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출 현황
- 피혁·신발류는 베트남 제3위 수출품목
· 2012년 약88억달러를 수출하여 세계 4위 피혁·신발류 수출국 기록
· 2013년 1∼8월까지 누계는 전년대비 16.6%상승한 약67억달러
· 2013년 전년대비 10.7%상승한 약97억달러 수출 예상
- 베트남의 피혁·신발류 1위 수출국은 미국
· 2013년1-8월 약23억달러 수출(비중 44.6%), 미국 피혁·신발류 시장점유율 10%차지
가죽·고무 수출현황
(단위: 백만달러)
|
2013년 8월 |
2013년1∼8월 누계 |
증감률 |
FDI비중 | ||
|
Total |
FDI |
Total |
FDI |
|
|
가죽 |
164.75 |
107.05 |
1,239.70 |
876.99 |
24.6% |
70.7% |
신발 |
733.51 |
577.43 |
5,471.94 |
4,181.57 |
15% |
76.4% |
합계 |
898.26 |
684.48 |
6,711.64 |
5,058.56 |
16.6% |
75.4% |
<출처: 베트남 관세통계 2012, 2013>
○ 생산 현황
- 2012년 기준 약500개의 제조업체가 피혁·신발류를 생산하였으며 이중 23%가 FDI기업으로 전체 수출의 75.4%차지.
· 가죽·신발생산량 상위 20개 업체 중 중국, 대만계기업이 다수를 차지하며 한국계기업은 5개, 베트남기업 3개
○ 원자재에 대한 높은 수입의존율
- 베트남 피혁·신발산업은 원자재 Tannage에 대한 수입의존율이 80%로 높은 편
· 베트남의 주요 Tannage 수입대상국은 한국, 대만, 태국
베트남 주요 Tannage 수입대상국 현황
(단위: 천달러)
|
2013년 7월 |
2013년1∼7월 누계 |
비중 |
한국 |
13,108 |
88,520 |
20% |
대만 |
12,323 |
74,101 |
17% |
태국 |
8,780 |
54,208 |
12% |
중국 |
7,628 |
45,453 |
10% |
이탈리아 |
8,921 |
48,427 |
11% |
인도 |
4,120 |
30,946 |
7% |
합계 |
69,615 |
434,103 |
|
<출처: Leather, Footwear and Handbag Association - LEFASO Statistics, 7/2013>
○ 시장 전망
- 2014년 1월부로 베트남은 EU의 GSP 적용이 시작됨에 따라 유럽지역 수출에 호조를 띌 것으로 전망
· 피혁제품에 대한 관세는 2013년 현재 3%∼9.7%에서 0∼6.2%로 인하
· 신발제품에 대한 관세는 3%∼17%에서 0%∼13.5%로 인하
- 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에 따른 수혜 및 과제
· 2013년 베트남 피혁·신발제품의 주요 시장인 일본의 TPP가입에 따른 비가입국 중국, 인도로부터의 전환수요 발생 예상
· 주요국가의 TPP가입에 따라 수입관세는 3.5∼57.4%(비가입국)에서 0%까지 인하
· 한편, TPP의 무관세혜택 적용을 받기 위해서는 수출국의 부가가치기준 55%를 충족시켜야함에 따라, 원자재 수입의존율이 높은 베트남의 피혁·신발산업은 Tonnage의 자국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향후 경쟁력 상승의 핵심 사안이 될 것.
<출처: LEFASO, Nhan Dan newspaper, Vietnam Government Paper ?VGP News, Agency for Enterprise Development ? AED, Lao Dong newspaper, Thuong Mai, VINANET>
작성: 한국무역협회 호치민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