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차드 스트리트마터 트란
(RMIT Univ., Vietnam)


개요
나는 이 에세이에서 베트남 현대미술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몇 가지 주목할만한 상황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현대미술 작품의 제작 과정은 영화의 그것과 비교할 수 있는데, 이에는 대략 세 단계가 있다. 즉 생산 전 단계 (리서치와 작업의 개념 발전 단계), 생산 (자원구축과 실행 단계), 생산 후 단계 (전시, 축제, 출판 단계) 등이 그것이다. 각각의 단계는 동시대의 사회적∙ 교육적 인프라에 상당한 영향을 받을 뿐 아니라, 다른 단계의 발전 양상에도 영향을 받는다.
고로 이 글에서는 신진 작가들 사이에서 각광 받고 있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법과 소셜 네트워크 기술에 대해서 언급하고자 한다. 또한 8년 동안 호치민 시에서 작가이자 강사로 활동해온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이 주제에 대한 건설적인 비판을 전개할 것이다.


쇼트의 설정 : 베트남 미술 신
현재 베트남 미술 신은 급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어떤 동기로 성장했는지, 얼마나 오랫동안 발전해왔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오히려 급 부상한 베트남 미술이 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가 작가 개인의 강한 의지나 마력적인 기회에 대한 것보다 더 많이 회자되고 있다. 아직까지 베트남 미술에서는 제도적인 인프라나 담론의 부족이 공통적인 문제 (상황)로 남아있다. 대학 수준의 미술 교육과 미술인 단체가 존재하며, 나름의 미술사를 구축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강력한 현대미술 담론, 특히 베트남어로 조성된 담론은 부재한 상태다. 두 가지 문제 (상황)는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베트남 그 중에서도 호치민 시의 현대미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미술 신이 작용하는 상황과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기본 틀을 구축해야 한다.
『미술계에서의 7일』(Seven Days in the Art World (2008))를 보면, 사회학자 사라 손튼 (Sarah Thorton)이 하루씩 7일 간 경매, 비평, 아트 페어, 미술상 시상식, 잡지사, 작가 스튜디오, 비엔날레 등 특별한 행사를 관찰하면서, 미술계에서 ‘민족학’을 파기하는 내용이 나온다. 왜냐하면, 그녀가 경험한 미술계는 미술시장, 미술교육, 미술담론으로부터 작가와 그들의 활동에 이르기까지 영역이 중복되며 확장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어떤 영역들은 서로 시너지를 일으키며 발전하지만, 타자가 개입할 여지를 거의 남겨두지 않는 영역도 분명 있다. 그리고 이 사실은 새롭거나 놀라운 것이 아니다. 이러한 손튼의 견해에 동의하며, 나는 베트남 미술 신에 대해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나는 오로지 예술가, 전시 공간, 미술교육 등 내가 아는 것에 한해서 이야기할 것이다. 고로 상대적으로 경험이 적은 미술시장, 이를 테면 딜러, 컬렉터, 작품가격과 옥션 등에 대한 이야기는 배제될 것이다.
나는 호치민 시라는 지역 미술 신의 제한적인 단면을 주체적이고 개별적인 관점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또 다른 문화 생산 산업인 영화와 종종 비교된다. 영화극장에서 판매하는 팝콘의 콘셉트처럼, 영화제작의 모든 과정은 일반적으로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된다. 바로 ‘생산 전 단계’, ‘생산’, ‘생산 후 단계’이다. 나는 이 구조에 영화 대신 현대미술을 대입하면서, 베트남 현대미술 신을 ‘생산과정’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장 뤽 고다르는 “여러분이 영화에서 구하는 것은 권총과 여성뿐이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 공식은 물론 앤디 워홀에게도 적용되어 왔지만, 어찌 됐든 강력한 현대예술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것이 작가 개인의 성공보다 더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 사실이다.


생산 전 단계
생산 전 단계란, 작가가 실제로 작품을 구축하거나 제작하기 전에 일반적으로 행하는 모든 활동과 과정을 말한다. 여기에는 리서치와 작품의 개념을 구축하는 과정이 포함되는데, 이 둘은 중요하면서도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고로 생산 전 과정이 작업 그 자체나 작업의 어떠한 면에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주장도 틀린 말은 아니다. 그리고 이 단계는 미술 생산 과정을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준다.
베트남 미술 신에서 이 단계는 가장 발달이 더디며, 학계에 상당히 맞춰져 있는 양상을 띠고 있다. 베트남에서 대학 강사로 재직하면서, 나는 베트남 작가들이 즉흥적이고 자발적인 면은 중요시 하면서, 계획하고 구상하고 조사하는 단계는 폄하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아마도 이것은 경쟁과 하향식 평가를 유도하는 미술교육의 결과인 듯하다. 따라서 이들은 교수진의 주관적 평가에 의존하며, 동료 간에 자유로운 비평을 전개하지 못한다. 만약 리서치를 통해 객관적 사실과 상호 텍스트성을 발견하고, 이를 작품에 반영하려 해도, 리서치나 개념구축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소홀한 권위자의 개입으로 이러한 시도는 번번히 실패하고 만다. 이러한 하향식 평가는 전반적으로 확산되어, 전시를 허가하는 기관에까지 퍼져 있다. 전시를 공식적으로 허가 받기 위해 전시 지원서를 보낼 때, 대부분의 경우 단순한 이유로 거부를 통보 받곤 한다. 하지만 거부 사유를 묻거나 그 답을 듣게 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거부 당한 작품이 논의를 이끌어낸 사례로, 호치민 시의 히미코 시각예술관 (Himiko Visual Art Salon)이 제기한 누드 사진에 대한 것이 있는데, 이는 미술 관계자들에게 좋은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된다.

img1.gif


다이아/프로젝트 (Dia/Projects). 베트남 호치민 RMIT대학교 학생들이 산 아트 (San Art)와 아시아 아트 아카이브 (Asia Art Archive)의 콜라보레이션 언더/커버에서 현대미술 워크숍을 하고 있다. 2011.
베트남이 국제 사회에 진입하고, 해외 지식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되면서, 베트남 내 지적 생산물의 양상도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 이 경향은 당분간 계속 될 것이다. 문화를 통제하는 정부의 방침이 복잡하게 변화하고 있긴 하지만, 정보의 접근성만 본다면 최근 5년 간 전반적인 환경은 발전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몇 년 동안 나는 베트남 시민 사회를 평가할 수 있는 척도로 서점을 이용했다. 5년 전만 하더라도 베트남에서는 지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주요 외국 출판물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하지만 현재 주요 대학의 출판물이나 학술지, 신문 등을 찾는 것은 그다지 어렵지 않다. 아직도 베트남에는 방콕과 싱가포르에 있는 키노쿠니야 (Kinokuniya) 서점처럼 외국 자본 구축된 서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 호치민과 하노이 국제공항은 이용객의 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해외 잡지나 신문을 제공하지 않는다. 지적 자료, 특히 출판물에 대한 규제가 엄격하긴 하지만, 외국의 출판물들은 천천히 베트남으로 유입되고 있으며, 학생들은 작업을 위해 정보를 찾아 접하고 있다.
얼마 전, 호치민 미술대학은 미술대학원 석사 과정을 개설했으며, 커리큘럼에 현대미술과 관련된 과목들을 배치했다. 꽤 오랜 시간 동안, 이 대학 학생들은 개인적으로 현대미술 작업을 제작해왔으나 정작 퍼포먼스, 비디오 아트, 설치미술 등에 관한 강의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호치민 시에서 작가들이 공동 작업을 하는 경우는 드물며, 콜라보레이션을 한다고 해도 극소수의 프로젝트인 경우가 많다. 결과적으로 이곳에서는 작가들 간의 구조적인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 작가들이 정기적으로 현재 일어나고 있는 사건과 예술 현상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장소로 카페 정도가 있을 뿐이다. 작가들 간의 대화와 소통은 미술 신의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지만, 그것이 비판적으로만 흘러갈 경우에는 긍정적인 결과를 낳지 못할 것이다.


생산
생산 단계에는 실제 작품을 제작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 즉 재료, 작업, 스튜디오 등이 포함된다.
자택에서 작업을 하는 작가도 있긴 하지만, 호치민 시의 많은 수의 작가가 따로 스튜디오를 가지고 있다. 베트남의 부동산 가격은 이웃 동남아시아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때문에 작가들은 규모가 큰 작업을 할 수 있는 넓은 공간, 이를 테면 창고나 공장 같은 작업실을 얻는 데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 이러한 환경은 작품 생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베이징의 798이나 방콕의 예술문화센터와 같은 문화 공간 조성에 대한 정부 차원의 움직임도 보이지 않기에,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사적 공간에서 작업이 이뤄지는 경우가 많으며, 작가 공동체를 만들고 운영하는 것 또한 쉽지 않다. 성공적 사례가 있긴 한데, 카페와 예술공간을 합친 비즈니스/예술 공간이다. 오랜 기간, 여러 작가가 공동으로 대규모 공간을 임대하여, 스튜디오와 전시공간 그리고 주거공간으로 운영하는 것을 논의해왔으며, 이 계획이 실현된 적이 있긴 하지만, 호치민 시의 사이공 오픈 시티 (Saigon Open City)나 하노이 캠퍼스 (Campus in Hanoi)의 사례처럼 이는 금세 사라지고 말았다.
베트남 작가들은 오래 전부터 알리앙스 프랑세 (Alliance Français), 괴테 인스티튜트 (Goethe Institut Hanoi), 영국 문화원 (British Council) 등의 외국 기관으로부터 후원을 받아왔다. 그 중에서도 릴레가 (Ryllega: 하노이에 있는 실험적 예술 공간)나 하노이 괴테 인스티튜트와 같은 곳이 작가들에게 작업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 괴테 인스티튜트는 호치민 시에 문화 프로그램을 개설하였으며, 덴마크의 한 기관도 하노이 시에 예술 지원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때로 하노이 시와 호치민 시 그리고 훼에서 활동하는 많은 작가그룹이 타 작업을 모방하는 경우도 있다. 2008년에 설립 10주년을 맞이 한 냐 산 둑 (Nha San Duc)과 훼에 새롭게 생겨난 예술공간의 경우가 이러하다. 하지만 해외 단체의 재정 지원에 의지하지 않고 자발적으로 발생하여 운영되는 공간도 있는데, 히미코 시각예술관과 제로 스테이션 (Zero Station)의 경우가 그러하다.
예술가이자 큐레이터이며 RMIT 대학의 강사인 필자 (리차드 스트라이트매터-트란)는 2010년 3월에 ‘디아/프로젝트 (Dia/Projects)’라는 작가들을 위한 실험적인 공간을 개관했다. 이곳에서는 미술, 과학, 철학의 담론들이 창의적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작가와 큐레이터가 발전적으로 관계를 형성해나가고 있다.
베트남에서는 지역 정보가 작품을 제작하는 데 필수적이다. 미술용품이나 재료를 판매하는 대규모 화방이 없기 때문에, 작가들은 재료와 노동력을 구할 때 반드시 그 지역의 정보를 숙지해야 한다. 이러한 인프라는 장점과 단점을 모두 가지고 있다. 베트남에서 재료, 특히 원자재나 산업재료를 구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현지에서 제작되거나 중국에서 수입된 재료들은 비교적 저렴하며, 현지 유통 과정도 복잡하지 않다. 또 작가들이 작업에 필요한 것들을 구할 때는 현지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전에 건축물 크기의 유리 섬유 설치작품을 할 때, 필자는 재료를 제조하는 공장과 직접 논의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런 경우, 회사들이 자주 경영 방침을 바꾸고, 장소를 옮기기 때문에 일관성을 보장 받기 힘들다. 또한 대부분의 작품이 기계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수작업으로 생산되기에 복제하거나 여러 버전으로 제작하는 경우, 작품의 질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기도 한다. 한 가지 확실한 문제점은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베트남을 방문하는 해외 작가들은 이곳에서 원하는 재료를 구입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스크린 프린팅을 위해 라텍스나 사진 유화액을 사용하는 경우, 브랜드를 따지기가 어렵고, 일반적인 명칭이나 화학적 명칭 (대개의 경우 베트남어로 번역된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
회화는 베트남 미술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현대 작가들 (상업적이거나 복제품을 제작하지 않는)은 작품을 주로 개인 스튜디오에서 제작하며, 갤러리에서는 완성된 형태로 전시한다. 조각품과 설치작품 같은 입체작품의 경우, 특정 장소에서의 생산은 매우 예외적이다. 품질 좋은 장비를 쉽게 구할 수 있게 되면서 많은 작가들은 최근 사진을 새로운 표현 매체로 활용하고 있다. 공공미술과 일시적인 작품, 대지 미술 등을 제작하는데 공간은 매우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하지만 공간을 찾기도 어렵고, 게다가 당국의 허가도 받아야 하며, 토지를 중시하는 베트남의 전통까지 얽혀있어 이러한 작업은 베트남에서 찾아보기 매우 힘들다. 그리고 태국 치앙마이의 랜드 파운데이션과 같은 사례도 베트남에서는 재현되지 못하고 있다. 베트남에서 미술교육, 공간 접근성, 독자적인 작가 공동체가 구축되지 않는다면, 미술작품은 앞으로도 공동작업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개인작업에 머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생산 후 단계
생산 후 단계는 작품 생산이 마무리된 후 실무와 전시 등이 시작되는 단계를 말한다. 실무란 큐레이터와 커뮤니케이션하고, 작품에 관한 문서작업을 하며, 홍보하고,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모든 과정을 포함한다. 생산 후 단계는 넓게 작품 전시 장소를 구축하고, 관객들의 반응과 이해를 이끌어내며, 전시를 대외적으로 알리는 글 (현지와 국제 언론에 실리는 리뷰)을 작성하는 것까지 아우를 수 있다.
올해 문화 분야의 목표는 사람들의 문화와 정신적인 삶의 수준을 높이고, 전통적인 문화의 가치를 알리며, 더 나은 국가를 만들기 위해 애국심을 고취시키는 것이다
- 트란 치엔 탕 (Tran ChienThang), 문화체육관광부 차관2


베트남의 미술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의 규제에 대한 선 지식이 필요하다. 전통적으로 베트남에서 문화 가치에 대한 해석은 주관적이었으며, 때로 국가적 지침을 강조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였다. 또한, 문화와 전통에 대한 절대적인 정의는 생산 후 단계에서 작품을 규제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런 규제는 전시를 허가 받거나 정부의 문화 방침에 어긋나는 작가나 작품에 대한 처벌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행정적 문제는 현대 베트남 미술 현장에서 종종 발견된다. 전시회 제목이 정부 규제 대상의 첫 번째 항목이다. 따라서 베트남에서 많은 전시들의 표제는 논의를 불러일으키지 않는 평범하거나 형편 없는 것들이 많다. 고로 향수나 옛 것에 대한 그리움, 계절, 여인의 아름다움, 풍경의 아름다움, 미의 찬미 등의 전시명이 흔하다. 다음으로 형편 없는 제목의 경우, 젊은 예술가전, 어느 대학 교수진들의 작품전, 여류 화가전 등 개인적 창의성을 몰살하는 것들이다. 때로는 마치 관객들이 전시회의 복잡한 뉘앙스에서 새로움을 발견하기를 바라기라도 하듯 <나는 누구인가> (Who am I?)라는 질문을 제시하는 전시 명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아주 드
문 경우, 모호한 또 오해의 소지가 있는 전시 제목을 차용하는 경우가 있긴 하지만, 이는 당국의 허가를 받지 못할 때가 많다. 작품 역시 비슷한 이유로 제목을 정하지만, 무제로 남겨둘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베트남에서는 쉽게 설명되지 않고, 문화 방침에 반할 만한 작품을 전시할 수 있는 공간이 드물다. 특히 해외 큐레이터들과 전시를 하는 경우 그러하다. 그렇기에 작가들은 정신적인 충격을 받게 된다. 이에 대한 해결책은 베트남 외부의 전시를 위해 다른 작품을 제작하고, 국내 전시용으로 따로 작품을 제작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신진 작가들이 이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90년대 중반, 미국의 통상 규제가 없어지면서 베트남 미술은 외국 큐레이터와 컬렉터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 오늘날 베트남의 작가들은 작품을 해외에 전시할 수 있게 되었고, 해외 미술 단체와 교류할 수 있는 기회 또한 얻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도 베트남의 젊은 작가들은 자신의 작품을 홍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외국어가 유창하지 못한 경우도 있고, 예술 이론과 역사적 지식이 부족한 경우도 있다. 상황은 점차 나아지고 있으나, 주로 젊은 계층에서 작품의 시스템을 구축하고, 문서화시키며, 소개하는 능력이 많이 부족하다. 이럼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워크샵이나 멘토링 등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현재 대부분의 큐레이터들은 마치 공장의 생산라인을 돌 듯, 한 장소에서 여러 예술가를 30분 간격으로 만나고 있다. 그들은 작품이 어떤 상황과 공간 속에서 제작되었는지 이해하지 못하지만, 주최 측의 설명과 통역으로 작품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숙련된 작가들은 이러한 프레젠테이션 방식이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이 방법을 선호하지 않는다. 최악의 경우, 나는 큐레이터들이 뒤에 약속된 작가들과의 만남을 꺼려하는 경우도 목격한 적이 있다.
그 동안 많은 전시들은 비엣 키우 (Viet Kieu)라 불리는 베트남의 해외 동포 (그 중 베트남에 살면서, 작업을 하고 있는 이들)에게 수해가 돌아갔다는 우려가 표출되곤 했다. 이들은 종종 세계적인 큐레이터들과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비슷한 배경을 지니고 있으며, 프레젠테이션에 능숙하다. 하지만 베트남 출신 작가들이 점점 더 국제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하면서 이 문제점은 서서히 줄어들고 있다. 나는 또한 베트남 교포 예술가들과 현지 예술가들의 교류가 활발해지고, 친선 관계를 맺고, 두 그룹의 공동작업을 하면서 오해가 많이 종식되었다고 생각한다. 2008 싱가포르 비엔날레에서 특히 이러한 조짐은 발견되는데, 참여 작가 대부분이 베트남 출신이었고 그들은 나름의 존재감을 강하게 어필하고 있었다. 나는 이처럼 베트남 현지 작가들의 그들의 언어와 방법으로 국제 사회와 교류하기를 희망한다.
베트남에는 현재 현대미술을 위한 공간이 부족하다. 현대미술 갤러리, 비영리 공간, 작가가 직접 운영하는 공간은 손가락에 꼽을 정도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부동산세가 폭등했기 때문에, 정부 지원 없이는 공간이 구축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문화와 관련된 정부 기관은 전통 문화를 보존하는 데 혈안이 되어 있다. 하지만 전통문화나 현대미술 모두 긍정적 방향으로 장려되어야 한다. 만약 정부가 현대 시각예술과 공연예술분야에 지원한다면, 이는 관련된 모든 분야에서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예를 들면, 공연 예술 분야에서 베트남은 현지 주민들과 관광사업을 개발하기 위해 해외 예술가와 공연단, 극단 등을 초대하여 훼 페스티벌을 기획해왔다. 중국은 현대미술을 통해 자국의 문화를 홍보해야 할 필요성을 일찍이 깨닫고, 이를 지원함으로써 국제 미술계에서 중국 작가들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만들어 주었다.
하지만 현대미술 공간의 문제는 경제적 지원으로 해결될 수 있지만, 미술 담론을 그렇지 않다는 게 문제이다.


커뮤니케이션과 토론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신문의 문화란과 엔터테인먼트 섹션 그리고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을 통해 문화 정보를 얻는다. 이는 초대장이나 공식 보도자료와 같이 짧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저널리즘으로 해석하기에는 부족함이 많다. 베트남어로 된 미술 출판물이 존재하긴 했으나, 베트남의 현대미술 비평에 대한 포럼을 유도할 만한 출판물은 아직 등장하지 않았다. 나는 비평이 개인이 아닌 국가적 차원에서 전개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모든 출판물이 국가에 검열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은 비평이 발전하는 데 문제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검열에 대한 우려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인터넷 상에서 이를 행하는 것이다. 탈라와스 포럼 (Talwas forum)은 베트남 문화 평론 포럼 중에서 권위 있는 포럼으로 꼽힌다. 이 사이트는 2007년에 도큐멘타 12 (Documenta 12) 잡지 프로젝트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예술가들, 특히 젊은 예술가들은 인터넷의 가능성을 재빨리 인식했다. 프록시를 통해서 접근해야 하지만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가 소개되기 전부터도 베트남 내 블로그 사용자 수는 많은 편이었다. 특히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는 예술가들은 전통적 방식으로 정보를 얻는 것과는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었고 무엇보다도 이는 예술가들로 하여금 직접 작업 내용을 관리할 수 있도록 권한을 주었다. 예술가들의 네트워크는
지역사회에서 국제사회로 확장되었다. 이는 아직 큐레이터들과의 일 대 일 커뮤니케이션이 어려운 예술가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부여했다. 예술가들과 기관들은 대외적으로 좀더 용이하게 홍보할 수 있게 되었으며, 공지사항을 전할 수 있고, 그들의 전시에 사람들을 쉽게 초대할 수 있게 되었다.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계속 확산된다면, 베트남 예술가들은 이를 더욱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베트남 예술가들이 현대미술을 위한 그들의 공간을 설립하고, 비평적인 출판물을 발행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기는 하겠지만, 중요한 내용들은 신속하게 인터넷 상에서 공유하게 될 것이다. 또한 열성적이고 자발적인 관객들도 이에 참여하게 될 것이다.


참조
1. Thornton, Sarah. Seven Days in the Art World. New York: W.W. Norton & Co; 2008.
2. 정부부처는 더 많은 관광객들을 유치하고 문화적 가치를 홍보하고자 한다. (Ministry hopes to attract more tourists, promote cultural values). March 9, 2009. VietnamNet/Viet Nam News. Viewed online at: http://english.vietnamnet.vn/interviews/2009/03/835004/

 

 

 

베트남 법인설립 절차

 

===========================
비나한인 안내  info..(소개)
===========================
베트남 투자진출 창업, 지분인수 경영 제반 컨설팅
법인설립 대표사무소 지사 개설, 법인형태 업종 추가
공장부지 임대공장 입지선정, 부동산 컨설팅 제공.

 

법인설립 입지선정 등 진출 준비부터 사후 경영 관리까지 일괄 컨설팅 서비스 제공

베트남 동종 업력 15년 이상에 걸쳐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일관성 있는 선제적 컨설팅 제공과 전문 변호사, 법률행정 전문 통/번역 요원, 한국인 전문가 상주로 인한 완벽한 커뮤니케이션으로 최소의 시간과 비용으로 최선의 결과치 도출을 기대할 수 있는 검증된 베트남 투자진출 창업 전문 컨설팅 업체 'VINAHANIN CO.,LTD' 입니다..
공식 홈페이지: www.vinahanin.com
베트남 법인설립 절차 안내: 바로가기

 

상담/문의
-업무 시간: AM 8 ~ PM 5
(대면 미팅 시간: AM 9 ~ 11시, PM 1~3시 선약 필수)
-베트남(국가번호 +84)

0909 194 181 (한국어/일어)
028 6681 0114 (베트남어/영어)

- 이메일:  viethoasong@gmail.com (실시간 체크)
- 라인/카카오톡 ID: vinahanin (무료 직통 통화 가능)
- 카톡 상담 시간: AM 7~PM 7(베트남 현지시간)
(베트남 시간, 휴무일 카톡 상담, 부동산 안내 가능)
- 24 시간 온라인 상담 등록: 바로가기

ADD
3F, VIETPHONE BUILDING,
64 Nguyen Dinh Chieu, Da Kao, Quan 1, Ho Chi Minh, VIETNAM.

 

언제 어디서나 카톡 '바로상담'..!
비나한인 카톡 QR코드

vinahanin

 

네이버 톡톡

vinahan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