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장점유현황
- 베트남의 빙과류시장은 국내외 생산업체의 진출로 지속적 성장세 기록
· 2013년 현재 국내 빙과류 생산업체 Kido社와 Vinamilk社가 전체 빙과류시장의 45%를 점유
· 2012년 Kido社의 빙과류 매출은 약2.9천만달러, 2013년 매출액은 전년비 30%상승한 3.7천만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
○ 외국 브랜드 유입 증가
- 수입 빙과류에 대한 지속적인 관세 인하로 미국, 뉴질랜드, 한국산 빙과류의 수입이 증가됨
· 빙과류에 대한 수입관세는 10년 전 75%에서 2013년 현재 30%
· 외국계 브랜드 Baskin Robbins, Buds, Haagen Daz가 호치민, 하노이 등 주요지역에서 프랜차이즈 및 전문 아이스크림매장 운영 중.
○ 빙과류 유통 채널
- 빙과류의 주 유통채널은 전문 매장 또는 패스트푸드 매장을 통한 판매와 슈퍼마켓을 통한 판매가 있음
베트남 빙과류시장 주요 브랜드 개관 (2013년)
|
브랜드 |
주력상품 |
유통채널 |
외국 브랜드 |
Baskin Robbins |
고급 빙과류 |
14개 프랜차이즈 매장 운영 2017년까지 50개 매장 오픈예정 |
Buds |
고급 빙과류 |
13개 전문매장 운영 | |
한국 및 뉴질랜드산 수입 빙과류 |
고급 빙과류 |
슈퍼마켓 및 편의점 납품 | |
자국 브랜드 |
Kido |
고급 빙과류 (Merino, Celano) |
슈퍼마켓·편의점 납품 |
Snowee |
중고가 빙과류 |
5개 점포 및 6개 프랜차이즈 매장 운영 | |
Fanny |
중고가 빙과류 |
7개 점포 운영 고급 식당 및 카페 납품 | |
Monte Rose |
중저가 빙과류 |
점포 운영, 패스트푸드 매장 및 슈퍼마켓·편의점 납품 | |
Vinamilk, Thuy Ta, Trang Tien |
저가 빙과류 |
점포 운영 및 슈퍼마켓·편의점 납품 |
○ 시장잠재력
- 국민의 소득증가에 따른 소비패턴의 다변화로 빙과류의 주 수요층은 아동뿐만 아니라 젊은층, 가족단위로 확대되고 있음.
- 열대 기후적 특성에 따른 빙과류 및 냉음료에 대한 잠재수요는 높으나 현재 베트남의 빙과류 소비량은 주변 국가에 비해 낮은 편
· 향후 외국기업의 진입에 따른 베트남의 빙과류시장은 높은 성장가능성을 지님
1인당 연간 빙과류 소비량(2012)
(단위: liter/year)
뉴질랜드 |
미국 |
싱가폴 |
말레이시아 |
태국 |
베트남 |
28.4 |
20.8 |
2.4 |
1.7 |
1.5 |
0.3 |
<출처: Business Insider>
<출처: Saigon Businessman, VNEconomy, Euromonitor, Business person association, Business and Investment Forum, Kinh Do, Fanny, Buds, Baskin websites>
작성: 한국무역협회 호치민 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