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이동통신시장
- 현지 통신사 간 경쟁이 치열, 포화상태 -
- 부가가치 서비스분야는 개발·잠재력 충분 -
□ 이동통신시장 현황
○ 2010년 60억 달러 규모를 기록하며 높은 성장속도 기록
- 3D TV, HDTV, IPTV, 3G같은 새로운 이동통신 서비스 지속 개발 중
○ 2010년 말 작년보다 39.8% 증가한 1억7001만 휴대폰 이용자 기록
- 유선통신 이용자 수 2010년 말 1640만 명에서 감소추세
- 베트남 정보통신부정책으로 2010년 상반기에 비해 하반기에 신규 가입자 증가추세 약화
2010년 이동통신 가입자 현황
(단위 :백만 명)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15,7 |
118,4 |
117,9 |
123,9 |
128,9 |
133,5 |
140,3 |
142,4 |
142,1 |
144,4 |
147,3 |
153,7 |
자료원: Report on Vietnam's telecom 2011 - by VNPT and IPC(The Information & Public Relations Center)
○ 2010년 말 인터넷 신규 가입자는 작년보다 24% 증가한 368만 명 기록
- 인터넷서비스시장에서 VNPT(Vietnam Posts and Telecommunication)가 74%, Viettel이 10.7%, FPT가 10.1% 기타 업체가 5%를 점유
2010년 브로드밴드 인터넷 가입자 현황
(단위: 백만 명)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15,7 |
118,4 |
117,9 |
123,9 |
128,9 |
133,5 |
140,3 |
142,4 |
142,1 |
144,4 |
147,3 |
153,7 |
자료원: Report on Vietnam's telecom - by VNPT and IPC(The Information & Public Relations Center)
○ 대형 이동통신사인 Viettel, Vinafone, Mobiphone이 이동통신시장의 90% 차지
2010년 유선통신과 이동통신업체 시장점유 현황
자료원: White book IT and Communications of Vietnam 2011 - Website of Ministry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베트남 이동통신업체 리스트
No |
Company |
Ownership |
Market |
1 |
Vinaphone |
Vietnam Telecom Services (100%) |
Mobile |
2 |
Mobifone |
Vietnam Telecom Services (100%) |
Mobile |
3 |
Viettel |
Ministry of Defence |
Mobile, local telephony |
4 |
EVN Telecom |
Electricity of Vietnam |
Local, long distance and international telephony, internet and mobile |
5 |
Hanoi Telecom (Vietnammobile) |
Joint Venture: Hanoi Telecom and Hutchison Telecommunications International |
Mobile |
6 |
Gtel (Beeline) |
Joint Venture: Global Telecommunication Corporation (Ministry of Police) and Vimpelcom Group |
Mobile |
7 |
S-Fone |
Joint Venture: Saigon Postel and SK Telecom |
Mobile |
자료원: Vietnam Telecommunications Report - BMI, Website : www.gtel.com.vn
□ 베트남 이동통신 부가가치서비스
○ 2009년부터 부가가치서비스 제공을 시작했으나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개발 시작
- 뉴스, 게임, 소셜 네트워크, 채팅 등 서비스를 제공하나 품질이 매우 떨어짐.
- 뉴스, 링톤, 월페이퍼 같은 부가가치서비스에서 3G로 종목을 변환했으나 네트워크 인프라의 품질과 서비스 이용료 등의 문제로 소비자의 관심을 많이 받지 못함.
- 제대로 된 개발이 이뤄지지 않아 성장잠재력이 풍부
- 부가가치서비스로부터 얻는 수익은 총 수익의 10~20% 차지
□ 시사점
○ 베트남 이동통신시장은 포화상태로 새로운 이동통신사의 시장 진출이 어려움.
○ 모바일 콘텐츠 서비스, 부가가치서비스는 현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개발, 성장 가능성이 매우 풍부
○ 대도시를 중심으로 이동통신시장이 발달해 있어 교외지역의 인프라 구축과 투자 필요함.
○ 기존 현지 이동통신사의 높은 고객 충성도나 저렴한 네트워크 서비스 요금으로 해외 투자업체가 시장에 진출 혹은 투자를 할 경우 경쟁에 뒤쳐질 가능성이 있음.
○ 포화상태인 베트남 이동통신시장에서 새로운 통신사를 열기보다 부가서비스 부분에서의 개발과 투자가 바람직함.
자료원: 베트남 뉴스, 주요 IT통신 잡지, 코트라 호찌민 무역관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