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 동향
□ 동남아시아 시장 규모
o ‘11년 동남아시아 인터넷 사용자 수는 인도네시아 3,600만명, 베트남 2,800만명, 태국 2,200만명, 말레이시아 1,700만명, 필리핀1,100만 명, 싱가포르 400만명임
o ’16년 인터넷 사용자 수는 ‘11년 수준 대비 급증할 것으로 전망됨
- 베트남의 인터넷 사용자 수는 ‘11년 대비 153% 증가한 4,3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 말레이시아 2,100만명, 태국 3,600만명, 필리핀 2,100만명, 인도네시아는 8,0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 인구 약 500만 명 중 400만 명이 인터넷을 이용하는 싱가포르만이 변동이 없을 전망임
o 전자상거래 시장은 ‘인터넷 연결성(Internet connectivity)’ 때문에 인터넷 사용자가 많을수록, 전자상거래 시장의 성장잠재력은 높음
- 동남아시아 지역 인터넷 사용자 수의 급격한 증가로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측됨
□ 동남아시아 전자상거래 보급률
o ‘11년 동남아시아의 전자상거래 시장을 살펴보면,
- 태국은 6억 1,500만달러(보급률 0.8%), 싱가포르 5억 6,400만달러(보급률 2.30%), 인도네시아 3억 8,600만 달러(보급률 0.30%), 말레이사 3억 3,400만 달러 규모(보급률 0.6%), 필리핀 2억 500만달러(보급률 0.33%), 베트남 1억 5,400만 달러(보급률 0.25%)임
- 전자상거래 보급률은 전자상거래 시장의 성장을 측정하는 중요한 요소임
※ 전자상거래 보급률에 서비스는 포함되지 않음
o '16년 말 베트남 전자상거래 보급률은 3배 증가한 0.71%가 될 전망임. 아울러, ‘16년 베트남 온라인 소매분야는 6배 증가한 9억 달러로 예측됨 (약 2,000억 베트남 동)
□ 전자상거래 보급 증가 이유
o 베트남 전자상거래의 보급은 현지 소매업체에 의해 확대됨
- Nguyen Kim은 ‘14년까지 온라인 판매량을 1,000만 달러, Thegioididong.com은 5,000만 달러, 신생 기업인 FPTShop은 2,5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함
o 아울러, C2C 사이트의 시장 개발 및 진출 확대로 전자상거래 보급 확대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임
- Sendo.vn의 ‘14년 말 총 거래액은 2,500만 달러에 달함. 베트남 인터넷 및 온라인 경영기업 VNG社의 123mua.vn은 시장점유율을 회복을 위해 운영체계를 개선하고 있으며, 베트남 인터넷 선도 기업 project LANA社는 향후 급속한 성장을 위한 프로세스 재구조화 마무리 단계에 있음
- VinEcom社, Cdiscounts社를 비롯한 현재 전자 상거래 선도 업체들을 통해 향후 베트남 전자상거래시장은 성장할 전망임
□ 인터넷 사용자(Internet User) 동향
o ’2014 아시아 태평양 디지털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인구 9,200만 명 중 3,600만 명(총 인구의 39%)은 인터넷 사용자임
- 인터넷 사용자의 1/2 이상(2,000만 명)은 페이스북 계정을 가지며, 베트남인은 평균 1.45개의 SIM카드를 보유함
o ‘16년까지 인터넷 사용자는 4,300만 명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며, 전자상거래 시장은 2년 안에 크게 확장(boom)될 것으로 전망됨
<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 >
□ 전자상거래 주요 카테고리
o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품목은 패션(의류, 신발류) 및 전자기기(휴대폰, 태블릿, 노트북)로, 상위 2개 품목의 온라인 판매량은 50%이상을 차지함
- 글로벌 리서치 전문 업체 Euromonitor社에 따르면, 패션 및 전자기기의 판매량은 ‘16년 말 2배가 될 것으로 전망함
< 베트남 전자상거래 품목 카테고리 >
□ 모바일 전자상거래(m-Commerce) 동향
o ‘14년 1월 베트남 인구의 34%는 모바일기기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함. 아울러 이는 총 인터넷 사용자의 90%로 나타남
- 모바일기기를 통한 평균 인터넷 시간은 총 인터넷 시간*의 30%를 차지함
※ 데스크탑, 노트북 및 다른 기기 포함
o 베트남 인구의 약 20%는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이용자의 95%는 휴대폰을 통해 상품을 리서치 함. 그들 중 60%는 휴대폰을 통해 상품을 구매함
□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의 전망
o 전자상거래 분야는 베트남 시장에서 급속히 성장할 전망이며, 특히 Cdiscounts, Rakuten, VinEcom 등 대기업들의 성장이 두드러질 전망임
o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의 향후 트렌드
① 모바일 전자상거래
- C2C 시장, 재고 물품 할인(old stuff for bargain) 등
② 전자상거래 지원 서비스
- 결제 대행(특히 모바일 결제), 운송, 통합 솔루션 등
③ 소비자 니즈 파악을 위한 스마트 상품
- 데이터 마이닝(data-mining)*
- 기업 정보 수집 활동(business intelligence)
- 소셜리스닝(social listening)*
- 소비 패턴 리서치 등이 있음
※ 데이터 마이닝: 대규모 자료를 토대로 새로운 정보를 찾아내는 것
※ 소셜 리스닝: 데이터분석과 모니터링을 통해 위기관리 및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는 것
④ 업체 지원 온라인 상품
- 쇼핑 카트, 온라인 POS(point of sales)*, 클라우드 재고 관리 서비스 등
※ 온라인 POS: 금전등록기와 컴퓨터 단말기의 기능을 결합한 것으로 판매시점 정보관리 시스템이라고 함
< 출처: eCommerce MILO >
| 번호 | 분류 | 제목 | 날짜 | |
|---|---|---|---|---|
| 공지 | 베트남 투자시 반드시 알아야 할 14가지 사항(KOTRA 자료) | |||
| 289 | 베트남에서의 대표사무소, 지사의 차이점 | 2013.04.08 | ||
| 288 | 2025년 5월 10일부터 적용되는 베트남 전기요금 | 2025.05.10 | ||
| 287 | 아포스티유(apostille)란 | 2015.03.30 | ||
| 286 | 베트남 2021년부터 립메이크업 관세 20%→5%, 아이 메이크업 22%→5% | 2021.03.17 | ||
| 285 | [KOTRA 정보 자료] 베트남-영국 FTA 5월 1일 공식 발효 | 2021.04.26 | ||
| 284 | 베트남 직접 투자 자본금 납입 'DICA 계좌'을 통해야, 외자 기업에 의무화 | 2019.08.14 | ||
| 283 | 베트남 산업공단(임대 공장) 투자 여건 | 2014.03.30 | ||
| 282 | 호치민 항구 정보 | 2014.03.13 | ||
| 281 | 2021년 1월 시행 베트남 신규 투자법 주요 내용 | 2021.03.25 | ||
| 280 | [KOTRA] 베트남, 화장품시장 성장이 기대되는 2021년, 관세인하 | 2021.01.11 | ||
| 279 | 베트남 2021년 지역별 최저임금 관련 안내(첨부 파일: 영문) | 2021.01.04 | ||
| 278 | EU-베트남 FTA 발효, 원산지증명서 작성 시 유의사항은 | 2020.10.05 | ||
| 277 | 베트남, EVFTA, 2020~22년 수출입 관세율 일람표 | 2020.09.25 | ||
| 276 | 베트남 수출, HS CODE 분류가 시작입니다. | 2020.08.23 | ||
| 275 | 베트남 호치민 전문(재래시장) | 2020.08.22 | ||
| 274 | 베트남 진출기업 운영 시 휴일, 휴가제도 고려해야 | 2020.07.17 | ||
| 273 | 베트남 의무 보험 분담 비율(사회 보험, 의료 보험, 실업 보험) | 2014.05.13 | ||
| 272 | 베트남 근로자 휴일 휴가 제도(규정) | 2013.08.03 | ||
| 271 | 베트남 법인 설립 시 노동조합의 효과적인 운용 방법 | 2020.06.12 | ||
| 270 | 베트남 근로자 휴무(휴가) 규정 +1 | 2014.01.23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