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투자유망산업 분석 (②비식품류)
- 베트남 비식품류(주류, 음료, 의류신발, 가전 등)에 대한 소비 확대로 투자유망 -
- 베트남 소비자 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소비 고급화, 개성화 추세 -
□ 음료류(주류)
○ 베트남 주류 시장은 2009년 전년비 4.4% 증가한 143억불 규모로 증가하였으며 소비자들의 주류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젊은 소비자와 여성의 소비확대로 점진적인 시장확대가 전망됨.
○ 베트남은 최근 젊은 인구가 대다수로 2010년 기준 일인당 맥주 소비량이 19리터로 유럽국가인 일인당 평균 소비량인 88리터와 한국 일본 등 아시아 선진국의 43리터에 비교해보아도 향후 성장가능성이 매우 높은 시장으로 평가됨.
베트남 주류 판매 현황 및 전망
|
2008 |
2009 |
2010f |
2011f |
2012f |
2013f |
2014f |
2015f |
주류판매액 (십억달러) |
1.37 |
1.43 |
1.52 |
1.67 |
1.78 |
1.92 |
2.07 |
2.23 |
주류소비량 (백만리터) |
1,885 |
1,946 |
2,001 |
2,122 |
2,257 |
2,401 |
2,556 |
2,722 |
자료원: BMI(2011년 1분기)
○ 베트남 맥주시장은 연평균 15%이상의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현재 해외 및 국내 맥주기업의 생산설비 확대를 위한 투자가 계속되고 있어 향후 관련 생산설비의 현지 수요 또한 확대될 전망임.
베트남 산업무역부 음료산업 투자계획
|
2011-2015 |
2016-2025 |
평균 산업 성장률 |
13.00% |
8.00% |
맥주(십억동) |
18,042 |
24,056 |
증류주(십억동) |
1,293 |
3,017 |
청량음료(십억동) |
3,412 |
11,942 |
자료원: 산업무역부(2009), 1달러=19500동
□ 음료류(청량음료)
○ 베트남 청량음료 시장은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분야로 지난 2005-09년간 연평균 17.3%의 놀라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 시장확대가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됨.
청량음료 판매량 추이(2005-2009)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청량음료판매 (백만리터) |
668.3 |
761.1 |
881.5 |
1,076.80 |
1,263.70 |
성장률(%) |
8.29 |
13.88 |
15.81 |
22.15 |
17.35 |
자료원: Euromonitor International
○ 베트남의 일반음료 시장은 연간 17.4% 급성장 1,263백만리터가 판매가 되었으며 코크 등 전통적인 탄산음료 중심에서 최근 과일 야채쥬스가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생수와 녹차의 시장이 두드러지게 성장하는 것으로 파악됨.
- 분야별로는 RTD(ready to drink) 차류가 전체의 30.7%를 차지해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탄산음료가 14%, 생수가 10.4%, 과일음료 4.3%, 기능성음료 3.1%, RTD 커피는 0.06%, 기타 음료가 36.8%로 추정됨.
○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기호가 고급화되며 포장 및 디자인 뿐만 아니라, 맛, 영양, 편리함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해 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선호도 변화가 두드러지게 확산됨.
○ 베트남내 무탄산 청량음료의 소비자 기호가 큰 폭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도시의 소비자는 비타민 첨가, 천연원료의 건강음료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해 2009년 최대히트 음료로 C2 등 녹차, 건강음료가 다수 포함되며 일반음료 시장에서 비탄산 음료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확대됨.
상위 10개 제품 브랜드 점유율(2007-2009)
브랜드 |
회사 |
2007(%) |
2008(%) |
2009(%) |
O degree green tea |
Tan Hiep Phat |
11.6 |
18.1 |
21.5 |
C2 Cool & Clean |
URC Vietnam |
4.7 |
5.5 |
5.9 |
Wonderfarm |
Interfood Shareholding |
4.7 |
4.7 |
5.1 |
La Vie |
La Vie JVC |
3.3 |
2.9 |
2.8 |
A*Nuta Green tea |
Tan Quang Minh |
1.5 |
2.1 |
2.3 |
Vinamilk |
Vietnam Dairy |
1.4 |
2.0 |
2.2 |
Tribeco |
Sai gon beverages |
2.6 |
2.2 |
2.1 |
Mirinda |
Pepsico Vietnam |
3.0 |
2.4 |
2.0 |
Aquafina |
Pepsico Vietnam |
2.2 |
2.0 |
1.9 |
Sting |
Pepsico Vietnam |
2.5 |
2.1 |
1.9 |
자료원: Euromonitor International
□ 의류 및 신발류
○ 베트남 의류 및 신발류 시장은 소비자들의 소득수준 향상과 소비패턴 변화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Euromonitor에 따르면, 2010년 기준 매출이 9억 9200만 달러로 전년대비 13.3%증가
○ 유통판매점 대부분이 중소규모의 자영업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0년 기준 9,000여개의 업체, 총 면적이 735,000㎡로 매장당 평균면적은 80㎡로 파악됨.
- 중소 자영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점포수의 91%, 판매면적의 85%, 전체 매출의 86%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됨.
○ 베트남 소비자의 소득수준이 여전히 낮아 국산제품이 전체 매출의 90%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됨.
- 최근 소비패턴의 고급화와 개별화가 진행되면서 외국브랜드가 속속 시장진입을 추진하는 상황임.
* 외국계 중저가 브랜드인 Zara, Mango, Giordano, Esprit, Charles & Keith 등이 시장테스트 중
베트남 의류 및 신발류 판매 현황
자료원: Euromonitor
□ 가전제품
○ 베트남 가전제품 시장은 2010년 전년대비 28% 성장한 47억달러 규모로 확대
- Gfk Asia에 따르면, 2010년 최대 성장분야는 소형가전제품으로 전년대비 41.9% 증가했으며 대부분의 제품군이 두자리 수 이상의 성장세를 기록
○ 주요 품목별로는 핸드폰관련 제품의 매출이 약 14억 달러로 전년대비 40.8% 증가했고 IT제품은 7% 증가한 10.8억 달러로 2위를 기록했으며 일반가전제품은 전년대비 39.4% 증가한 9.48억 달러를 기록
2010년 베트남 가전분야 매출현황
분야별 |
통신제품 |
IT제품 |
전자제품 |
백색가전 |
소형가전 |
매출(백만불) |
1,390 |
1,088 |
948 |
693 |
457 |
자료원: GfK Vietnam
○ 베트남 가전제품 시장의 성장세는 매우 빠른 편으로 소비자는 가전제품의 구매시 고급의 다기능 제품 수요선호가 매우 강하며 핸드폰 등 일부 품목의 경우 신분우월성 구분을 위한 과소비 패턴을 보임.
자료원: Euromonitor, BMI, GFK 등 전문기관 및 하노이KBC 자체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