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물류시장 현황과 진단
- 시장규모는 600억 달러, LPI 지수는 160개국 중 48위 -
- TPP, AEC 등 물류 수요는 갈수록 복잡해질 것… 향후 대안 마련 필요 -
□ 베트남 물류시장 현황
○ Viet Capital Security(VCSC)에 의하면, 베트남 물류시장 규모는 500억~600억 달러에 달함. 연평균 성장률 15~20%의 속도로 빠르게 성장 중이며, 향후 5~10년간 두 자릿수 성장률을 유지할 전망
- 월드뱅크 물류성과지수(LPI)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베트남은 3.15점을 기록하며 160개 국가 중 48위에 위치. 인근 국가 순위로는 싱가포르 5위, 말레이시아 25위, 태국 35위, 인도네시아 53위, 필리핀 57위, 캄보디아 83위로 조사됨.
○ Do Xuan Quang 베트남 물류협회 회장에 의하면, 1300여 개의 물류기업이 베트남에 있으며, 주로 운송 및 배달·수송·창고·항구·선적 및 하적·공급·세관 절차 및 통합 물류서비스를 운영 중임.
- 또한, 대부분의 베트남 물류업체들은 2PL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 중. 반면, 선진국에서는 3PL 방식의 물류업체 및 통합공급체인 관리 벤더가 우세함.
· 2PL(2자물류): 화주기업이 자회사나 계열사 등에 위탁해 물류업무를 수행하는 것
· 3PL(3자물류): 생산자와 판매자의 물류를 제 3자를 통해 전문적으로 처리하는 것
- 베트남 물류회사 중 약 70%는 중소기업, 나머지 30%는 외국계 물류기업들임. 그리고 외국계기업들이 약 80%의 시장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음(VLA).
○ 현재 베트남 물류산업은 몇몇 약점을 안고 있음. 업체들의 영세성, 기술 및 자본의 한계 등이 대표적임. 또한, 수천 개의 물류업체들이 단순 물류서비스만 제공하는 등 물류체인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하지 못하고 있음.
2007~2014년 베트남 물류 성과 지표

자료원: 월드뱅크, Logistic Performance Index 보고서(2014)
□ 베트남 물류 인프라
○ 항구
- 전체적으로 현대적인 관리시설 및 장비를 갖추고 대형 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항구는 아직 적은 수준. 야드(yard)와 창고가 대량 컨테이너를 보관하기에 불충분함.
- 화물 운송은 주로 호찌민시(HCMC), 하이퐁(Hai Phong), 다낭(Da Nang) 그리고 퀴뇬(Qui Nhon)과 같은 대도시나 지방 항구도시에서 이루어짐.
베트남 주요 항구
(단위: 백만 TEU, %)
|
지역 |
주요 항구 |
처리량 |
점유율 |
|
북부 지역 |
하이퐁 항구(Hai Phong Port) |
1.04 |
12 |
|
딘부 항구(Dinh Vu Port) |
0.52 |
6 |
|
|
기타 |
0.68 |
8 |
|
|
중부 지역 |
다낭항구(Da Nang Port) |
0.17 |
2 |
|
기타 |
0.10 |
1 |
|
|
남부 지역 |
사이공 뉴포트(Cat Lat) |
3.26 |
39 |
|
탄강-까이맵 국제 터미널(TCIT) |
0.64 |
8 |
|
|
까이맵 국제 터미널(CMIT) |
0.61 |
7 |
|
|
베트남 국제 터미널(VICT) |
0.44 |
5 |
|
|
기타 |
1.01 |
12 |
|
|
합계 |
|
8.45 |
100 |
자료원: 베트남 항만협회
○ 공항
- 베트남 내 20여 개의 공항이 있으며, 이중 11개 공항에서 국제선이 취항 중. 항공사로는 베트남항공(국영)과 비엣젯항공(합작)이 있으며, 주로 여객용으로 운영됨.
○ 육로(도로)
- 베트남 도로망은 약 10만6000㎞에 이르며, 육로를 통한 국내 여객 및 화물 운송 비율은 약 65%를 차지함.
- 수출입 전후 활동에 있어 육로를 통한 도어 투 도어(Door to door) 운송 방식이 필수적이나, 아직 베트남 도로망이 부족하고 보존상태가 열악해 많은 교통 혼잡이 야기되고 있음. 결과적으로 물류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 철도
- 베트남 철로는 약 2600㎞ 길이에 달함. 철로를 통한 컨테이너 운송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국영기업인 베트남 철도공사에 의해 운영되고 있음.
○ 내륙 수로
- 베트남은 홍강 및 메콩 델타 지역을 비롯해 수준 높은 수로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으며, 수로를 통한 화물 운송 비율은 약 30%에 이름.
□ 베트남 내 주요 물류기업
|
기업명(국가) |
내용 |
|
Viettrans JSC (베트남) |
- 2005년 설립. 국제항공 운송서비스와 물류에 있어 메이저 업체로 성장함. |
|
Maersk Vietnam (덴마크) |
- 세계 일류 물류기업. 1991년에 베트남에 지사 설립 - 수출입, 해상 운송, 통관 등의 물류 서비스 제공 - 베트남 및 해외에 많은 지점 설립을 설립하며 사업 확장 및 선두 기업 유지 중 |
|
NYK Line Vietnam (일본) |
- NYK 와 VOSA 그룹의 합작회사로 해상운송사임. - 1969년 베트남 지사 설립 후 NYK는 컨테이너, 우드칩(파쇠목) 석탄, 식물 등과 같은 품목으로 화물 운송의 범위를 확장함. - 1994년에 NYK는 일본에서 호찌민시로 여객운송을 처음으로 취항했음. 2004년에 NYK는 베트남 Cai Lan에 국제선(직항)을 최초로 취항했음. - NYK는 매년 호찌민으로 13만TEU를 운송하고 현재는 일본에서 Cai Lan과 호찌민으로 직항 여객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일한 일본 기업임. |
|
APL NOL Vietnam (미국) |
- Maersk Line, MOL과 함께 100% 외국인 투자회사로 해상운송 서비스에 특화됨. - 호찌민시, 다낭, 하노이 그리고 하이퐁에 지점을 두고 있음. |
|
Kerry Logistic Vietnam (홍콩) |
- 2000년 설립 이후,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전략적 인수를 통해 계속 성장 중 |
|
Logitem Corporation (일본) |
- 운송, 창고, 세관 절차 등의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며 베트남을 비롯해 넓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음. - 베트남 내 2개 지사를 운영 중 |
자료원: KOTRA 호치민 무역관
□ 시사점
○ 최근 몇 년간 베트남의 수출액 증가 추세, 생산기지화를 위한 대베트남 투자 증가, TPP, AEC와 같은 FTA 체결 증가는 베트남의 물동량을 상승시키고, 이는 베트남 물류산업의 잠재력으로 작용
○ 다수의 베트남 물류회사들이 운송 및 창고, 저장과 같은 기본적인 물류 서비스만 제공 중임. 이에 반해 3PL 서비스를 제공 중인 15% 물류업체들은 서비스 품질 및 전문화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 경쟁적 이점을 보유하고 있음.
○ 대베트남 외국인 투자 증가 및 수출입 물량 증가에 따라 고객들의 욕구는 점차 복잡해질 것이므로, 물류업체들은 좀 더 넓은 범위의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 또한, 물동량이 급속히 늘어날 가능성도 대비해야 함.
- 베트남 수출액은 8~10%의 연평균 성장률를 유지하고, 교역량 역시 해마다 증가 중임. 이에 따라 창고, 포장, 검사 등 물류서비스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월드뱅크, 베트남 항만협회, 현지 언론 자료 및 KOTRA 호치민 무역관 자료 종합
| 번호 | 분류 | 제목 | 날짜 | |
|---|---|---|---|---|
| 공지 | 베트남 투자시 반드시 알아야 할 14가지 사항(KOTRA 자료) | |||
| 289 | 베트남에서의 대표사무소, 지사의 차이점 | 2013.04.08 | ||
| 288 | 2025년 5월 10일부터 적용되는 베트남 전기요금 | 2025.05.10 | ||
| 287 | 아포스티유(apostille)란 | 2015.03.30 | ||
| 286 | 베트남 2021년부터 립메이크업 관세 20%→5%, 아이 메이크업 22%→5% | 2021.03.17 | ||
| 285 | [KOTRA 정보 자료] 베트남-영국 FTA 5월 1일 공식 발효 | 2021.04.26 | ||
| 284 | 베트남 직접 투자 자본금 납입 'DICA 계좌'을 통해야, 외자 기업에 의무화 | 2019.08.14 | ||
| 283 | 베트남 산업공단(임대 공장) 투자 여건 | 2014.03.30 | ||
| 282 | 호치민 항구 정보 | 2014.03.13 | ||
| 281 | 2021년 1월 시행 베트남 신규 투자법 주요 내용 | 2021.03.25 | ||
| 280 | [KOTRA] 베트남, 화장품시장 성장이 기대되는 2021년, 관세인하 | 2021.01.11 | ||
| 279 | 베트남 2021년 지역별 최저임금 관련 안내(첨부 파일: 영문) | 2021.01.04 | ||
| 278 | EU-베트남 FTA 발효, 원산지증명서 작성 시 유의사항은 | 2020.10.05 | ||
| 277 | 베트남, EVFTA, 2020~22년 수출입 관세율 일람표 | 2020.09.25 | ||
| 276 | 베트남 수출, HS CODE 분류가 시작입니다. | 2020.08.23 | ||
| 275 | 베트남 호치민 전문(재래시장) | 2020.08.22 | ||
| 274 | 베트남 진출기업 운영 시 휴일, 휴가제도 고려해야 | 2020.07.17 | ||
| 273 | 베트남 의무 보험 분담 비율(사회 보험, 의료 보험, 실업 보험) | 2014.05.13 | ||
| 272 | 베트남 근로자 휴일 휴가 제도(규정) | 2013.08.03 | ||
| 271 | 베트남 법인 설립 시 노동조합의 효과적인 운용 방법 | 2020.06.12 | ||
| 270 | 베트남 근로자 휴무(휴가) 규정 +1 | 2014.01.23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