농사를 통해 살아 남기 위해 수 천 년간 베트남인들은 얼마나 많은 땀과 힘을 기울여 자연을 정복
하고 북부평야지역을 오늘날 베트남의 대표적인 2곳의 2기작 지역 중 하나로 만들었는지 모른다. 홍강,
타이빙강 양측에 설치한 댐시스템과 논에 물을 주기 위한 긴 수로들은 이 지역 주민들의 창조적인 노동
과 협력정신을 나타내는 것이다. 남부 구룡강지역의 주민들과는 다르게 홍수를 방지하기위한 제방을 쌓
을 필요는 없었고, 그들은 단지 ‘홍수와 함께 산다’는 것에 적응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충분히 배부르
게 사는 것을 보장할 수 있었다.
북부평야지역베트남인들의 음식문화는 열대계절풍기후에 적응하는 것과 함께 쌀농사문화와 깊은 관
계가 있다. 그러므로 이곳의 음식문화는 식물과 강물이라는 2가지를 갖고 있다. 이 지역 베트남인들의
기본적인 식단은 베트남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밥과 야채, 생선이다. 첫 번째 2가지인 밥과 야채는
식물에 속하는 것이다. 생선은 강물에 속하는 것이다. 특별한 식사는 반듯이 야채가 있어야 한다(야채가
없는 밥상은 약 없이 아픈 것과 같다 등의 속담). 이곳의 생선은 주로 민물고기이고 강위에서 잡거나
호수에서 길러진다. 음식들은 음양의 균형을 종합하는 방향에 따라 그리고 년 중 계절의 다양성과 융통
성에 따라, 그리고 동식물의 성장단계에 따라 창조되어지며, 구체적인 환경에 부합되어진다(날씨, 먹는
사람의 숫자, 식사의 목적 등등). 북부평야주민들은 식욕을 돋구는 양념들을 사용하고 음식의 찬기와 온
기를 균형 되게 조절한다. 그러나 중남부지역사람처럼 맵고, 시고, 쓴 양념들을 너무 많이 쓰지는 않는
다. 식생활과 관련한 심리로는 여전히 마을의 공동체적인 성격을 갖고 있으며, 식사시간 중에 노인과
아이들을 우선시 한다.
북부지역사람들의 복식문화 또한 이곳자연생태에 적응하며 선택한 결과이다. 재료에 관해서는 이곳
의 주민들은 자연에 이미 마련되어 있는 식물재료들(빠나나, 면, soi day, gai 등)을 선택하여 사용해왔
고, 이후에는 가벼운 의복을 만들고 겨울의 추위와 여름의 덥고 습한 날씨에 부합하는 길고 두꺼운 또
는 가볍고 얇은 의복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비단을 사용하였다. 옷을 입는 방식으로는 주로 견고하게
입는 것을 주장하였다. 색깔과 관련해서는 주로 음성의 색상(갈색, 검정색, 자주색 등)을 선택하였고 반
대로였고통예식의 날에는 양성의 색상(빨강, 녹색 등)의 옷을 사용하였다. 남성의 의복은 옛날 일하러
갈 때는 주로 상체를 벋고 있었으며, 이후에는 갈색소매의 옷과 바지를 입었다. 여성들은 가슴가리개와
갈색옷, quai cong이라는 치마를 착용하였다. 그들의 축제일 의복은 또한 평시와는 달랐는데 남자는 흰
바지를 입고 ao dai the를 착용하였고, 검정수건을 머리에 둘렀다. 그리고 여성들은 화려한 아오자이를
입고, 신식유행의 복장을 입고, 머리에 수건을 쓰고, 허리띠를 두르고 빈틈없는 복장을 하였다.
북부평야지역사람의 건축문화는 이곳 생태조건 속에서 고도로 적응되는 방향으로 창조되어졌다. 제
일 처음의 특징으로는 북부평야지역주민의 집은 영구성을 나타내는 커다란 규모의 건축물들이 없다. 왜
냐하면 이 지역은 강 주변에 안정적인 구조물이 없기 때문이며, 또한 덥고 습하고 많은 비와 잦은 폭풍
우와 홍수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곳의 건축은 보통 작고 낮으며, 덥고 습한 기후와
많은 폭풍우를 피하기 위해 넓은 지붕을 갖고 있다. 또한 바람을 들이기 위해 많은 창을 만들었고, 홍수
를 피하기 집의 기초를 높게 만들었다. 집들은 보통 남향을 하고 있으며, 주변은 정원과 푸른 나무가
있어 그늘을 만들고, 계절에 따라 과일을 얻는다. 집을 짓는 재료들은 자연에서부터 얻어지고 등나무,
대나무 등은 마당에 심어서 거두는 방식을 통해 얻는다. 지붕은 벼를 수확한 이후에 얻을 수 있는 짚으
로 덮고, 벽은 벽돌이나 짚과 진흙을 섞은 것을 바른다. 집의 구조는 중앙의 집과 가로지르는 집 그리고
별채가 있다. 중앙의 집은 보통 3또는 5칸을 갖고 있다. 가운데 칸은 주로 제사를 지내거나 손님을 접
대한다. 나머지 옆쪽의 칸들은 가족들이 쉬는 장소이다. 가로지르는 집은 쌀을 빻거나 양식을 말리는
장소이며, 다음 씨즌을 위한 씨앗들과 양식들을 저장하는 곳이다. 별채는 부엌, 화장실, 외양간 등이 있
다. 생활수는 주로 빗물을 사용하거나 집집마다 우물을 파서 사용한다.(그 외에도 Gieng Thoi라고 불리
우는 마을의 공동우물이 있다).
사는 집 건축물외에도 북부평야지역주민들은 많은 종교신앙문화 유산을 창조하였다. 이러한 것들은
곳곳에 분포되어 있는데 그 지역들은 Den Hung, Co Loa, Hoa lu, Pho Hien, Dau사, Huong사, Tay
Phuong사 와 같은 곳이다. 베트남의 일반적인 건축물들과 북부평야지대의 건축물들은 중국이나 인도에
비해 규모가 크지 않다. 베트남의 건축은 주로 목조건축물이고 인도의 건축물들은 옥양목양식이다. 건
축물과 서까래에 새겨진 꽃문양의 양식들은 베트남사람들의 갈망과 才華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북부
평야지역의 신앙과 종교문화건축은 중국의 건축스타일을 모방하였으나 보다 간략하게 재창조하였다.
교통문화는 북부평야지역이 강에 의한 충적토지대이고 매년 많은 양의 강우량으로 강줄기를 따라 만
든 수로들이 자연적으로 조성되어 졌다. 이곳 베트남인들의 주된 교통수단은 배이고, 그들은 물과 강에
관련된 일에는 매우 능숙하였다. 한편 마을공동체의 자급자족경제의 폐쇄성으로 그리고 유교의 농업을
중시여기고 상업을 경시여기는 사상과 더불어 북부평야지역에서는 내부적으로 또 외부와의 교역활동이
매우 제한되었다. 그러므로 북부평야지역의 교통시스템은 발전되지 못했다. 오고가는 교통편과 운송수
단은 매우 원시적이였으며, 육지에서는 동물의 끄는 힘을 사용하는 것과 물에서는 배를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였다.
b. 북부평야지역 사람들의 사회생태에 대한 대응
자연생태조건과 쌀을 주로 생산하는 농업생활방식의 기초위에 이 지역 베트남사람들의 심령문화는
독특한 색깔들을 가져왔다.
신앙문화에 관하여서는 북부평야지역의 거주민들은 마을신, 여신, 부처를 신봉하는 풍속을 갖고 있
다. 그러므로 모든 마을 단위는 마을신을 모시는 정자와 불교사찰 등이 보통 서로 가까이 건설되어졌
다. 그 외에도 번식을 신성시하는 관습과, 벼신, 나무신, 산신 등의 자연신 등을 신성시 여긴다. 인간신
에 대해서는 조상, 민족영웅 등을 섬긴다. 신앙의 목적은 어떤 한 대상을 숭배하고자 하는 심령적 요소
이외에도 이러한 신앙의 행위들은 삶에 대한 갈망, 안정되고 발전된 삶에 대한 기도, 조상에 대한 감사
의 마음 등이 구체적으로 표현된 것이다.

이러한 신앙문화는 사람들의 심령 속에 항상 내재되어 있는 것이며, 북부지방마을에서 즐겁고 도덕
적이고 장엄한 여러 가지 예식 속에서 재현되어진다. 그리고 이지역의 문화적인 색채를 만들어 낸다.
전통예식은 도시와 지방마을거주민들 공동의 종합문화생명체이고, 공동체 속에서의 즐거운 놀이로서
심령의 갈망을 표현할 목적으로 농업생산의 자연적인 계절 주기에 따라 진행된다. 각각의 마을은 각자
의 전통예식을 갖고 있다. 그 수가 수 백개에 이르며, 마을, 지역, 혹은 더 나아가서는 국가적 규모의
전통예식의 종류도 있다. 반면 계절에 따른 전통예식으로는 가을의 전통예식, 봄의 전통예식 등이 있다.
비록 많은 종류의 전통예식이 있다고 하더라도, 대부분은 그 내용과 순서 등에 있어 농업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비록 시간이 흘러감과 더불어 전통예식에 신성함이 더해지고, 그 속에 농업문화의 색채가
약해진다고 해도, 사람들은 여전히 제례의식으로부터 이러한 농업기반의 기원을 찾아낼 수 있다. 그리
고 놀이 또한 남근 여음상과 같은 번식문화와 소싸움 같은 농업문화에 기원을 둔 것이 많다. 바로 그러
하기 때문에 북부평야지역에서의 전통예식은 사회자연생태에 대한 이 지역 주민들의 문화창조와 적응
을 나타내는 것뿐만이 아니라 문화전통을 유지하는 문화박물관이며, 북부평야마을공동체의 ‘共命’,
‘共感환경’으로 인식되어 진다.
북부평야지역의 교육문화에 대해서는 이지역이 동선문화가 시작된 곳이며, 탕롱문화지역 이기도 하
다. 이곳은 또한 구비문학과 귀족문학의 본산이다. 글을 배운 사람을 존중하는 전통과 교육발전은 이곳
에서 지식인 계층을 만들어 냈다. 수도로서의 탕롱은 1078년 문묘, 1076년 국자감의 설립과 함께 전국
의 과학연구 및 교육의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담당해 왔으며, 전국의 지식인 계층의 57%에 달하는 다방
면에서의 인재들을 포함한 수많은 지식인들을 만들어 내었다. 북부평야지역에서 높은 문화적 수준을 만
들어낼 수 있었던 원인들 중에 하나는 이곳이 전국의 인재가 모이는 장소이기때문만이 아니라 우리보
다 더 수준 높은 문명을 갖고 있던 외국인들과의 문화적인 접촉 및 교류를 위한 많은 기회를 갖고 있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요약해서 말하지만 북부평야생태는 고대베트남인들의 오래된 역사를 갖고 있는 지역이며, 대월왕조
의 발생지역이다. 이곳은 또한 사회와 자연생태에 대해 총명함과 근면함의 상호작용과정 속에서 사람들
이 적응하고 창조하여 베트남 문명과 문화를 형성해낸 곳이다. 북부평야생태는 또한 많은 전통문화가치
와 다방면에 걸친 걸출한 문인들을 탄생시킨 곳이다. 북부평야지역의 사람들은 이지역문화의 주체이고
전통문화의 정신을 계승하였으며, 외국문화의 정수를 받아들였고, 지혜와 힘으로 자신의 고장의 생태를
날로 아름다고, 번영되고 견고히 발전되도록 건설 중에 있으며, 국가를 이끌어 나가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국제적인 사고를 갖고, 지방에서의 행위들을 펼쳐간다’ 라는 내용으로 현재 세계화에 편입하
려는 방향에 따라 지역 및 세계 속의 생태를 유지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참고자료
Trần Lê Bảo (chủ biên) 인문생태 문화. 사범대학교 2005
Thành Duy 세계화 추세 전, 베트남 문화특색의 유지 문제. 베트남 문화단 잡지 2001년 6월
Grant Evans 아시아 문화의 상감: 민족문화, 인문학 2001
Phan Ngọc 베트남 문화특색, 정보 잡지 2002
Trần Ngọc 베트남 문화 기초, 교육 1999.
Trần Cuốc Vượng 베트남 문화기초, 교육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