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태국 자본의 시암·부라더스·베트남(Siam Brothers Vietnam)사는 연내에 호치민시 증권 거래소에 상장한다.
어업용 밧줄과 그물을 제조·판매하며 2015년 매출 4,620억동(약 2,100만달러), 세전 이익 850억동(약 386만달러) 전년 대비 60.4%증가했다. 올해는 매출 6,160억동(약 2,800만달러), 세후 이익 1,180억동(약 536만달러)의 전망. 안정된 현금 배당을 했으며 2015년과 2016년은 25%이다.
새 공장 건설, 사업 확장 때문에 7월 27일~8월 15일 1주 3만 3,000동(약 1.5달러)에서 420만주를 내놓아 1,351억동(약 614만달러)를 조달할 계획.이 발매 후 상장 절차를 진행한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국가 임금 심의회는 2일 정부에 제출할 2017년 일반 노동자용 지역별 최저 임금 인상안을 결정했다. 이에 따르면 2017년 최저 임금은 현행보다 평균 +7.3%, 금액으로 18만 ~ 25만 VND 오를 전망이다. 최저 임금 안에 대해서는 노사에 의견이 엇갈리고 있었지만 이번 제2차 회의에서 합의에 이르렀다.
이번 결정한 지역별 최저 임금 안은 다음과 같다.
◇ 제1종:350만 VND(약 1만 6100엔)→ 375만 VND +7.1%증가
◇ 제2종:310만 VND(약 1만 4300엔)→ 332만 VND +7.1%증가
◇ 제3종:270만 VND(약 1만 2400엔)→ 290만 VND +7.4%증가
◇ 제4종:240만 VND(약 1만 1100엔)→ 258만 VND +7.5%증가
국가 임금 심의회는 향후 이를 정부에 제출할 방침으로 이 방안이 승인되면 2017년 1월 1일부터 새로운 최저 임금이 적용될 전망이다.
당초 노동자를 대표하는 베트남 노동 총연맹은 2017년 최저 임금을 지역에 따라서 +25만 40만 VND, 평균적으로 전년 대비 약+10.0~11.0% 인상하도록 제안하는 한편, 고용자를 대표하는 베트남 상공 회의소(VCCI)는 +10만~18만 VND, 평균적으로 전년 대비 약 +4.62%인상 하도록 제안했다.
또한 제1종 지역은 ◇ 하노이시 ◇ 홍강 삼각주 지방 하이퐁시 ◇ 호치민시 ◇ 동남부 지방 빈증 성, ◇ 바리아·붕따우 성, ◇ 동나이 성. 제2~4종 지역은 경제의 발전 정도에 따라 각각 지역별로 지정되어 있다.
베트남 최저임금 관련 지역 구분
○ 1 지역
- 하노이시 도심지역과 쟈럼, 동안, 속선, 탄찌, 뜨리엠, 트엉 띤, 호아이 득, 쿠옥 오아이, 탄 오아이, 메린, 쯩미 군·현 선떠이 면
- 하이퐁시 산하 투이 응웬, 안즈엉, 안라오, 빈바오 군·현
- 호치민시 도심지역과 구찌, 혹몬, 빈짠, 냐베 현
- 동나이성 산하 비엔호아시. 년짝, 롱탄, 빈끄우, 짱봄 현
- 빈증성 산하 투 져우 못, 투언안, 지안, 벤깟, 떤우웬 현
- 바리아 붕따우성 산하 붕따우시
○ 2 지역
- 하노이시 산하 나머지 현 지역
- 하이퐁시 산하 나머지 현 지역
- 하이 즈엉시 산하 하이 즈엉시
- 흥 이엔성 산하 흥 이엔시, 미 하오, 반 럼, 반 쟝, 이엔미현
- 빈푹성 산하 빈이엔시, 푹 이엔읍, 빈쑤웬, 이엔락 현
- 박닌성 산하 박닌시, 뜨선군, 꿰보, 띠엔쥬, 이엔퐁, 투언탄 현
- 꽝닌성 산하 하롱, 몽까이시
- 타이응웬성 산하 타이응웬 시
- 푸토성 산하 비엣 찌시
- 라오 까이성 산하 라오 까이시
- 닌빈성 산하 닌빈시
- 후에성 산하 후에시
- 다낭시 산하 각 군·현
- 칸호아성 산하 냐짱시, 깜란 군
- 럼동성 산하 다랏시, 바오록시
- 빈투언성 산하 판티엣 시
- 호치민시 산하 나머지 현 지역
- 동나이성 산하 롱칸 군, 딘 쿠안, 쑤언록 현
- 빈증성 산하 푸쟈오, 져우띠엥현
- 빈프억성 산하 쩐탄현
- 바리아 붕따우성 산하 바리아군, 떤탄 현
- 롱안성 산하 떤안시, 득호아, 벤륵, 껀드억, 껀쥬옥 현
- 띠엔쟝성 산하 미토시
- 껀터시 산하 각 군
- 끼엔쟝성 산하 락쟈시
- 안쟝성 산하 롱쑤웬시
- 까마우성 산하 까마우시
○ 3 지역
- 나머지 성의 직할시(2급지에 언급된 직할시 제외)
- 하이즈엉성 산하 찌린군, 껌쟝, 남삭, 낌탄, 낀몬, 쟈록, 빈쟝, 뜨끼 현
- 빈푹성 산하 빈뜨엉. 땀다오, 땀즈엉, 럽탁, 송로 현
- 푸토성 산하 푸토군, 푸닌, 럼타오, 탄바, 땀농 현
- 박닌성 산하 쟈빈, 르엉따이 현
- 박쟝성 산하 비엣이엔, 이엔 덩, 히엡호아, 떤이엔, 랑쟝 현
- 꽝닌성 산하 우옹비, 껌파 군, 호앙보, 동찌에우 현
- 라오까이성 산하 바오탕, 사파 현
- 흥이엔성 산하 나머지 현
- 타이응웬성 산하 송꽁군, 포이, 푸빈, 푸르엉, 동히, 다이뜨 현
- 남딘성 산하 미록현
- 하남성 산하 쥬이띠엔 낌방현
- 닌빈성 산하 땀디엡 군, 쟈비엔, 이엔칸 호아르 현
- 탄호아성 산하 빔선군, 띤쟈현
- 하띤성 산하 끼안현
- 후에성 산하 흐엉투이군, 흐엉짜, 푸록, 퐁디엔, 꽝디엔, 푸방현
- 꽝남성 산하 디엔반, 다이록, 쥬이쑤웬, 누이탄현
- 꽝응아이성 산하 빈선, 선띤현
- 푸이엔성 산하 송꺼우군
- 칸호아성 산하 깜럼 디엔칸, 닌호아, 반닌현
- 닌투언성 산하 닌하이, 투언박현
- 꼰뚬성 산하 닥하현
- 럼동성 산하 득쫑, 지린현
- 빈투언성 산하 라지군, 함투언박, 함투언남현
- 떠이닌성 산하 짱방, 고져우현
- 빈프억성 산하 동쏘아이, 프억롱, 빈롱군, 동푸 헌쿠안 현
- 동나이성 산하 나머지 현
- 빈증성 산하 나머지 현
- 바리아 붕따우성 산하 롱디엔, 덧도, 쑤웬목, 쩌우득, 꼰다오현
- 롱안성 산하 투트어, 득후에, 쩌우, 떤쭈, 탄호아현
- 띠엔쟝성 산하 고꽁군, 쩌우탄 현
- 벤쩨성 산하 쩌우탄현
- 빈롱성 산하 빈민, 롱호현
- 껀터시 산하 각 현
- 끼엔쟝성 산하 하띠군, 끼엔르엉, 푸쿠옥, 끼엔하이, 쟝탄, 쩌우탄 현
- 안쟝성 산하 쩌우독, 떤쩌우군
- 허우쟝성 산하 응아바이군, 쩌우탄 쩌우탄 A현
- 까마우성 산하 남깐, 까이느억, 우민, 쩐반터이 현
○ 4 지역: 기타 전 지역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하노이시 인민 위원회는 7월 30일, 응웬 떤 중 전 총리가 재임 중에 승인했던 "2030년까지 수도 하노이시 교통 운수 계획 및 2050년까지 비전"을 공표했다.
이에 따르면 교통 개발용 용지는 3만 3237ha로 계획 전체의 자금은 총액 1235조 3800억 VND이 필요하다. 자금은 국가 예산과 정부 개발 원조(ODA), BT(건설·양도)나 BOT(건설·운영·양도), 관민 파트너십(PPP), BOO(건설·소유·운영)방식에 의한 조달한다.
도로와 철도 개발 계획에 대해서는 Hồng 강이나 Đuống 강, Đáy 강, Đà 강을 건너는 다리 18개를 건설하는 것 외에 모노레일 8노선 버스 고속 수송 시스템(BRT) 8개 노선 등을 정비한다. 또한 교통량이 많은 각 국도와 4~8차로 고속 도로 시스템을 정비한다.
동시의 추계에 따르면 도시의 인구는 2020년까지 790만명, 2030년에 920만명, 2050년에는 1080만명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다만 도심부의 인구는 현재 120만명에서 2030년에는 80만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고있다.
동시의 인구 규모와 사회 경제 발전 상황을 토대로 이번 계획에서는 대중 여객 수송 시스템의 개발을 우선하기로 하고 2020년에는 왕래 수요의 30~35%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2030년에 50%, 2030년 이후에는 70%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내걸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보건부 감사부는 Coca-Cola Vietnam사에게 식품 안전에 관한 위반으로 4억 3,300만동(약 1만 9,682달러)의 벌금을 부과했다.
위반 행위는 호치민시, 하노이 시, 다낭시의 각 거점의 식품 안전 요건 증명서의 미 취득의 영양 강화 식품의 제조, 에너지 드링크"Samurai"(유리 병 240ml)의 1lot의 품질이 비타민 B9의 적용 공표치와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매된 회수 불능 위반품 총액은 2억 3,379만 2,000동(약 1만 627달러)이다.
보건부는 벌금을 부과하고, 적용 공개 기준에 품질이 부합하지 않는 상품을 최대한 회수하고 결과를 보고하도록 명령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계획 투자부 해외 투자국(FIA)이 발표한 해외 직접 투자(FDI)에 관한 데이터에 따르면 2016년 연초 7개월간의 FDI 인가액(추정치)은 전년 동기 대비 +46.9% 늘어난 129억 4042만 USD에 달했다. 단, 연초 6개월 시점의 동 2.1배에 비해 크게 둔화되고 있지만 이는 전년 7월 삼성 디스플레이(Samsung Display)의 대형 안건이 인가됐기 때문이다.
또 동기인 실행액(추정치)은 85억 5000만 USD에서 동+15.5%증가했다.
연초 7개월간의 신규 인가 안건 수는 전년 동기 대비+31.8% 늘어난 1408건으로 인가액은 동 +25.5% 늘어난 86억 9520만 USD. 추가 인가 안건 수는 동 +93.5% 늘어난 660건으로 인가액은 같은 2.3배의 42억 4522만 USD이었다.
국가·지역별 인가액에서는 한국이 42억 0949만 USD로 전체 32.5%를 차지하여 계속 톱, 또 싱가포르의 인가액이 연초 6개월 시점의 약 11억 2904만 USD에서 13억 9278만 USD로 늘어 2위로 부상. 전기 2위의 일본은 인가액 13억 7587만 USD로 3위. 대만이 11억 2113만 USD로 4위, 홍콩은 인가액 10억 0525만 USD로 5위였다.
지방별 인가액에서 1위는 홍강 삼각주 지방 하이퐁시의 19억 8782만 USD로 전체 15.3%를 차지했다. 2위는 하노이시의 16억 8698만 USD, 3위는 동남부 지방 동나이 성으로 14억 5320만 USD이다.
또한 7월에 인가된 대형 안건으로는 태국 기업이 동나이 성에 계획하고 있는 도시 공단 복합 안건"아마타 롱탄"(투자액 3억 0930만 USD)이 꼽힌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2015년 베트남에서 실시된 M&A(합병·매수)의 거래 총액은 2009년 10억 USD에 비해 5배 이상인 52억 USD로 급격히 확대되었다. 더욱이, 2016년 상반기에만 거래액이 30억 USD을 넘어섰다.
인수 합병, 제휴 연구소(IMAA)에 따르면 세계의 M&A활동 순위에서 베트남은 현재 거래 건수 약 400건으로 세계 20위로 떠오르고 있다. 2015년의 거래 건수는 339건으로 24위였다.
또 국제 통화 기금(IMF)은 베트남 국내 총생산(GDP)이 세계 55위에 머무는 한편 M&A가 세계 20위의 규모로 확대하는 것은 베트남 경제가 새로운 발전 단계에 돌입한 증거라고 한다.
베트남에서 실시되는 대형 M&A안건은 소매, 소비재, 부동산 업계가 중심으로 이에 최대 대베트남 투자 국가는 태국과 일본, 싱가포르가 되고 있다. 일본이 가솔린·석유와 항공 관련 사업에서 전략적으로 투자하는 반면 싱가포르는 부동산 사업, 태국은 소매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2015년부터 2016년 상반기까지 베트남에서 진행된 주요 대형 M&A안건은 다음과 같다.
◇ 태국의 소매 최대 센트럴 그룹(Central Group):프랑스의 카지노 그룹(Casino Group)으로부터 마켓"빅 C"를 11억 4000만 USD에 인수.
◇ 태국의 맥주 양조 업체 Boon Rawd Brewery 산하의 Singha: Masan Group 자회사 Masan Consumer Holdings(MCH) 주식 25% 및 Masan Brewery 주식 33.3%를 11억 USD에 취득.
◇ 태국의 대형 재벌 TCC그룹(TCC Group):독일계 도매 유통 업체 Metro C&C를 7억 1100만 USD에 인수.
◇ JX에너지 주식 회사: 베트남 최대 원유 딜러의 페트로 리멕스 총 공사(Vietnam National Petroleum Group) 주식 8.0%를 취득.
◇ ANA그룹: 베트남 항공(Vietnam Airlines=VNA)주식 8.8%를 총액 2조 4310억 VND으로 취득.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세관 총국의 통계로에 따르면 2016년 상반기의 휴대 전화·, 부품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의 약 170억달러였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수출의 20.6%에 해당한다.
수출국을 지역별로 보면 유럽 연합(EU)이 6.2% 늘어난 52억 8000만달러로 전체의 31.1%를 차지하여 최대였다. 그 다음에 아랍 에미리트(UAE)가 0.4% 늘어난 22억 2000만달러, 미국이 60% 늘어난 20억 700만달러, 한국 13억 3000만 달러 등이었다.
휴대 전화의 수출 증가에 대해 세관 총국은 한국의 삼성 전자와 LG전자, 미국 마이크로 소프트 등 대기업 메이커가 생산 거점을 늘린 것을 주요 요인으로 꼽는다.
휴대 전화 이외의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의류품이 6.4% 늘어난 108억 5000만달러로 전체의 13.2%, 컴퓨터 전자 기기· 부품이 7.1% 늘어난 78억 8000만달러로 전체의 9.6%등이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호치민시가 2016년 1월~7월 15일 유치한 외국인 직접 투자(FDI) 자금은 8억 6360만달러로 전년 동기의 약 25억달러에 비해서 약 3분의 1에 그쳤다.
호치민시 통계국의 데이터에 따르면 이 중 신규 프로젝트가 448건으로 6억 3810만달러, 증자가 78건으로 2억 2550만달러. 그 중 가장 많은 투자를 끌어들인 분야는 부동산으로 12건에 2억 7880만달러. 이어 소매, 도매 등의 상업 분야가 168건 1억 8460만달러였다.
국가·지역별로는 케이맨 군도가 4건 2억 3050만달러로 가장 높았고 2위는 일본의 9610만달러. 다음 싱가포르(8720만달러), 한국(5120만달러)등으로 이어졌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내륙 수로 관리국(VIWA)의 최신 보고서에서 2018년까지 국내의 수상 교통의 인프라 정비와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약 8250억동(3670만 미 달러)의 경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국영 베트남 통신(VNA)이 전했다.
VIWA의 조사로는 국내에는 646개 이상의 교량이 있으나 이 중 251개의 다리가 내륙 수상 교통의 안전 기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수상 교통은 특히 홍수의 계절이 되면 하천 흐름이 회전하여 위험이 커지고 사고 위험이 높아진다. 또 교량의 손상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VIWA가 72개의 교량을 검사한 결과 67개의 다리에 원격 경보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거기에는 726억동(320만달러). 또 수리 개축할 필요가 있는 다리는 2017년 54개로 그 경비는 3170억동(1410만달러). 2018년 62개로 4347억동(1930만달러)으로 알려졌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정부는 최근 거시 경제에 관한 데이터 분석을 토대로 작성한 "2016년 상반기(1~6월) 경제 사회 상황 보고서"를 국회에 제출했고 이 가운데 "베트남 정부 채무가 국회에서 정한 상한을 2016년 말까지 넘을 가능성이 있다"라고 지적했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상반기 GDP(국내 총생산) 성장률이 5.52%에 그쳐 연중 목표의 6.7%에 못 미치고 전년 동기의 6.32% 보다 낮았다. 성장 둔화의 요인은 여러가지 있지만 특히 농업과 광업의 침체가 발목을 잡았다. 경제 침체는 재정 적자, 공적 채무, 정부 채무에 마이너스의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공적 채무 잔고의 GDP 대비는 2015년 말 시점에서 62.2%로 국회가 정한 상한(65%)에 다가서고 있다. 정부 채무 잔액의 GDP 대비는 50.3%로 상한선(50%)을 이미 0.3포인트 웃돌고 있다. 앞으로는 재정 적자가 국회의 인정한 수준을 웃돌 것으로 예상되면서 공적 채무와 국가 채무 모두 2016년 말에는 상한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영국의 이코노미스트의 세계 채무 시계의 데이터에 따르면 베트남의 공적 채무는 현재 948억달러에 이르러 한명 당 약 1040 달러에 이른다.
한편 베트남 정부는 2016~20년에 약 2260조동의 차입을 계획하고 있다. 이는 GDP의 약 8.13%에 해당하며, 연평균 약 450조동에 이른다. 또 동기의 베트남 정부 상환액은 약 2000조동에 달할 전망이다. 또한 2011~15년의 채무는 전기(2006~10년) 2.9배의 1930조동에 이른다.
또 베트남 2016년 1~6월의 세입 총액은 약 477조동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 늘고 세출은 약 563조동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증가했다. 이 중 빚과 유상 원조의 상환이 5.2% 증가, 통상적 지출이 5% 증가했다.
정부 보고서는 2016년 성장률 목표 6.7%를 달성하려면 하반기(7~12월)에 7,6%의 GDP증가율을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하며 인플레이션에 대해서도 상반기에는 억제할 수 있었지만 인플레이션 위험은 높아지고 있다며 연간 목표 치 5%를 넘어설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상공 회의소(VCCI) 껀터(메콩 델타 지방 껀터시)지부의 응웬 흐엉 람 부지부장에 따르면 2016년 상반기의 메콩 삼각주 지방에의 해외 직접 투자(FDI) 인가액은 13억 9900만 USD에 달해 과거 20년간 가장 높았다. 이는 껀터시에서 25일 개최된 이 지방의 사회 경제 상황에 관한 기자 회견에서 밝혀졌다.
람 부 지부장에 따르면 상반기의 메콩 델타 지방 신규 인가 안건 수는 79건으로 인가액은 9억 8700만 USD. 추가 인가 안건 수는 51건으로 인가액은 4억 1200만 USD였다. 환 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TPP)의 혜택을 예상한 봉제업, 제화업에 대한 아시아 국가에서 투자가 중심이 되고 있다.
다만 이 지방의 강점인 농업 분야에의 외자 유치는 아직 침체하고 있다. 상반기 이 분야의 신규 인가 안건 수는 일본계 기업의 약초 재배 안건 1건으로 인가액은 6만 8000USD에 그쳤다.
또한 상반기의 메콩 삼각주 지방 13개 성 시의 명목 국내 총생산(GRDP)은 255조 VND으로 실질 GRDP성장률은+6.5%였다. 또 상반기의 이 지방 전체 수출액은 61억 2000만 USD로 그 중 롱안 성이 18억 USD를 차지했다. 이어 띠엔장 성(9억 0800만 USD), 껀터시(6억 5000만 USD)등.반면 수입액은 28억 VND로 그 중 롱안 성이 14억 USD였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일본의 대형 고급 백화점 주식 회사 다카시마야(高島屋: 오사카시 츄오구) 및 자회사인 토진(東神) 개발 주식 회사(도쿄도 세타가야 구)는 7월 30일 다카시마야 그룹으로서 베트남 최초의 쇼핑 센터인 "사이공 센터(Saigon Centre)"와 임대 "호치민 다카시마야"를 호치민시 1구 레로이대로 65번지(65 Le Loi St., Dist.1, Ho Chi Minh City)에 오픈한다. 이는 싱가포르의 대형 부동산 회사 Keppel Land 및 현지 기업 2개 회사와의 협업에 의한 것이다.
"사이공 센터"는 호치민시 최초의 센터내 백화점을 임대한 본격적 원스톱 쇼핑 센터로 면적 1만 5000㎡(지하 2층~지상 3층)매장에 약 210브랜드를 전개하는 백화점 "호치민 다카시마야"에전문점 존 4만 0500㎡(지하 2층~지상 5층)에는 145전문점이 들어선다.
"사이공 센터"(전문점)은 베트남 최초 출점이 29개 점포, 호치민시 최초 출점이 37개 점포, 일본 브랜드가 12개 점포."호치민 다카시마야"(백화점)은 베트남 최초가 58개 브랜드, 호치민시 최초가 61개 브랜드, 일본 브랜드가 31개 브랜드이다.
"사이공 센터"및"호치민 다카시마야"영업 시간은 9시 30분부터 21시 30분까지. 전문점 5층 레스토랑은 10시 30분부터 22시 30분까지. 정기 휴일은 테트(설날)의 년 2일을 예정하고 있다. 자세한 것은 웹 사이트<사이공 센터: http://www.saigoncentre.com.vn/ > 및 <호치민 다카시마야: http://www.takashimaya-vn.com/ >을 참조.
다카시마야 그룹은 ASEAN국가들을 축으로 한 해외의 다점포화를 추진하면서 싱가포르와 중국 상하이에 이어 베트남이 3개째의 출점이 된다.또 2017년도에는 태국 방콕에의 출점도 예정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정부는 민간 항공 분야의 사업 조건을 규정한 정령 92/2016/ND-CP호(7월 1일 발효)을 공고했다.
항공 분야는 ▽ 항공 수송 ▽ 공항, ▽ 공항에서 항공 서비스, ▽ 항공기 엔진, 프로펠러 항공기 설비의 설계·생산·관리·시험 ▽ 비행 활동 보장 서비스, ▽ 항공 직원 업무 육성·훈련 서비스 등의 사업 조건을 정하고 있다.
항공 운송 사업 회사를 설립·유지하는 최저 자본 액수는 항공기 10대까지로 국제선을 운항할 경우 7,000억동(약 3,182만달러)국내에서만 3,000억동(약 1,364만달러), 11~30대는 차례로 1조동(약 4,545만달러), 6,000억동(약 2,727만달러), 30대 이상으로 동 1조 3,000억동(약 5,909만달러), 7,000억동.
외국의 항공 운송 사업은 다음의 2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 외국 측이 자본금 30%를 넘지 않는다. ▽ 최대의 자본 소유자가 베트남의 개인 또는 법인(베트남 법인에 외국의 출자가 있으면 외국 투자 자본이 자본금의 49%를 넘지 않아야 한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노동 보훈 사회부 해외 노동 관리국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2016년 상반기 해외 파견 근로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 3.64% 줄어든 5만 4131명(여성 1만 9792명)으로 2016년 연간 목표 치 10만명의 54.13%를 달성했다.
상반기에 보낸 해외 파견 근로자 수를 파견지 별로 보면, 파견 근로자 수가 가장 많은 곳은 계속 대만으로 2만 9292명(여성 1만 0210명), 다음 ◇ 일본:1만 5662명(동 7137명), ◇ 한국:4040명(이 289명), ◇ 말레이시아:1624명(동 875명), ◇ 아라비아:1749명(동 1129명), ◇ 마카오:161명(동 128명)등이다.
호주 정부는 연내에 200명의 베트남인에게 관광과 노동이 가능한 체류 비자를 발행하고 있다. 이로써 베트남인은 호주에서 12개월간 관광과 함께 높은 임금으로 노동이 가능하다.
또 한국은 5월 불법 체류자 및 불법 취업자 증가에 따른 "고용 허가(EPS)프로그램"에서 수용을 제한하고 있던 베트남인 노동자가 제한을 해제하는 것에 베트남과 합의하고 각서를 체결했다. 한국은 연내에 3500명의 베트남인 근로자를 수용할 방침이라고 한다.
이 외, 타이는 건설과 어업 분야에서 베트남인 근로자를 시험적으로 받아들일 계획이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통계 총국(GSO)의 발표에 따르면 2016년 7월 전국 소비자 물가 지수(CPI)는 전월 대비 +0.13%상승했으며 10개월 연속 상승했다. 단, 7월 기준으로 2013년 이후 최저의 상승률이었다. 전년 동월 대비 CPI는 +2.39% 상승, 연초 7개월에서는+1.72%의 상승이다.
전월 대비 CPI을 품목별로 보면 11개 품목 중 8개가 전월 대비 상승했으며 기름 가격은 6월 20일과 7월 5일 2회 연속 내렸지만 6월 4일 인상 폭이 컸던 것으로 7월의 CPI에 영향을 미치고 "교통"이 +1.19%로 가장 많이 상승했다. 또 무더위로 전력, 수도의 수요가 높아지면서"주택, 전기, 수도, 연료, 건설 자재"가 +0.14% 올랐다.
한편"식료품·음식 서비스"가 ▲ 0.05%하락. 이 외,"우편 통신"이 ▲ 0.10% 내렸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21일 베트남 넷은 국유 기업의 관리·운영 권한을 관할 부처로부터 이관 할 "특별 위원회"의 개요 등에 대해서 계획 투자부가 정한 정령 안의 내용을 전했다. 이에 따르면 특별 위에는 전력 석유 가스, 항공 해운 통신 등 각 분야의 국유 기업 대형 30개 경영권을 이관하겠다고 밝혔다. 특별위 설치 법안은 제3분기 중 국회에서 심의될 예정이다.
◇ 주요 30개사 위원회로 이관
올해 초 정부가 공표한 통계에 따르면 정부가 지분의 전부 또는 과반수를 보유하고 부처 및 그 관련 부서가 운영하는 기업의 자산 총액은 약 5000조동(2222억달러)에 이른다. 위원회로 이관시키는 30개의 자산 총액은 이 중 80% 이상을 차지한다고 한다.
정령 안은 특별 위의 주요 역할로서 (1)국유 기업에 투자한 정부 자본의 관리·평가와 투자 환경 분석 등 (2)국유 기업의 주인, 주주로서 모든 권리 행사 (3)생산 사업 자금 지출 관리에 관한 정부와 수상에게 조언 등 3가지를 들고 있다.
정령 안에 특별위에 이관을 지정한 30곳 중 주요 기업은 다음과 같다.
베트남 섬유 봉제 그룹(비나 텍스), 베트남 석유 가스 그룹(페트로 베트남), 베트남 전력 공사, 베트남 화학 총공사(비나켐), 석탄·광물 산업 그룹(비나코밍), 베트남 우정 공사, Vietnam Rubber 그룹, BAOVIET 그룹, 국가 자본 투자 공사(SCIC)등.
계획 투자부 장관은 호치민시의 법률 전문지에 대해 국가의 경영의 약점을 보완하려는 이러한 위원회가 필요하다고 지적. 또 위원회는 기업과 비슷하게 기능한다고 보고 있다.
◇ 이권 포기 어려워
정령 방안에 대해서 베트남 금융 투자가 협회의 부회장은 "실용성 넘친 내용"으로 평가한다. 부회장은 베트남 이코노믹 타임스에 특별 위원회 설치에 의한 각 부처는 정부의 일에 집중하는 단일 위원회가 국유 기업을 운영하기 쉽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반면 SCIC에 국가의 투자 권한을 옮겼을 때 시간이 걸리고 현재도 전력 가스 등의 분야에서 정부가 권한을 유지하는 것을 예로 들며 특별 위에 권한을 이관해도 마찬가지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하며 특별 위에 이관을 위해서는 보다 강한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또 특별위 구성을 고안한 중앙 경제 관리 연구소(CIEM)소장를 지낸 이코노미스트는 국유 기업은 정부나 부처에게 큰 이권의 씨앗이 보이면 국유 기업이 정부로부터 벗어나기는 쉽지 않다고 본다. 이 때문에 국유 기업 경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최고의 방책은 주식 회사화를 가속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인도 은행(Bank of India=BOI)는 22일 인도 은행 최초로 베트남 지사를 호치민시에 개설했다. 이는 동행이 개설한 해외 지점으로 61개째.
이 지점은 동시 1구 Tôn Đức Thắng 대로 37번지에 있는 오피스 빌딩"사이공 트레이드 센터(Saigon Trade Center)"에 위치하고 있다. 자본금은 1500만 USD로 활동 기간은 자격증 취득일로부터 99년.
BOI는 2003년 호치민시에 주재원 사무소를 열고 2015년 7월 베트남 국가 은행으로부터 베트남 지점 개설의 인가를 취득했다. 이번 지점 개설로 양국 기업 간 무역·투자 활동을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015년의 양국 간 무역 총액은 70억 USD로 2020년에는 150억 USD를 지향하고 있다.
BOI는 1906년에 설립된 인도를 대표하는 대형 상업 은행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인도 국내 지점은 5000요개로 세계 각국 투자액은 1330억 USD이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정부가 예정됐던 30억달러의 국채 발행은 세계 금융 시장이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어 연기를 면치 못 했다. 이는 상반기의 국가 예산에 관한 보고에서 재무부가 밝혔다.
30억달러 한도로 국제 시장에서의 국채 발행은 2016년도 예산안 국회 결의로 승인 받고 있지만 2015년 말부터 미국 국채 금리 상승과 중국의 위안화 절하, 최근 영국의 EU 탈퇴 결정에 의한 시장 혼란 등 세계 금융 시장이 복잡하게 움직이고 있음에 따라 실행할 수 없는 상태에 되었다."정부는 계속 상황을 주시하며 조건이 허락하면 발행한다 "라고 보고서는 기술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언론에 따르면 베트남 상공부는 국내 연료 가격을 새로 4% 안팎 낮췄다. 세계적인 하락세를 반영했다.
새로운 가격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RON92"이 이전에 비해 665동 떨어져 1리터당 1만 5303동(약 0.67달러). 바이오 연료 "E5"는 604동 인하되어 1만 4843동(0.65달러)가 되었다.
한편 경유와 등유에 대해서는 1리터당 1만 2298동(0.54달러), 1만 0667동(0.47달러)으로 동결됐다.
베트남의 연료 소매 가격은 상공부에 의해 15일 단위로 조정됐으며 가격 인하는 이달 2번째로 올해는 가격 인하가 7회, 인상이 5회 실시하고 있다.
베트남의 연료 조달 물량이 최대인 싱가포르에서는 RON92의 가격이 이전 15일간에 약 9.8% 하락하면서 배럴당 50.14달러였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자유 무역 협정(FTA)체결로 미용 관련 상품의 관세를 인하할 수 있어 외자 기업들에게 베트남은 화장품과 미용 기기·설비의 유망 시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분석가들은 관세 인하로 한국산 화장품이 베트남에서 한층 더 보급 될 것으로 보인다. 또 외국과의 FTA체결로 일본이나 태국, 말레이시아의 화장품도 베트남 시장에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고 베트남 언론이 보도했다.
재무부 관계자에 따르면 한국과의 FTA로 화장품을 포함 200개 품목의 동국 산품의 관세가 20%로 떨어진다. 2010년 초에 동국으로부터 베트남에 수입할 수 있었던 것은 불과 7개 품목에 불과하고, 그 중 화장품 수입액은 1270만 달러로 높았다. 요즘 베트남의 외국계 화장품 회사의 총 매출액은 년 1억 5000만 달러 상당의 증가율은 10~20%로 높았다.
미용 관련 전문점은 증가하고 있다. 홍콩계 Dairy Farm 그룹의 약국"가디언"은 베트남에 진출하고 5년에 매장을 39개로 확대했다. 2011년부터 한국의 자연파 화장품 브랜드"Skin Food"을 판매하는 오리엔트·뷰티는 20개 점포를 전개하고 있다. 영계 코스메틱 브랜드의 "보디 숍"는 09년 이후, 하노이와 호치민에 20개 점포를 개점 운영 중이다.
베트남에서 매년 개최되는 미용 전시회"코스모 보테"에 참여하는 기업은 최근 9년간 꾸준히 늘고 있다. 전시회의 창설자는 많은 기업이 베트남 시장에 큰 가능성을 느끼고, 고객 찾기 위해서 전시회에 참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사 회사 닐슨에 따르면 2014년 베트남의 미용 관련 상품의 수요는 아직 낮은 단계로 베트남 사람들이 미용에 쓰는 비용은 년 4달러로 태국의 5분의 1에 불과했다.한편 일본산 미용 기구를 판매하는 회사 관계자는 미용 기구를 스파나 살롱만 아니라 일반 소비자들로 미용 기구 제품을 사고 있다고 말하고 베트남인의 미용과 건강에 대한 의식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