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 체인 '파마시티(Pharmacity)'를 운영하는 Pharmacity Pharmacy는 최근 창립자 겸 CEO인 Christopher Randy Stroud씨가 회사의 법정 대표자가 아니라고 밝혔다.
새롭게 법정 대표자를 맡는 것은 한국의 대그룹인 SK그룹(SK Group)의 투자 매니저인 Nguyễn Như Nam 씨.
한국 언론이 지난해 말에 보도한 바에 따르면 SK그룹은 파머시티 약국에 1억 USD를 출자하기 위한 협상이 최종 단계에 들어갔다. 그러나 이때는 쌍방이 거래에 대한 발표를 앞두고 있었다.
2022년 7월 말의 정보에 따르면 SK그룹은 퍼머시티 약국의 모회사인 Maroon Bells(MRB)의 주식 14.5%를 소유하는 최대 해외 주주가 되고 있었다.
퍼머시티 약국은 2011년 설립. 2022년 6월 말 시점에서 베트남 전국에 약 1118개 점포의 약국을 전개하고 있어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SK그룹은 지난 몇 년간 베트남 의약품 업계에서의 존재감을 강화하고 있다. 이번에 출자하는 파마시티 외에 2020년 5월부터 현지계 제약 대기업인 Imexpharm 주식을 매입해 2022년 7월 자회사화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농업농촌개발부에 따르면 베트남은 차(茶) 수출량으로 세계 5위에 올랐다. 베트남의 차 제품은 세계 74개 국가·지역으로 수출되고 있으며, 주요 시장은 파키스탄과 중국, 러시아, 인도네시아 등. 이 중 중국으로의 수출이 베트남 차 수출량 전체의 12~15%를 차지하고 있다.
또 베트남은 차의 생산량으로는 세계 7위에 달하고 있다. 현재 전국의 차 재배면적은 12만3000ha, 1ha당 평균수량은 약 95 퀸틀(quintal), 생산량은 102만t이다.
베트남에는 현재 전세계에서 인기 있는 특별한 맛을 갖춘 170개 이상의 차 종류가 있다. 세계 시장의 까다로운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베트남 각지의 차 산지는 녹색 농업과 지속 가능한 개발을 목표로 함과 동시에 소비자의 건강 보호와 유기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 차 제품의 생산 혁신을 진행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한국계 신한 베트남은행(Shinhan Bank Vietnam)은 최근 온라인 대출 상품인 '디지털 소비자 대출' 제공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대출 전 과정을 온라인으로 수속으로 가능한 상품을 제공하는 것은 베트남 시중은행 중 이번이 처음이다.
'디지털 소비자 대출'은 국적, 거주지 모두 베트남인 것이 이용 조건이 된다. 동사의 모바일 뱅킹 앱 'SOL(솔)'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신청으로부터 5분 이내로 심사 결과를 알 수 있는 것이 특징이며 차입 한도액은 2400만VND로 대출기간은 최대 24개월이다.
또 신한금융그룹은 베트남의 전자상거래(e커머스=EC) 사이트 '티키(Tiki)'의 주식 10%를 보유하는 등 제휴 관계에 있기 때문에 '티키' 회원도 '디지털 소비자 대출'을 이용 할 수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정부는 16일 동남부 지방 동나이성 롱탄(Long Thanh)군에 건설중인 롱탄 국제공항과 인근성·시를 연결하는 철도 안건 2건에 관한 Lê Văn Thành 부총리의 의견을 전달하는 공문서 제5241호/ VPCP-CN을 발송했다.
대상의 안건은 ◇롱탄 국제공항과 호치민시 직할 투툭시 투티엠 신도시구를 연결하는 라이트 레일 .
Thành 부총리는 교통운수부에 대해 동나이성과 빈즈엉성, 바리어 붕타우성, 호치민시 등의 인민위원회 및 관련 기관과 함께 정부의 2022년 3월 30일부 공문서 제1941호/VPCP -CN의 지시에 따라 동 2건의 투자방안을 통일하라고 촉구했다.
비엔호아와 붕타우 사이의 철도선은 전체 길이 65km로 동나이성 Trảng Bom군 Trảng Bom역을 기점으로 바리어 붕타우성의 Cai Mep - Thi Vai 항구의 종점에 이른다. 투자 총액은 50조8220억 VND로 관민 파트너십 방식(PPP 방식)에 의해 실시된다.
롱탄 국제공항~투티엠 신도시 구간의 철도선은 길이 37.5km로 투덕시 투티엠역을 기점으로 롱탄 국제공항의 종점에 이른다. 투자 총액은 40조5660억 VND로 PPP 방식으로 실시된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정부는 최근 호치민시 순환 3호선에 대한 투자 방침에 관한 국회의 2022년 6월 16일부 결의 제57호/NQ-QH15를 실시하기 위한 결의 제105호/NQ-CP를 공포했다.
계획에서는 2022년 10월 1일부터 2024년 3월 30일에 걸쳐 토지 수용을 실시한다. 또한 2022년 11월 30일부터 2023년 6월 30일까지의 기간에 기술 설계와 비용 견적 작성·평가·승인을 실시한다. 2023년 6월 30일 착공, 2026년 6월 30일 완성 예정으로 되어 있다.
국회가 가결한 결의에 따르면, 호치민시 순환 3호선은 동남부 지방 동나이성과 동 빈즈언성, 남부 메콩 델타 지방 롱안성, 호치민시를 통과하는 총 길이 76.34km, 부지 면적 642.7ha로 공공 투자 방식으로 8개의 안건으로 이루어진다. 투자 총액은 75조 3780억 VND.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교통운수부는 9월 중 하노이시와 호치민시를 연결하는 남북고속철도건설계획안을 정치국에 제출할 예정이다.
계획에 따르면, 남북 고속철도는 하노이시 Ngoc Hoi역을 기점으로 20개 성·시를 통과해, 호치민시 Thu Thiem역의 종점에 이르는 전체 길이 1559km로 최고 속도는 320km/h. 투자 총액은 587억 USD가 될 전망이다.
공기는 2기로 나누어 실시된다.
제1기는 2027~2031년 기간에 하노이~빈(Vinh: 북중부 지방 게안성 빈시) 구간과 나짱(Nha Trang: 남중부 연안 지방 카인호아성 나짱 시)~호치민 구간을 건설한다. 총 길이 665km로 투자액은 247억 USD. 2032년에 운행을 개시할 예정으로 되어 있다.
제2기는 빈~냐짱 구간(전장 894km)을 건설한다. 투자액은 340억 USD. 2040년에 빈~다낭(남중부 연안 지방 다낭시) 구간, 2045~2050년에 다낭~냐짱 구간을 각각 운행 개시할 전망이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재다낭 한국총영사관은 12일 베트남·한국 국교수립 30주년을 기념해 ‘베트남·한국 교류의 역사와 향후 전망’이라는 제목의 세미나를 개최했다.
안민식 총영사에 따르면 양국의 경제협력은 국교수립 이후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며 양국간 무역액은 당초 5억 USD로부터 2021년에는 806억 USD으로 크게 증가했다.
신형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영향이 계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국간 무역액은 견조한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2022년에는 1000억 USD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양국간의 인적 교류 규모는 500만명으로 확대. 이 중 국제결혼의 세대수는 약 6만명 가까이가 되어 양국에 있어서의 가교가 되고 있다.
안 총영사는 「양국 관계는 조만간 포괄적 전략적 협력 파트너십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 향후 30년간의 양국 관계의 본연의 자세를 방향짓는, 행동 계획을 책정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한국은 2020년 11월 6일 하노이 주재 대사관과 호치민 총영사관 외에도 다낭에 또 다른 총영사관을 신설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서북부 지방 선라 (Sơn La) 성 인민위원회는 최근 관민 파트너십 방식(PPP 방식)에 의한 나산 공항(Nà Sản Airport) 건설 계획안을 총리에 제출했다.
나산 공항은 선라 시에서 남쪽으로 약 20km의 국도 6호선을 따라 입지한다. 1950년대에 건설되었지만 노후화에 의해 2004년에 폐쇄 되었다.
이 계획안에서는 Mai Son 군에 있는 면적 249ha의 구 공항 터에 신공항을 건설하고 78.5ha 확장한다. 또, 에어버스 A320형기 및 A321형기의 이착륙을 가능하게 하는 폭 45m, 전체 길이 2600m의 활주로, 유도로, 주기장, 네비게이션 시스템, 기상 시스템, 면적 3000㎡의 여객 터미널을 정비한다.
제1기의 연간 여객처리 능력은 100만명, 화물처리능력은 350t, 제2기는 각각 200만명, 6000t로 끌어올린다. 투자 총액은 3조 0280억 VND로 그 중 제1기가 2조 5000억 VND, 제2기가 5280억 VND가 되어, 선라성 지방 예산과 베트남 항공관제총공사(VATM)의 자금으로 충당한다.
프로젝트의 준비기간은 2022년 2분기(4~6월)부터 2023년 2분기까지 1년간. 공기는 약 2년으로 2026년에 개업할 예정으로 투자 자본 회수 기간은 47년 3개월이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정보통신부는 최근 전국 63개 성·시 및 17개 중앙부처를 대상으로 한 '2021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지수(Digital Transformation Index=DTI)'를 발표했다.
지방별로는 남중부 연안지방 다낭시가 0.6419점, 부처별로는 재정부가 0.6321점으로 모두 2년 연속 선두에 올랐다.
지방별 톱 10은 다음과 같다.
1위: 남중부 연안지방 다낭시
2위 : 북중부 지방 트아티엔 후에성
3위: 호치민시
4위 : 북부 홍하 델타 지방 박닌성
5위 : 동북부 지방 랑손성
6위 : 북부 홍하 델타 지방 닌빈성
7위 : 동북부 지방 꽝안성
8위 : 동북부 지방 타이응웬성
8위 : 동남부 지방 빈프억(Bình Phước)성
10위 : 동북부 지방 박장성
한편, 최하위는 남부 메콩 델타 지방 박리우성, 2위는 서북부 지방 카오반성, 3위는 북중부 지방 꽝빈성.
부처별 톱 10은 다음과 같다.
1위: 재정부
2위 : 계획투자부
3위 : 베트남 사회보험기관
4위 : 베트남 국가은행(중앙은행)
5위 : 상공부
6위 : 정보통신부
7위 : 자원환경부
8위 : 문화 스포츠 관광부
9위: 교통 운수부
10위 : 내무부
한편, 최하위는 건설부, 2위는 노동보훈 사회부, 3위는 농업 농촌 개발부.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한국 삼성전자의 베트남 현지법인은 동북부 지방 타이응웬성 공장에서 반도체 칩의 시제품 생산을 하고 있으며, 2023년 7월부터 상업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는 베트남을 방문한 삼성전자 노태문 사장이 5일 열린 Phạm Minh Chính 베트남 총리와의 회담에서 밝힌 것으로 반도체 생산은 가전과 스마트폰에 이어 동사에 있어 베트남 세 번째 사업이 된다.
Phạm Minh Chính 총리는 이 자리에서 베트남의 사회경제 상황과 국제통합 방침, 외교정책에 대한 최신 정보 등을 공유하고 한국 기업을 포함한 외국 기업에 대해 앞으로도 유리한 여건을 마련해 나갈 것을 약속했으며, 또 총리는 삼성이 베트남 기업의 공급망 참여를 희망하면서 이 회사가 베트남 투자를 계속 확대할 것을 제안했다..
한편 노태문 사장은 베트남의 신형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대책과 사회경제개발의 실적을 평가함과 동시에 신형 코로나의 영향이 심각해진 시기에 한국 기업을 적극 지원하고 기업 각사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었던 베트남 정부에 감사함을 밝히고 앞으로도 베트남 투자를 확대해 나갈 방침을 밝혔다.
사장이 이 자리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2022년 1~6월기 삼성 베트남의 총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한 343억 USD로 순조롭게 증가했다. 2022년 통년에 있어서의 동사의 수출액은 690억 USD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덧붙여 하노이시에 건설중의 연구개발(R&D) 센터에 대해서는 건설 작업의 85%가 완료되고 있어, 2022년 말 또는 2023년년 초에 개업할 전망이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Phạm Minh Chính 총리는 최근 농촌개발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DX) 사업을 승인하는 결정 제924호/QD-TTg를 공포했다.
이 프로그램은 2025년까지 낙도와 소수민족 거주지역, 산악지대 등도 포함하는 전국의 농촌부에서 실시한다. 새로운 농촌 개발에 DX 적용을 추진하고 국가 목표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고 농촌 경제 촉진에 기여하며 농촌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농촌과 도시 지역의 서비스 품질 격차을 축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신농촌 개발에 있어서의 디지털 정부의 개발에 대해서, 2025년까지에 걸쳐 신농촌 개발을 향한 국가 목표 프로그램을 디지털 기술에 의해 동기적이고 균일하게 실시해, 중앙 급과 성·시 급의 서류 90% 이상, 군·구 급 서류 80% 이상, 마을 급의 서류 60% 이상을 온라인으로 처리한다.
새로운 농촌 개발의 DX 사업에 있어서 농촌 경제 개발을 추진해, 그 일환으로서 디지털 경제를 촉진한다. 마을의 70% 이상에 협동조합을 두고, 군의 70% 이상에서는 현지 주요 농산물의 판매를 촉진하는 외부와의 연계 사업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덧붙여 연계 사업의 50%는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해 사업을 전개한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재정부는 최근 석유 관련 제품의 가격을 더욱 인하하여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석유 관련 제품에 대한 부가가치세(VAT)와 특별소비세(SCT)의 감세를 제안했다. 총리로부터 원칙승인을 얻은 후 관련 기관과 협력하여 현행 규정 개정하여 감세를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앞서 국회 상무위원회의 결의에 따라 석유 관련 제품에 대한 환경보호세의 추가 인하가 결정되었다. 이 조치는 7월 1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적용되고 있다. 이 조치의 적용으로 석유 관련 제품의 가격은 2월경 가격이 하락했다.
<2022년 1월 11일~8월 1일에 있어서의 가솔린 1L당의 가격 추이>(단위:VND)
수출입 관세의 인하 제안에 대해, 재정부는 이에 앞서 7월 19일, HS코드의 27.10(석유 및 역청유: 원유를 제외), 이러한 조제품(석유 또는 역청유의 함유량이 전체 중량의 70%이상의 것으로 또한 석유 또는 역청유가 기초적인 성분을 이루는 것에 한정하는 것으로 하고, 다른 항에 해당하는 것은 제외.) 및 폐유)에 속하는 무연의 가솔린에 대한 실행 최혜국세율(MFN세율)을 20%에서 10%로 낮추는 시행령 초안을 정부에 제출했다. 시행령이 공포되면 석유 관련 제품의 조달 국가가 증가하고 다양해져 석유 관련 제품 가격의 추가 인하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식량협회에 따르면 국산 쌀 수출가격이 안정적이며 쌀의 4대 수출국(태국, 인도, 파키스탄, 베트남)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준이다.
7월 25일 현재 베트남산 쌀 1톤당 수출가격은 쇄미율 5%가 418달러로 태국산 쌀을 21달러 상회한다. 쇄미율 25%에서는 베트남산 쌀이 태국산을 4달러 상회했고, 쇄미율 100%에서는 베트남산 쌀이 태국산을 9달러 웃돌았다.
태국과 파키스탄의 쌀 수출 가격은 하락하고 있으며, 톤당 400달러 이하가 되고 있다. 상반기 베트남산 쌀 수출량은 전년 동기 대비 15.4% 증가한 약 350만t. 주요 수출처는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한국, 필리핀 등으로 그 중에서도 필리핀용 수출은 전체의 49.89%를 차지해 잠재성이 가장 높은 시장이 되고 있다. 중국이나 아프리카, 쿠바용 수출도 안정되고 있다고 한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상공부와 재정부는 1일 오후 3시 휘발유, 디젤유(경유), 등유 판매 가격을 인하했다. 한편, 중유의 판매가격은 유지했다.
가솔린 가격은 4월 21일부터 7회 연속 가격 인상이 있었지만, 7월 들어 이후 4회 연속 가격이 인하되었다.
1L당 신단가와 가격 인하 폭은 다음과 같다.
◇옥탄가 95(RON95) 가솔린:1L당 2만 5600VND, 470 VND(1.8%)
◇가솔린 RON92의 바이오에탄올 5% 혼합 가솔린 「E5」:1L당 2만4650VND, 420VND(1.7%)
◇디젤유(경유):1L당 2만 3900VND, 950VND(3.8%)
◇등유:1L당 2만 4530VND, 710VND(2.8%)
◇중유:1kg당 1만6540VND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Phạm Minh Chính 총리는 2022년부터 2030년까지 젊은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을 승인하는 결정 제897호/QD-TTg를 공포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스타트업을 하는 젊은이들에게 재무관리나 회계, 세무, 자금운용, 인적자원관리, 마케팅, 품질관리, 공급체인관리 등 스타트업에 필요한 훈련을 하고 자금조달에서 스타트업을 지원해 청년 스타트업의 제품서비스 판매망 구축 등을 지원한다.
그 일환으로 2022년부터 2025년에 걸쳐 8000명 이상의 젊은이를 대상으로 스타트업을 지원한다. 이 중 혁신 분야를 1000명으로 한다.
아울러 매년 10만 명의 청년들이 스타트업과 경영관리에 대한 지식을 쌓고 능력 향상을 위한 훈련을 받으며, 8만 명의 청년들이 설립한 스타트업이 사업개발에 컨설팅과 지원을 받게 된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무역금융 관련 웹사이트(tradefinanceglobal.com)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베트남은 아세안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보다 매력적인 생산 투자처가 되고 있는 것 같다.
이 사이트가 '아세안에서의 매력적인 생산투자처'로 베트남을 평가한 이유는 '노동에 관한 비용 저렴함', '보다 간단한 공급망 통합', '자유무역 접근', '안정적인 정치' "이다.
지난 십년간 많은 기업들이 베트남에 진출했지만, 보다 저렴한 노동 비용이 공장 입지 장소를 결정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아니다.
기업은 공급망 통합의 요소를 검토해야 할 것이다. 베트남 생산업체와 공급망의 통합은 위(생산기업과 공급기업 활동)에서도 아래(최종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활동)에도 유익하다.
「위」(서플라이 체인)에 있어서, 동남아시아 국가가 중국을 넘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베트남 기업은 중국의 넓은 공급망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를 생각하면 베트남은 공급망에서도 어려움이 적다. 베트남에는 두 개의 주요 국제 공항이 있으며 여러 개의 큰 항구도 있다. 신뢰할 수 있는 전력 공급, 인터넷 접속도 손쉽다.
그 밖에도 베트남은 세계 50개국과 자유무역협정을 맺고 있어 국제적인 상품 판매를 용이하게 하고 있으며 생산업체는 고액 세금에 고민하지 않고 베트남산 제품을 유럽에 판매할 수 있다.
마지막 중요한 요소는 베트남 정치의 안정이다.
세계은행(WB)의 데이터에서도 베트남은 정치가 안정되어 있고 폭력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덧붙여 베트남은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의 감염 확대에 따른 공급망의 혼란을 극복하고 제조업을 중시하고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하이퐁시는 자동차나 조선을 포함한 수송용 기기 분야의 저변산업의 육성을 강화하기 위해 구조 구축과 정책 실시에 주력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강점 살리지 않고
산업분야는 하이퐁시의 강점이지만, 주변산업은 거기에 맞는 발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조선업에서는 디젤엔진 조립, 보일러 해치커버 제조, 도장, 용접봉, 용접 와이어, 방화문, 앵커 체인 및 선박용 기기 제조 등의 저변산업이 거의 발전하지 못했다.
2021년 하이퐁시 조선업은 성장이 둔화되어 광공업 생산지수는 23.21%로 떨어지는 등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국가에 의한 우대 정책은 많이 있지만, 자동차 제조·조립업에서도 공급망용 부품을 제조하는 기업을 거의 자리지 못했다.
하이퐁시의 자동차산업은 10톤 미만의 트럭과 같은 이전부터 있던 제품은 지금도 평균적인 성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빈페스트 자동차의 공업단지 건설에 의해 2019년과 20년은 크게 성장했다. 2020년 광공업 생산지수는 19.03% 상승했고, 2021년에는 57.27%를 기록했다. 빈페스트 자동차는 예비 부품과 카시트, 프론트와 범퍼의 제조, 엔진 조립 및 자동차 프레임 용접을 수행하는 대규모 공장에 해외 투자를 유치했다.
◇저변산업에 대한 정책
하이퐁시 인민위원회는 저변산업을 강화하고, 특히 기계와 자동차 제조·조립업 등에 대한 투자를 유치함과 동시에 과학기술과 저변산업에 관련된 인재육성을 강화할 방침이다.
그리고 2025년까지 산업 클러스터에 있어서의 기술 인프라의 구축과 시의 저변산업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기계와 저변산업을 위해 계획된 많은 산업 클러스터에서는 인프라 개발과 투자유치를 동기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생산가치를 높이고 글로벌 밸류체인에 더 깊게 참여할 수 있도록 주요 산업을 지지하는 저변산업의 육성을 우선시할 예정이다. 이 산업은 도시의 산업 재구성에서 중요한 주도적 역할을 담당한다.
2025년까지 하이퐁시는 15개의 공업단지(총면적 6418헥타르)와 23개의 산업 클러스터(동 973헥타르)를 건설해 저변산업에 대한 투자를 장려해 나간다.
하이퐁시는 장기전 략의 일환으로 현지산업의 재구축에 임하고 있으며 기계 엔지니어링, 전기·전자기기, 화학과 관련된 저변산업에 중점을 두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동북부 지방 꽝닌성 인민평의회는 최근 열린 제9회 회의에서 2030년 중앙 직할시가 되는 것을 담은 '2021~2030년 꽝닌성 기본계획 및 2050년까지의 비전'에 관한 결의를 채택 했다. 동성공산당위원회 서기인 성인민평의회의 Nguyễn Xuân Ký 의장은 성인민위원회에 총리에게 재출하 계획을 전달하고 승인을 받도록 요청했다.
계획에 의하면, 꽝닌성은 현재의 4시 2읍 7군의 13개의 행정 단위를 2030년까지 12개의 행정 단위(Móng Cái 와 Hải Hà군을 합병)로 해, Hạ Long, Cẩm Phả, Uông Bí, Móng Cái – Hải Hà, Đông Triều, Quảng Yên, Vân Đồn. Dân 등 7개 행정단위를 바탕으로 중앙직할시를 형성한다. 성 전체의 인구 규모는 약 264만명을 상정하고 있다.
꽝닌성은 “1개의 중심 도시, 2개의 회랑, 2개의 발전구, 3개의 개발 존”을 경제사회의 발전 방침으로 하고 있다. 중심은 하롱시, 2개의 회랑은 하롱시에서 Đông Triều나 하노이시로 향하는 서회랑과 하롱시에서 Móng Cái시와 동북아시장으로 향하는 동회랑 등.
2개의 발전구는 반둥 경제구와 Móng Cái 국경 경제구의 개발을 의미한다. 3개의 개발 존은 ◇하롱 대도시권(인구 규모 190만명), ◇해양·삼림 관광 도시권(동 32만 3000명), ◇국경 경제 도시권(동 42만명) 등이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상공부가 작성한 상업 인프라 관리 규정의 초안에 있어서 편의점의 고객을 반경 500m 이내의 주민으로 제한한다고 하는 내용에 대해서, 지나치게 세세한 데다 실현성이 낮다고 하는 소리가 나오고 있다.
상공부는 슈퍼마켓, 쇼핑센터, 아울렛몰, 편의점 등 다양한 형태의 상업시설 인프라 분류 및 관리에 관한 시행령 초안에 대해 관계기관들부터 의견청취를 하고 있다.
그 초안 가운데 편의점에 대해 반경 500m 이내의 고객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셀프 판매나 체인점, 전자 결제의 도입 등 몇 가지 새로운 기준이 제안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편의점은 집합 주택, 상업 서비스 지역, 관광지,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지역에 배치하고, 면적은 30~200㎡로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 편의점의 상품은 인스턴트 식품, 잡화, 일용품 등이 포함되어 1 점포당 3000 아이템의 상품을 판매한다고 한다.
이번 초안에서 규정된 각종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상점은 슈퍼마켓, 편의점, 아울렛몰, 쇼핑몰이라는 명칭을 붙일 수 없다. 이에 해당하는 가게는 베트남어 또는 외국어에서도 supermarket, hypermarket, bigmart, bigstore, shopping center, trade center, plaza 등의 간판 표시를 사용할 수 없다고도 되어 있다.
상공성부 초안에서 제안된 기준에 대해 전문가들은 현실에 맞지 않고 실현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예를 들어 반경 500m 이상 고객이 쇼핑 오핑 오는 것을 거부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만약, 이 규정 대로 실제로 운용한다면, 각 점포는 쇼핑객의 주소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반경 500m 이상 주민의 쇼핑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라고 한 전문가는 말한다..
소매판매의 한 전문가도 이 초안에서 규정된 편의점과 슈퍼에 관한 규정의 대부분이 "기계적"이라고 지적한다. 이러한 행정기준은 관리나 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는 있지 모르겠지만 현실에는 맞지 않다.라며, “당국은 편의점을 포함한 상업 인프라의 경쟁력과 관리를 개선하기 위해 규정을 개선해야 한다”라고 지적한다.
베트남 소매업 협회의 회장도 다양한 종류의 상업 인프라를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규제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라며 상공부가 제안한 초안에서는 내용이 너무 세세한 데다 실현성이 부족하고 현실 소매업의 발전 상황에 맞지 않았다고 회장은 지적한다.
소매업 협회 회장은 현재 각 회원들의 의견을 구하고 있으며, 이 규정의 발행에 있어 보다 현실적인 제안을 제출할 예정이라고 한다.
법률 전문가들도 보통 기업들은 소비자에게 인지와 광고를 위해 자사의 업종을 자발적으로 분류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정부는 기업이 소비자를 속이거나 오해를 초래하는 표현을 한 경우에만 개입해야 한다고 전문가는 말한다.
확실히 의약품 관리에 있어서는 업자가 기능성 식품을 의약품과 같이 거짓 판매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의약품과 기능성 식품을 명확하게 분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공부 초안에서의 편의점 기준은 보이지 않는 형태로 고객의 구매행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국가는 단순한 분류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경쟁력을 확보하고, 생산을 촉진하고, 매매 활동을 투명화하고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라고 전문가는 말한다.
즉, 슈퍼마켓, 쇼핑센터, 편의점 등의 상업 인프라 분류 기준은 각 소매형태의 정당한 경쟁을 조장하기 위해 품질관리와 서비스면에서 강화되어야 하며, 면적 및 판매대상자의 거주지역 , 점포에서의 판매 아이템수 등과 같은 무의미한 기준으로 관리해서는 안 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호치민시 인민평의회는 최근 신형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영향을 받은 기업들을 위한 지원책으로 동시의 항만 인프라 사용료에 관한 결의를 채택했다.
결의에 따르면, 동시는 8월 1일부터 항만 인프라 사용료를 50% 감액한다. 다만, 국방·안전보장이나 보안, 자연재해·역병 여파의 극복에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상품이나, 보세창고에 반입하는 상품, 베트남을 경유하는 상품 등에 대해서는 전액 면제한다. 이 밖에 베트남 정부와 캄보디아 정부의 수운에 관한 합의에 근거해 수로에서 항만에 출입하는 수입품에 대해서도 요금을 면제한다.
동시는 항만 인프라 사용료의 징수를 4월 1일에 개시했지만, 시내의 항만에서 취급되는 수출입품의 양이 매우 많기 때문에 항만 인프라 사용료의 징수가 기업의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고 지적되어 왔다.
항만 인프라 사용료의 최저 요금은 1t당 1만 5000VND, 최고 요금은 40피트 컨테이너당 440만 VND로 요금 납부는 현금이 아니고, 전자 결제로 실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호치민시 교통 운수국에 따르면, 징수 개시로부터 2개월 만에 5000억 VND 넘게 징수했다. 2025년 말까지 약 16조VND 징수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징수한 요금은 시의 예산으로 납입해, 항만 주변의 교통 인프라 정비에 충당될 예정이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