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종합 인터넷 매체 운영 회사 VNG코퍼레이션(VNG Corporation)은 미국 뉴욕에서 현지 시간 29일(베트남 시간 30일), 신흥 기업(벤처) 전용 주식 시장을 운영하는 미국의 나스닥(NASDAQ)간에 나스닥에 대한 신규 주식 공개(IPO) 및 상장을 위한 합의서를 체결했다.
이번 합의서 체결은 베트남 총리의 방미에 맞춰서 이뤄진 것으로 이로써, 나스닥은 VNG이 조기에 IPO을 실시할 수 있도록 지원. 상장에 성공하면 VNG은 나스닥에 상장하는 베트남 최초의 IT벤처 기업이 된다.
VNG은 베트남 최대 모바일 무료 통화·메일 앱"Zalo(자로)"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앱 이용자 수는 7000만명을 돌파했다.VNG이 나스닥에 상장하면 국내 IT기업에 있어서도 미국의 증권 시장에서의 자금 조달 실현을 위한 원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통계 총국(GSO)의 발표에 따르면 2017년 5월 전국 소비자 물가 지수(CPI)는 전월 대비 ▲ 0.53% 떨어져 2008년 이후 전월 대비 마이너스로 나타났다. 한편, 전년 말 대비+0.37%, 전년 동월비는+3.19%상승했다.
연초 5개월의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에서 +4.47%였다. 산 돼지 가격이 하락 일로를 걷고 있는 것과 휘발유 판매 가격이 내려가면서 물가 상승이 억제됐다.
전월 대비 CPI을 품목별로 보면 11개 품목 중 4품목이 크게 떨어졌다. 가장 크게 떨어진 것은 "식료품 음료 서비스"(▲ 1.43%). 이어 ◇"교통"이 ▲ 0.34%, ◇"우편 통신"이 ▲ 0.05%, ◇"주택, 전기, 수도, 연료, 건설 자재"가 ▲ 0.02%로 나타났다.
한편 전달보다 오른 것은 7개로 상승 폭은 +0.02%~0.15%의 낮은 수준에 그쳤다. ◇"문화·오락·관광"이 +0.13%, ◇"가정용품"이 +0.10%, ◇"음료·담배"가 +0.08% 등이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영국 브랜드 컨설팅 회사 브랜드 파이낸스사(Brand Finance)는 최근 세계의 통신 사업자 브랜드력을 수치화한 랭킹"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통신 브랜드 톱 500(The World's Most Valuable Telecoms Brands)"2017년판을 발표했다.
이에 베트남에서는 ◇ 베트남 군대 통신 그룹(Viettel)산하의 Viettel Telecom:49위(전년 대비 ▲ 1단계 하락), ◇ 베트남 우편 통신 그룹(Vietnam Posts and Telecommunications Group=VNPT):89위(동+1단계상승), ◇ 모비폰(Mobiphone):138위(동 ▲ 1단계 하락), ◇ 베트남 모바일(Vietnamobile):348위(동 +22단계 상승), ◇ G모바일(Gmobile):386위(동+37단계 상승) 등 5개사가 포함됐다.
세계 통신 브랜드 가치 톱 10 및 각사의 브랜드 가치는 다음과 같다.
1위:AT&T(미국)870억 1600만 USD
2위:버라이즌 커뮤니케이션스(Verizon Communications미국): 658억 7500만 USD
3위:중국 이동 통신(China Mobile, 중국): 467억 3400만 USD
4위:독일 텔레콤(Deutsche Telekom, 독일)
5위:엑스 피니티(XFINITY미국): 261억 8000만 USD
6위:보다폰(Vodafone, 영국): 218억 3100만 USD
7위:오랑주(Orange, 프랑스): 215억 2600만 USD
8위:NTT(일본): 211억 6500만 USD
9위:소프트 뱅크(SoftBank, 일본): 206억 2100만 USD
10위:NTT 도코모(NTT Docomo, 일본): 193억 7700만 USD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빈 그룹(Vingroup)은 26일, 동북부 지방 뚜옌꽝 성(Tuyên Quang) 성과 메콩 델타 지방 하우장 성, 호치민시 등 전국 3개 성 시에서 "빈컴 플라자(Vincom Plaza)"브랜드 "빈 컴+(Vincom+)" 브랜드 쇼핑 센터(SC) 등 3개 점포를 새로 일제히 오픈했다.
이번 문을 연 SC는 ◇"Vincom Plaza Tuyên Quang"(뚜옌꽝 성), ◇"Vincom Plaza Vị Thanh"(하우장 성), ◇"Vincom+ Nam Long "(호치민시 7구)의 3개소.
뚜옌꽝 성, 하우장 성에서 오픈한 SC는 이 2성에서 첫"빈 컴"브랜드 SC이다. 이번 3군데 일제히 개장으로 전국의 "빈 컴"의 점포 수는 전국 21성·시 등에 40군데가 됐다.
VIC는 현재 빈 컴 플라자 및 빈 컴+와 함께"빈 컴 센터(Vincom Center)"과 "빈 컴 메가 몰(Vincom Mega Mall)"등 4개의 SC브랜드를 전개하고 있다. 이 중 빈 컴+는 면적 4000㎡의 소규모 SC로 VIC는 2017년 말까지 전국에서 20개 점포의 빈 컴+를 오픈할 전망이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미국 경제 잡지 포브스가 최근 발표한 세계의 공개 회사 상위 2000개의 랭킹 "포브스 글로벌 2000(Forbes Global 2000)"에 베트남 현지 유제품 제조 업체 비나밀크(Vinamilk)가 처음으로 올랐다. 또 베트남 투자 개발 은행(BIDV)및 Vietinbank, Vietcombank 등 3곳이 3년 연속 선출됐다.
VNM은 매출액이 21억 USD 시가 총액이 91억 USD로 1888위에 올랐다.
CTG는 매출액 27억 USD 시가 총액 30억 USD로 1633위(전년 대비+175등급 상승). VCB는 매출액 21억 USD 시가 총액 58억 USD로 1656위(동+187등급 상승). BID는 매출액 33억 USD 시가 총액 26억 USD로 1682위(동+9계단 상승했다.
올해"포브스 글로벌 2000"에는 세계 58개국·지역의 기업이 꼽혔다. 1위는 전년에 이어 중국 공상 은행(ICBC). 다음으로 ◇ 중국 건설 은행(CCB)◇ Berkshire Hathaway, ◇ JPMorgan Chase, ◇ Wells Fargo, ◇ 중국 농업 은행(ABC), ◇ Bank of America, ◇ 중국 은행(Bank of China), ◇ 애플(Apple), ◇ 도요타 자동차 등으로 이어졌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계획 투자부 해외 투자국(FIA)이 발표한 해외 직접 투자(FDI)에 관한 데이터에 따르면 2017년 연초 5개월간의 FDI 인가액(추정치)은 121억 3029만 USD로 전년 대비 +10.4% 증가했다.
또 동기 실행액(추정치)도 동 +6.0% 늘어난 61억 5000만 USD로 증가했다.
국가·지역별 인가액에서는 한국이 44억 1964만 USD로 전체 36.4%를 차지하여 정상에 올랐다. 또 일본이 19억 4533만 USD로 2위. 싱가포르가 12억 3858만 USD로 3위. 중국이 10억 0768만 USD로 4위. 대만은 8억 2771만 USD로 5위였다.
지방별 1위는 홍강 델타 지방 박닌 성의 27억 6247만 USD로 전체 22.8%를 차지했다. 2위는 동남부 지방 빈증 성의 16억 4353만 USD, 3위는 호치민 시 13억 9242만 USD이다.
도 연초 5개월에 인가된 대형 안건으로 ◇ 한국의 삼성 디스플레이(Samsung Display) 휴대 단말기 공장 안건(박닌 성):추가 투자액 25억 USD, ◇ 페트로 베트남 그룹(Vietnam National Oil And Gas Group=PVN) 및 페트로 베트남 가스(PV GAS)와 합작사를 설립하는 일본 기업에 의한 B광구·오몽(OMon) 가스파이프라인 부설 안건(메콩 델타 지방 끼엔장 성):투자액 12억 7000만 USD, ◇ 대만의 폴리에스테르 섬유·합성 섬유 생산 공장 안건(빈증 성):추가 투자액 4억 8580만 USD, ◇ 코카 콜라 베트남 안건(하노이시):추가 투자액 3억 1980만 USD, ◇ 싱가포르의 제3베트남 싱가포르 공단 안건(빈증 성):투자액 2억 8475만 USD 등이 꼽힌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한국 증권사인 KDB 대우 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에서 극장 점유율의 98%를 5개사가 쥐고 있어 이 중 한국계 2곳과 인도네시아계 1개의 상위 3사가 83%를 차지하고 있다.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는 것은 한국계의 시네마 콤플렉스(복합 영화관) 최대 업체인 CJ CGV베트남이다.
CGV베트남 자본금은 1800억 VND으로 Phuong Nam 종합 출판(Phuong Nam Cultural)이 지분 20%를 보유하고 있다. 동사의 점유율은 43%에 달하고, 2016년 말 시점에서 동사가 전개하는 시네마 콤플렉스(복합 영화관)의 상영관 수는 38개 스크린 수는 247이다.
2위는 시네마 콤플렉스(복합 영화관) 29곳(스크린 수:총 133)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계 롯데 시네마(Lotte Cinema)로 점유율 30%를 차지한다. 3위는 하노이시의 시네마 콤플렉스(복합 영화관) 최대인 인도네시아계 Platinum Cineplex로 점유율은 10%. 그러나 이 회사 운영하는 시네마 콤플렉스(복합 영화관) 5개소(스크린 수:총 37)중 하노이시의 3곳이 폐쇄되어 향후 점유율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동시도 CGV베트남이 극장 점유율에서 우세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폐쇄 대상의 시네마 콤플렉스(복합 영화관)은 Thanh Xuan 구"Vincom Mega Mall Royal City", Hai Bà Trưng 구"Vincom Mega Mall Times City"Long Biên 구"Vincom Plaza Long Bien" 등 3곳으로 스크린 수는 합계 28스크린에 이른다.
현지 기업으로서는 갤럭시 시네마(Galaxy)가 점유율 9%로 4위에 올랐으며, BHD Star Cineplex이 점유율 6%로 5위다. 양사는 각각 7군데의 시네마 콤플렉스(복합 영화관)을 운영하고 있다.
CGV베트남의 2016년 실적은 매출액이 전년 대비+3.3% 늘어난 1조 8230억 VND으로 소폭 증가에 머물렀지만 세금 공제 후 이익은 전년의 3배 근처에 해당하는 930억 VND 가까이 급증했다.
이 회사는 2011년 영화관 운영으로 베트남 최대였던 메가 스타 미디어 사(MegaStar Media)을 매수. 극장 점유율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면서 그 후에도 계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Pixar, Disney, Warner Bros, United International Pictures=UIP, Buena Vista International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영화 제작 회사들과 배급에 관한 독점 계약을 체결했다.
베트남의 대도시에서는 영화관에서 영화 감상의 수요가 늘어났고 관객이 1회 관람에 지불하는 금액도 증가하고 있다.베트남에서 관객이 1회 관람에 지불 금액은 4.04USD로 한국의 6.29USD를 밑돌지만 증가율은 동국을 넘어섰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글러브 카(GrabCar)"와 "우버(Uber)"등 스마트 폰용 앱을 활용한 배차 서비스가 급속히 보급되면서 기존의 택시 회사는 고전하고 있다. 각 택시 회사는 다양한 방법으로 대책을 강구할 필요를 느끼고 있어 많은 운전수가 수입 감소로 인한 이직을 피할 수 없다.
베트남 대형 택시 회사 비나선 택시(Vinasun)도 새로운 형태의 택시 서비스를 감당 못하고 경영 부진에 빠졌다. 이에 따른 회사에서 일하는 운전수 1개월의 수입은 과거에 비해서 약 ▲ 30% 감소하여 500만~600만 VND으로 떨어지고 있으며 운전수의 약 20%가 퇴직하고 있다고 한다.
이 회사는 운전사와 맺고 있는 근로 계약을 중도 해제하고 차량 임대 계약을 체결하는 형태로 맞서고 있다. 이것에 대해 이 회사의 한 운전사는 "근로 시간은 유연하게 되지만 매일 같이 회사에 67만 ~ 80만 VND를 내야 하고, 사회 보험과 의료 보험 등도 없어지는 것이 부담스럽다"라고 불안감을 말하고 있다.
다른 대형 택시 회사 마이린 택시(Mai Linh Taxi)는 이런 새 형태의 택시 서비스 사업 모델을 모방하여 운전자가 소유하는 차량을 활용 대수를 늘리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또한 우버는 22일 하노이시에서 4인승 차량의 시내에서 노이바이 국제 공항까지 픽업 서비스를 시작했다. 가격은 시 중심부에서 공항까지 15만 VND, 공항에서 시내 중심부까지 22만 VND으로 주행 거리 약 30km에 비해서 매우 저렴한 편이다.
호치민시에서는 GrabCar가 떤썬녓 국제 공항에서 미엥동(동부) 버스 터미널까지 운임이 11만 VND 제시하고 있어, 종래의 택시 20만 VND에 비해 크게 밑돌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2017년 제1분기 베트남의 섬유 의류 제품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4% 늘어난 67억 5000만 달러였다고 베트남 섬유 협회(VITAS)은 발표했다.
신흥 시장으로의 수출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며 러시아 115% 증가, 싱가포르 38%증가, 캄보디아 36%증가, 브라질, 인도가 34%증가였다.
미국 EU등 기존의 시장 수출 증가율은 6.3-6.4%였다.
섬유 협회는 기존의 제품이 13-17%의 증가인 것에 수영복, 레인 코트와 스카프 등 비교적 새로운 제품이 18-41%의 성장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새로운 제품과 시장의 높고 안정한 성장의 배경에 섬유 산업의 기존 수출 상대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데 있다고 섬유 협회는 분석했다.
미국 EU와 일본 등 주요 시장의 경기 회복과 세계적인 정치 경제 상황의 안정으로 제2분기에도 베트남의 섬유 의류 수출액은 10% 이상의 증가가 예상 된다고 섬유 협회는 내다봤다.
베트남 봉제 산업은 2017년 수출 목표액을 전년 대비 10% 늘어난 310-320억 달러로 잡고 있다.
이 목표 달성을 위해서, 봉제 업체들은 새로운 장비 투자 추진과 신기술에 의한 경쟁력 강화를 요구 받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미국 시장 조사 업체 캔터 월드 패널의 베트남 현지 법인 캔터 월드 패널·베트남은 최근 베트남의 소비자가 구입하는 일용 소비재(FMCG)의 브랜드에 관한 최신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에서는 국내 4도시(호찌민 시, 하노이시 남 중부 해안 지역 다낭시, 메콩 델타 지방 껀터 시)와 그 이외의 지방으로 나누고, 브랜드를 구입한 가구의 수와 구입 빈도를 수치화하고 단계화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국내 4도시에서는 지역 유제품 제조 업체 비나 밀크(Vinamilk)가 그것 이외 지방에서는 가정용품 제조 업체 유니 레버(Unilever)이 각각 정상에 올랐다.
품목별로는 헬스 뷰티 부문에서는 유니 레버의 치약 "P/S"가 4도시 및 지방 양쪽에서 1위를 차지했다. 홈 케어 부문에서는 유니 레버의 식기용 세제 "선 라이트(Sunlight)"가 4도시 및 지방 양쪽에서 1위에 올랐다. 식품 부문에서는 비나 밀크가 4대 도시에서 Masan Consumer의 어장(魚醬) "Nam Ngu"이 지방에서 1위. 또, 음료 부문에서는 비나 밀크가 4도시와 지방 양쪽에서 정상에 올랐다.
브랜드 톱 10의 대부분을 외국계 또는 합작 회사가 차지한 반면 베트남 현지 기업은 4개 도시에서 불과 2개, 지방에서는 4개에 머물고 있다. 품목별로 봐도 외국계 기업의 제품이 FMCG시장을 압도하고 있다.
4도시에서 가장 판매된다 브랜드 톱 10은 다음과 같다.
◇ 1위:비나 밀크
◇ 2위:유니 레버
◇ 3위: Masan Group 산하 마산 소비재(Masan Consumer)
◇ 4위:네슬레(Nestle)
◇ 5위:Acecook
◇ 6위:Suntory PepsiCo
◇ 7위:Friesland Campina
◇ 8위:Cái Lân의 식물성 기름(Calofic)
◇ 9위:Ajinomoto
◇ 10위:P&G
지방에서 가장 많이 판매 되는 브랜드 톱 10은 다음과 같다.
◇ 1위:유니 레버
◇ 2위:Masan Group 산하 마산 소비재(Masan Consumer)
◇ 3위:비나 밀크
◇ 4위:Acecook
◇ 5위:Cái Lân의 식물성 기름(Calofic)
◇ 6위:Uniben
◇ 7위:Asia Foods
◇ 8위:Ajinomoto
◇ 9위:네슬레
◇ 10위:P&G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하노이시는 최근 향후 몇 년간 노바이 국제 공항의 혼잡 회피를 목적으로 이 공항의 확장 안을 정부에 제출했다.
계획안에 따르면 현재 가동 중인 제1터미널(T1)과 제2터미널(T2)에 더해 이 공항에 제3터미널(T3) 및 제4터미널(T4) 등 2개의 터미널을 신설하고 연간 여객 처리 능력을 현재의 2500만명에서 5000만~7500만명으로 증강한다.
"2030년까지 하노이시 교통 운수 계획 및 2050년까지 비전"에서는 노바이 국제 공항의 연간 여객 처리 능력은 2020년까지 2000만~2500만명, 2030년까지 3500만명, 2030년 이후는 5000만명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전력 그룹(EVN)은 23일, 홍강 삼각주 지방 타이빈 성의 Thai Binh 발전 센터에서 건설이 진행되고 있는 제1 Thai Binh 석탄 화력 발전소 안건의 제1발전기 가동을 시작했다.
이 안건은 EVN이 투자주로 총 출력 600MW의 석탄 화력 발전소 2기를 설치하고 발전에는 동북부 지방 꽝닌 성에서 산출되는 석탄을 사용한다. 석탄의 연간 사용량은 150만 t, 연간 발전량은 33억 kWh의 전망.
투자 총액은 26조 5000억 VND으로 이 중 85%가 국제 협력 기구(JICA)을 통한 일본 정부 개발 원조(ODA)이며 나머지 15%를 EVN이 출연한다.
EVN은 2014년 2월에 이 안건을 착공했다. 이에 앞서2013년 12월 EVN은 마루베니 주식 회사(도쿄도 치요다 구)간에 이 안건의 제11패키지의 EPC(설계 조달 건설) 계약을 체결했다. EPC 계약금은 10억 2000만 USD.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농업 농촌 개발부 축산국에 따르면 2월부터 국내 시장에서 산 돼지 가격이 하락 추세로 돼지 1kg당 가격은 2만 5000VND을 밑도는 일부 지방에서는 2만 VND를 밑도는 가격까지 폭락하고 있으며, 최근 10년간 최저치로 떨어진졌다. 이러한 가운데 양돈업자들은 고전하고 있다.
5월 들어서도 가격 하락이 이어지고 있고, 양돈업자들은 1마리당 100만~150만 VND의 적자를 보고 있으며, 출하 대기가 약 20만 t에 이른다. 가격 침체의 원인으로 전국에서 돼지 농장이 난립하여 돼지의 수효가 급증한 것과 또 주요 수출국인 중국이 돼지의 수입을 제한하고 있으므로 공급 과잉에 빠지고 있는 것이 꼽힌다.
산 돼지 가격은 많이 낮아졌으나, 전통 시장에서 돼지 고기의 소매 가격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1kg당의 소매 가격은 7만 ~ 9만 VND이다.
일부 지방에서는 양돈업자에 대한 지원책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동남부 지방 동나이 성에서는 부처 내 11군데서 1kg당 3만 ~ 3만 1000VND에 사들인 것을 5만 5000~6만 VND에 판매하고 있다. 많은 슈퍼 마켓 체인들도 안정된 수매가를 약속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동남부 지방 동나이 성에서 23일 Dầu Giây 농식품 도매 시장 제 1 기가 개업했다. 이 시장은 동성 및 동남부 지방에서 최대 규모의 농식품 도매 시장이 된다.
이 도매 시장은 Đồng Nai 성 Thống Nhất 군 Xuân Thạnh Dầu Giây 삼거리 근처에 위치했으며 투자 총액은 1조 VND 2기로 나누어 실시되고 있다.
제1기는 면적 7ha에 야채, 과일을 파는 부스가 정비되고 있다. 제2기에는 면적 27ha를 추가 확대하여 닭고기, 돼지 고기, 수산물 등의 판매 부스를 건설한다.
이 시장은 동성의 대형 종합 기업인 Tin Nghia Corp 산하 Thong Nhat 부동산사(Thong Nhat Real Estate)이 투자주로 Proton가 개발·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스위스 식품 회사 네슬레(Nestle)의 자회사 네슬레·베트남(Nestle Vietnam)은 18일, 홍강 삼각주 지방 흥옌 성 제2탄롱 공단에 분말 맥아 음료"마일로(Milo)"의 새로운 생산 공장을 준공했다.
이 공장은 환경에 관한 여러 부문에 최고 기준을 충족하고 있으며 동성의 근로자에 대해 200명의 직접 고용과 다수의 간접 고용을 창출한다. 이 회사는 새 공장 가동에 따른 베트남인 소비자 전용의 새로운 기능성 음료를 생산할 계획이다.
네슬레는 현재 베트남 전국에 6개 식품·음료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종업원 2000여명을 고용하고 있다.그동안의 투자 금액은 합계 5억 2000만 USD에 이른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혼다 기연 공업 주식 회사(도쿄도 미나토 구)의 항공기 사업 자회사인 혼다·에어 크라프트 컴퍼니(Honda Aircraft Company=HACI, 미국 노스 캐롤라이나)은 스위스 제네바에서 현지 시간 5월 21일부터 24일까지 개최 중인 유럽 최대의 비즈니스 항공 쇼"EBACE2017(2017 European Business Aviation Convention&Exhibition)"에서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 지역의 소형 비즈니스 제트기"혼다 제트(HondaJet)"수주 시작을 발표했다.
HACI는 태국 방콕에 본거지를 두고 40년 이상의 활동 실적을 가진 태국 에어로스페이스 서비스(Thai Aerospace Services=TAS를 동남아 지역에서 처음 딜러로 지정. TAS사가 혼다 제트의 이 지역의 딜러로서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싱가포르의 비행기 판매 및 각종 서비스 등 서포트 한다.
혼다 제트는 2015년 12월 미국에 납품이 시작되면서 현재는 캐나다와 멕시코를 포함한 북미, 유럽, 중남미 및 동남 아시아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2017년 제1분기에는 소형 비즈니스 제트기 부문에서 가장 많은 15대가 전달됐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국가 증권 위원회(SSC)은 19일 증권사 5곳에 대해서, 디리버티브(금융 파생 상품)업무를 허용했다.
허가된 증권 회사는 사이공 증권(Saigon Securities), VN 다이렉트 증권(Vndirect Securities), MB증권(MB Securities), 베트남 투자 개발 은행 증권(BIDV Securities), VP은행 증권(VPBank Securities=VPBS) 등 5개사로 5개사는 금융 파생 상품 중개 업무, 자기 매매 업무, 투자 컨설팅 업무를 제공한다.
6월 2일부터 파생 상품 거래가 시작된다. 파생 상품 시장의 개설로 증시의 유동성이 높아지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물류 서비스 기업 협회(VLA)에 따르면 물류 업계에서는 2017년부터 2025년까지 20만명 이상의 노동자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인재 육성 상황에서는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할 것이다라고 했다.
호치민시 개발 연구소가 발표한 물류 업계 인재의 품질에 관한 조사에서는 국내 물류 기업의 53.3%로 물류에 관한 지식이나 전문적 능력을 둔 직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기업이 채용 후에 사원을 재교육해야 한다.
이런 가운데 자사에서 인재 육성을 위한 전담 부서를 마련할 수 있는 것은 대기업 물류 기업에 한정되어 있다. 한편 중소 기업은 자사에서 연수 코스를 개강할 수 없어 VLA가 실시하는 코스를 사원에 수강시키는 게 현실이다.
일부 물류 기업이 인력 부족의 타개책으로 각 대학과 제휴하여 장학금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기업의 수요에 응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거나 함으로써 인재 유치를 시도하고 있지만 효과는 아직 기대에 못미치는 것 같다.
노동 보훈 사회부 직업 훈련 총국의 국장은 물류 기업 및 관련 협회가 물류 업무에 관한 기준을 작성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또한 각 대학은 이 기준에 의거 기업의 수요에 응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급선무이다라고 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농업 농촌 개발부에 따르면 2017년 1월부터 4월까지 4개월 간의 베트남 농림 수산물 수출액이 108억달러로 전년 대비 9.1%의 급격한 성장을 보였다.
그 중 주요 농산물이 58억달러를 차지하여 전년 동기보다 12%증가. 그 중에서도 쌀은 8억 3400만달러 상당의 약 186만톤이 해외에 출하됐지만 전년 동기 대비 수출 물량은 7.7%감소, 수출액도 6.9%감소했다.
커피 수출 물량은 59만 2000톤, 수출액은 13억 4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물량은 10.6%감소, 수출 규모는 19.2%증가했다.
목재와 목제품의 수출액은 지난 4개월간 24억달러로 2016년의 통계보다 12.7%증가했다. 수출지로서는 미국 중국 일본이 여전히 최대의 시장이 되고 있다.
그동안 베트남은 21억달러 상당의 수산물을 수출했으며 이것은 전년 대비 8.2%의 성장률을 보였다.
동시에 야채나 과일은 수출액에서 전년 대비 32.6%늘어난 10억달러에 달했다. 이들의 생산품의 4대 수입 시장은 중국 미국 일본과 한국이 포함되고 있다.
한편 베트남은 농림 수산물을 다른 나라에서 들여 온 액수는 85억 2000만 달러로 지난해보다 21.4% 증가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온라인 매체 VN익스프레스 등에 따르면 베트남의 양대 도시 하노이와 호치민은 인프라 정비에 거액의 자금을 조달해야 하고, 교통 분야 뿐에만 도로·교량이나 도시 철도 정비 등에 총 105조동을 필요로 한다고 한다.
하노이시 인민 위원회는 최근 중요 안건인 도시 철도(메트로) 2호선과 3호선 사업을 전개하기 위해 아시아 개발 은행(ADB)과 일본의 정부 개발 원조(ODA)에서 약 53조동을 빌리는 방안을 계획 투자부에 제출했다.
한편 호치민시도 계획 투자 및 재무국 양성에 계획서를 제출하고 2016~20년 분기에 "교통","홍수 경감 태풍 대책","환경","교육","의료"의 총 다섯개의 중요 분야에서 약 150조동의 자금이 필요하다고 설명. 특히 만성적인 교통 체증을 완화하기 위한 도로나 다리의 개량 등에서 52조동을 차지했다.
베트남은 아시아에서 인프라 정비를 최대 가속시키고 있는 국가 중 하나로 ADB에 따르면 최근에는 평균 GDP의 5.7%를 인프라 투자에 썼다. 중국의 6.8%에는 미치지 않지만, 동남 아시아 지역에서는 최대,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의 3%미만, 말레이시아와 태국의 2%미만에 비해서 크게 웃돌았다.
다만 고도 성장률을 유지하기 위해서 조속한 인프라 정비를 필요로 하고 있지만, 공적 채무가 국회가 설정한 상한인 "국내 총생산(GDP)대비 65%"를 초과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어 자금 조달에 고심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