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에서 한국학 현황과 장래

 

레 꽝 티엠 교수

(국립하노이대학교 인문사회과학 동방학부)

 

1. 역사적인 배경

 

한국과 베트남의 문화적인 관계는 16-17세기 한국과 베트남 사신이 중국 북경에서 만나 시(詩)를 주고 받은 데서 시작되었다. 특히 한국사신 이수광과 베트남사신 풍 칵 코안(PhungKhackhoan)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19세기 말 교육을 통해 프랑스로부터 독립하기 위해서 베트남 독립운동가인 판 보이 쩌우(PhanBoi Chau)가 세운 "동경의숙(DongkinhNghia Thuc)"의 교재는 "나라를 잃은 조선국민의 상황을 보자"라는 기록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한국과 베트남은 일본과 프랑스로부터 독립되었으나 국내 상황이 혼란스러웠다. 한국은 한국전쟁, 베트남은 인도차이나 전쟁으로 나라가 폐허가 되었으며 그후 두 나라는 모두 남북으로 분단되었기 때문에 양국의 문화교류는 생각할 수 없었다. 당시 북베트남은 북한과 외교관계를 맺고 남베트남은 남한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었다. 1960년대 말부터 베트남민주공화국(북베트남)의 수많은 젊은이들이 북한에 유학하였으나 남북베트남 어느 쪽에도 한국어 교육기관이 없었다. 1975년 이전에는 한국연구를 담당하는 기관이 없었다. 외무부나 대학교에서 일하고 동북아시아 연구에 대한 연구자들이 한국에 관련된 부분을 담당하였다. 베트남 통일이후에도 한국학교육과 연구를 담당한 기관은 없었지만, 베트남정부의 다면화/다방화 외교 방향에 따라, 아시아의 새로운 4마리 용중의 하나인 한국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한국에 대한 연구를 기본적으로 영어와 함께 러시아어, 프랑스어, 중국어 관련 서적을 통해서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격적인 한국어 교육과 한국학 연구는 1992년 12월 한국과 베트남이 외교관계를 설립한 다음해인 1993년부터 시작되어 현재 만 10년이 되는 셈이다.

 

2. 한국학에 대한 연구

 

1992년에 한국학 연구기관들이 교육기관들이 함께 설립되었다. 하노이국립대학교와 호찌민국립대학교에는 한국학연구그룹이 형성되었는데, 국제관계교수, 동아시아문학교수, 역사교수들이 참여하였다. 외무부의 동북아시아국이나 국제관계학원에서는 한국어로 한국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도 하였다. 1992년 12월 한국연구센터 설립을 위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하노이국립대학교에 한국학연구센터가 설립됨에 따라 그 동안 몇 개의 기관에서 운영되던 한국관련 연구는 센터로 통합되었다. 여러 가지 부족한 점에도 불구하고 이 센터에서는 토론회와 세미나를 주최하였으며, 1994년부터 1998년까지는 한-베트남 세미나를 주최하기도 하였다. 1998년에는 국립인문사회과학중심에서 일본연구센터 옆에 한국학 연구부분을 형성하여 현재 한국관련 서적 번역, 세미나 운영을 하고 있으며, 향후 동북아시아 연구중심을 형성할 것이라 예상된다.

 

3. 한국어와 한국학 교육 기관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한국과 베트남이 외교관계를 수립한 것은 1992년 12월 22일이다. 그 이듬해인 1993년 9월 하노이종합대학교에 한국어 강좌가 개설되면서 한국어 교육이 시작되었다. 1994년 10월 국립하노이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구 하노이종합대학)에 동방학부가 설립되어 중국학, 일본학, 한국학에 대한 교육이 시작되었으며, 1995년 국립호찌민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에도 한국어 전공이 개설되었다. 그러나, 이는 동일한 대학내에 두 곳에서 한국어 강좌가 개설되어 중복의 문제가 제기되어 결국 문학부의 한국어 강좌를 폐쇄하고 오늘날 동방학부 한국학과에서 한국학을 가르치고 있다.

 

이 이외에도 1997-98학년도에 하노이 사범대학교에 2년제 한국어 강좌가 개설되었고 곧이어 1999-2000학년도부터 한국어과가 4년제로 개편되었다. 또한 사립대학교로 호찌민외국어정보대(HUFLIT)에 한국어과가, 공립인 하노이외국어대학, 호찌민시에 있는 사립대학인 홍방(Hong Bang), 반 랑(Van Lang)대학교 등에서 한국어 강좌가 개설되었다. 1998년에는 국립하노이대학교에 한국학연구센터를 개설하였고 1999년 국립인문사회학 과학원내에 한국학연구센터를 설립하였다. 이 이외에도 한국어를 필요로 하는 베트남인들을 위해, 특히 한국에 오려는 근로자들을 위해 단기간 한국어를 교육하는 몇몇의 기관들이 문을 열었다.

 

4. 교수와 연구진

 

1993년 베트남에서 한국어가 처음 가르쳐지기 시작하였을 때 한국어강사로 베트남에 유학 온 한국 학생들과 1975년 이전 남북한에서 한국어를 배운 사람들이 초빙되었으며, 1996년 이후에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에서 파견된 한국어강사들이 활동하였다. 1998년부터 한국에 유학해 석사학위를 받은 베트남 학생들이 강사로 활동하고, 한국에서 온 교수들도 한국어와 한국학 교육을 담당하기 시작하였다. 이제 베트남에서 한국어를 전공하고 한국에 유학을 한 학생들의 숫자가 점점 늘면서, 한국인 유학생과 북한에서 한국어를 배운 베트남인 강사들을 대체하고 있다. 앞으로 2005년까지 국립하노이대학교 인문사회과학 동방학부 한국학과와 국립호찌민대학교 인문사회과학 동방학부 한국학과뿐만 아니라 기타 한국어나 한국학을 가르치는 대학의 강사는 50%이상이 한국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전문강사로 충원될 전망이다.

 

5. 교재와 연구자료

 

한국학 교육을 시작할 당시 적당한 교재가 없어 주로 한국유학생이 가지고 온 교재들과 영어, 불어 등으로 쓰여진 책을 사용하였다. 1995년부터 한국국제교류재단이 한국어 교과서와 한국학 연구서적들을 지원받아 많은 도움을 되었지만, 한국어연구 서적은 여전히 부족하여 한국어와 한국학을 가르치는 사람들은 러시아어, 영어, 프랑스어 서적을 참고하여 교육하였다.

 

1998년부터 한국학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한국어 교과서, 한국역사서, 전통문화에 대한 책들이 베트남에서 연구 출판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각종 세미나에서 발표된 원고들도 한국학 연구와 교육의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되었다. 당시 출판된 한국관련 서적은 “베트남과 한국의 문화와 유사성”, “한국문화ㆍ문학 소개”, “한국의 문화와 역사” 등을 들 수 있다.

 

현재 하노이주재 한국대사관과 호찌민주재 한국총영사관 및 한국국제교류재단이 지원해 주고 있는 한국어 교과서, 한국잡지, 서적 등은 한국학 연구 발전에 큰 도움을 주고 있으며, 특히 주 베트남대사관과 한국국제협력단(KOICA)는 국립하노이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내에 한국학 자료실 개관에 크게 기여한 바 있다. 그러나, 한국학연구를 위한 교재는 계속 수정, 보완되어야 하며, 기타 참고 서적이나 연구자료 개발을 위해서 더 많은 노력이 계속 되어야 할 것이다.

 

6. 한국어 및 한국학 연구와 교육내용

 

베트남에서 한국어학 교육은 다음의 3가지 방향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한국학 전문가와 한국어 강사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은 하노이와 호찌  민시에 있는 두 국립대학이 담당하고 있다.

둘째, 한국어교육을 주목적으로 하고, 한국사회, 문화, 교육 등에 대한 연구는 하노이 외국어대, 하노이사범대 및 사립대학교에서 담당하고 있다.

셋째, 한국에 가는 근로자나 베트남내 한국투자기업에서 일하려는 베트남인들에 대한 단기 한국어교육은 각 외국어센터에서 담당하고 있다.

 

첫 번째의 한국학전문가와 한국어강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과내용은 다음과 같다.

 

구분

교과목명

강의수*

년수

학년

필수

 한국어

1200-1500

4

1-4

필수

 한국 역사

45

1

3

필수

 한국 경제

60

1

4

필수

 한국문화, 문학

45

1

3-4

필수

 한국사회, 법률

60

1

3-4

필수

 한국 풍속, 지리, 기후

45

1

3

필수

 한국의 국제관계

60

1

4

필수

 한국과 베트남 관계**

30

1

4

선택

 한국인의 업적

30

수시

4

선택

 한국대표기업

45

수시

4

선택

 한국경제 발전

30

수시

4

선택

 한국과 베트남의 문화의 유사성

30

수시

4

 * 1시간 45분

 ** 주베트남 한국대사 강연

 

학생들이 대학을 졸업하기 위해서는 졸업논문이나 졸업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논문을 작성하는 학생들의 비율은 25%-30%정도로, 매우 우수한 학생들이다. 시험을 보고 졸업하는 학생들은 한국어, 한국 문화와 역사, 한국 경제와 사회 등 3과목의 시험에 합격하야 한다. 한국(어)학과를 졸업한 학생들은 한국학센터나 대학교 또는 한국어교육센터에서 한국어강의를 담당할 수 있다.

 

앞에서 말한 둘째와 셋째의 비전문적인 한국어 교육은 기본적으로 한국어를 집중적으로 교육하고, 한국에 대한 기초지식을 가르친다. 국립하노이대학교나 국립호찌민대학교를 제외하고 기타 한국어과가 설립된 대학교에 입학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일반적으로 과거 베트남에서 한국학 연구와 기본 교육내용은 한국문화와 역사, 한국경제, 사회발전, 경험 연구, 한국의 산업화와 현대화 경험, 베트남 한국협력관계 등이며, 이와 관련된 연구로 한국의 문화, 문학, 사회, 역사, 철학 등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도 병행되고 있다.

 

6. 향후 연구 방향

 

한국과 베트남 정치, 경제 관계가 매우 긴밀하게 된 오늘날 베트남에서 한국학 연구와 한국어 교육은 이와 병행하여 발전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첫째, 효과적인 한국어와 한국학 교육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시간을 대폭 늘려야 하며, 체계적으로 한국어를 배울 수 있는 한국어 교재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이와 동시에 한국어 교육 경험이 풍부한 강사의 수가 늘어나야 하며,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시청각교재가 필요하다.

 

둘째, 수준 높은 한국어교육 할 수 있는 한국학 전문가와 교수 양성을 위해 우수한 베트남 학자들을 한국의 석박사과정에 유학시켜야 한다.

 

셋째, 하노이시와 호찌민시에 있는 두 국립대학교의 한국어 교육기관에 대한 시설투자를 확대하여야 한다.

 

넷째, 한국어로 된 한국학 및 한국어 서적이 베트남어로 번역되어 교육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한 재정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한국학 및 한국어 연구와 관련된 한국과 베트남 대학교 및 연구소 간의 협력을 강화하여야 하며, 한국국제교류재단(KF) 및 국제협력단(KOICA)의 재정 지원을 통해 베트남에서 한국학 또는 한국어 연구자들과 교수들의 연구 의욕을 북돋아줌으로써 베트남의 한국학 발전을 도모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