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정보, 베트남 프랜차이즈 사업 창업 절차, 카페·외식업, 키즈카페·북카페 참고
베트남, 프랜차이즈 산업 현황
작성일자: 2006. 9. 29
1. 베트남 프랜차이즈 산업 현황
○ 베트남 프랜차이즈 시장은 형성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신생시장임.
- 3-4년 전에 일부 국내 업체가 프랜차이즈 형식을 도입했으나 2005년 이전까지 프랜차이즈 사업에 대한 개념조차 상법에는 없었음. - 개정된 상법과 더불어 2005년 6월 호치민시에 개최된 프랜차이즈 사업 설명회 및 박람회(Franchising Vietnam 2005)가 열리면서 새로운 유망사업 아이템으로 관심 받기 시작함.
○ 베트남 토종 프랜차이즈 업체는 Trung Nguyen Coffee Company(커피 전문점), Pho 24(쌀국수 전문점), Kinh Do 제과(베이커리) 등 손가락으로 꼽을만한 숫자임.
- 국내 업체는 커피, 쌀국수, 빵 등의 외식업 프랜차이즈에 국한되고 있음. - Trung Nguyen(쯩응우웬)의 경우 500개 이상의 가맹점을 가지고 있으며 Pho 24(퍼 24)의 경우 14개의 가맹점을 가지고 있음. - 지역별 체인본사 소재지는 하노이, 호치민 지역이 압도적임.
□ 프랜차이즈 산업 매출
○ 아직까지 시장 형성이 미흡한 베트남 프랜차이즈 산업은 정확한 통계자료는 없으나 국내 프랜차이즈 업체의 수가 극히 적어 매출액 또한 적은 편임.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프랜차이즈 산업 또한 빠르게 확장되고 있어 이에 따라 매출이 급속도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됨
□ 베트남 우량기업 및 사업 모델
○ Trung Nguyen Coffee Company
- 베트남에 최초로 프랜차이즈를 도입함. 현재 베트남 최고의 커피 브랜드임 - 1996년 작은 커피전문점으로 출발하여 베트남 전국에 1,000여 개 이상의 직가맹점을 운영 중임 - 싱가폴, 일본, 태국, 캄보디아, 중국 등 해외에 8개의 직가맹점이 있음 - 500개 이상이 프랜차이즈 가맹점임. - 연간 차 생산량 1,000톤, 원두 60,000톤, 커피 믹스 3,000 톤을 생산하고 있음 - 일관된 차 제조방법으로 동일한 맛을 제공하고 있음
○ Pho 24
- Nam An Group 계열의 퍼 체인점 프랜차이즈 업체임 - 2003년 호치민시에 첫 점포를 개점한 이후, 2004년 하노이, 2005년에 후에, 다낭, 냐짱 등 전국적으로 점포를 확대함. - 2005년 후반기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2006년 6월 필리핀 마닐라에 가맹점을 둠으로써 해외까지 확장 운영하고 있음 - 국내외 합쳐 총 30여 개의 점포가 있으며 이 중 프랜차이즈 가맹점수는 14개임 - 2007년에는 미국, 일본, 한국을 포함하여 47개 까지 확장할 계획이며, 또한 상법 개정과 더불어 향후 2년간 국내에서만 100개 정도 점포를 목표로 하고 있음. - 품질(quality), 영양(healthy), 청결(cleanliness), 인테리어(nice decoration), 질 좋은 서비스(good service)를 컨셉으로 경영하고 있음.
□ 프랜차이즈 관계 법령
○ 2006년부터 시행된 개정 상법에 프랜차이즈 사업 관련 조항들을 신설하면서 프랜차이즈 관계 법령이 최초로 시행됨.
- 첫 시행이니만큼 미비한 점이 많아 보완이 필요함 - 베트남 상법 제6장 8조 284항에서 291항까지 규정하고 있음 (Commercial Law- ChapterⅥ, Section8, Article284~291)
|
○ 프랜차이즈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는 무역부(Ministry of Trade)에 등록해야 함.
2. 외국 프랜차이즈의 진출 현황
□ 외국 프랜차이즈 진출 경과
○ 외국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베트남에 진출하기 시작한 것은 1996년으로 추정됨
- 외국 프랜차이즈 국내 도입의 효시는 필리핀의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브랜드인
졸리비(Jollibee)로 1996년 개점하여 햄버거, 치킨, 도너츠 등을 판매하고 있음
- 그 이후, 미국의 패스트 푸드 체인을 중심으로 소수 유명 브랜드 업체들이 진출해
있는 상황임
업체명 |
투자분야 |
국가 |
Jollibee |
패스트푸드 |
필리핀 |
Bourbon Group(Bic C) |
종합할인매장 |
프랑스 |
Metro Cash&Carry |
종합할인매장 |
독일 |
Lotteria |
패스트푸드 |
한국 |
KFC |
패스트푸드 |
미국 |
Parkson |
종합할인매장 |
말레이시아 |
○ 그러나, 외국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정상적인 프랜차이즈 형태가 아닌 직영점 형태로 국내에 도입됨.
- 이는 기존 베트남 상법에 프랜차이즈 사업에 대한 규정이 없어 프랜차이즈 사업
허가상의 어려움이 요인
- 외국 프랜차이즈 업체의 경우, 합작 투자방식이 대다수이며 직접 투자로 하였다
하더라고 일반 투자로 등록하여 직영점을 운영하는 형태임
- 이에 따라 매장 증설이 베트남 업체에 비해 늦은 편임
□ 외국 프랜차이즈 브랜드 성공사례
○ 외국 프랜차이즈들은 패스트 푸드, 종합할인매장 등의 투자분야에 국한되어
있으나 비교적 큰 성공을 거두고 있음.
- Bourbon Group(Bic C), Metro Cash&Carry, Parkson 등의 종합할인매장은
8400만에 이르는 거대한 인구 수 및 30세 이하 인구 70%로 소비 인구가 많아
소매 시장 수요량이 증가하고 있는 적절한 시기에 하노이 호치민시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매장을 개점하여 성공을 거두었음
○ 상법 개정에 따라 많은 외국 프랜차이즈 회사들이 베트남으로 대거 투자할
것으로 전망됨.
- 최근 태국의 GCR그룹은 내년 중 Swensen's 아이스크림, 피자 가게를 현지 투자
계획이며 그 외, 싱가폴의 Han's, 미국의 맥도널드 스타벅스 WalMart 등의 많은
외국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베트남 시장에 투자할 계획임
(정보원: 해당 기업 홈페이지, 베트남 무역부 홈페이지, 무역관 보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