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헤어케어제품 시장
- 한국산 제품 대베트남 수입액 4위 -
- 헤어케어 분야 경쟁 제품 치열해 차별화 전략이 필요 -
□ 상품명(HS Code 6단위)
ㅇ 두발용 제품류(HS CODE 330510~90)
□ 시장 규모 및 동향
ㅇ (규모)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헤어케어 제품의 베트남 시장 규모는 2018년 기준 약 6억4400만 달러로 추정됨.
- 시장 규모는 전년대비 4.6% 성장했으며, 2018년 기준 유니레버(Unilever) 제품이 전체 판매액의 35.8% 를 차지해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음.
헤어케어 제품 매출액 동향
(단위: US$ 백만)
자료: 유로모니터
- 주요 품목별로는 샴푸(Shampoo)가 1위로 5억3140만 달러를 차지함.
- 컨디셔너 및 트리트먼트(Conditioners&Treatments)가 2위(5410만 달러), 염색약(Colourants)이 3위(2480만 달러), 전문가용 헤어케어 제품이 4위(2140만 달러)로 그 뒤를 잇고 있음.
주요 품목별 매출액(2018년)
(단위: US$ 백만)
자료: 유로모니터
ㅇ (최근 동향) 자연주의 트렌드의 확산
- 베트남 소비자들 사이에서 ‘건강’ 과 ‘웰빙’에 대한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허브’ 성분이 함유된 제품 등 천연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특히 베트남 시장을 크게 점유하고 있는 유니레버 등의 대규모 기업들은 티트리 오일, 아보카도, 코코넛 등을 함유한 제품을 선보였을 뿐만 아니라 재활용 포장재를 활용한 패킹 등 변화하는 소비자의 트렌드에 발맞추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음.
현지에서 유통 중인 ‘자연주의’ 트렌드 제품들

자료: 각 사 홈페이지,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 최근 3년간 수입 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ㅇ 최근 3년간 수입규모
- HS CODE 3305로 분류되는 헤어케어 제품군의 수입액은 꾸준히 증가해왔으며 2016년도 4445만 달러, 2017년도 7116만 달러, 2018년도 1억1468만 달러를 기록
- 특히 2018년도 수입액은 1억 달러를 돌파하면서 전년대비 수입액이 30% 성장했음.
최근 3개년 베트남 수입액 동향
(단위: US$ 천, %)
|
구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수입액 |
44,456 |
71,168 |
114,681 |
|
성장률 |
24 |
60 |
30 |
자료: ITC Trademap
ㅇ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 헤어케어 제품의 총 수입액이 증가하고 있는 원인 중 하나가 태국에서의 수입액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됨.
- 2017년도 기준 태국제품의 수입액은 3828만 달러로 전체 수입액의 53.8%를 차지했으며, 전년대비 146% 증가하는 수치를 보임.
- 그 다음은 일본(483만 달러), 이탈리아(476만 달러), 대한민국(468만 달러)이 각각 2, 3, 4위를 차지함.
- 타 국가 수입액 역시 대체적인 증가율 동향을 보이고 있으나 미국, 인도네시아 제품 수입액은 소폭 감소함.(각각 17%, 29% 감소)
HS CODE 3305 상위 10개국 수입액 동향
(단위: US$ 천, %)
|
연번 |
국가 |
2015년 |
2016년 |
2017년 |
증감률(%)* |
|
1 |
태국 |
12,062 |
15,566 |
38,287 |
146 |
|
2 |
일본 |
1,389 |
3,471 |
4,831 |
39 |
|
3 |
이탈리아 |
3,195 |
4,375 |
4,760 |
3 |
|
4 |
대한민국 |
4,035 |
4,561 |
4,682 |
3 |
|
5 |
중국 |
2,687 |
3,194 |
4,435 |
39 |
|
6 |
미국 |
3,708 |
4,652 |
3,868 |
-17 |
|
7 |
독일 |
1,536 |
1,463 |
2,244 |
53 |
|
8 |
말레이시아 |
1,315 |
1,630 |
1,501 |
8 |
|
9 |
폴란드 |
264 |
160 |
1,185 |
641 |
|
10 |
인도네시아 |
1,829 |
1,515 |
1,080 |
-29 |
|
|
기타 |
30,020 |
40,587 |
66,873 |
5.0 |
|
|
총계 |
35,794 |
44,456 |
71,168 |
176.9 |
주*: 2016년 대비 2017년 성장 및 감소율
자료: ITC Trade Map
□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ㅇ (규모) 2017년도 대한 수입규모는 468만 달러로 수입국 중 4위에 등극
- 전체 수입액의 6.58%를 차지하며, 전년대비 3% 증가한 수치임.
- 그러나 한국 화장품 및 미용제품의 경우 공식 통관이 아닌 핸드캐리 혹은 특송 형태로 반입되는 경우가 많아 집계된 공식 통계보다 훨씬 많은 양이 베트남에 판매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됨.
베트남 현지에서 판매중인 대표 한국 제품 사례
| 순위 | 제품명 | 사진 | 구매 웹사이트 | 가격(US$) |
| 1 | 케라시스 샴푸 |
|
https://guardian.com.vn | 15.83 |
|
2 |
미장센 헤어세럼 |
|
https://shopee.vn/ |
5.69 |
|
3 |
려 샴푸 |
|
https://shopee.vn/ |
22.79 |
| 4 | R3 아르간 오일 |
|
https://shopee.vn/ |
6.22 |
| 5 | 더블리치 헤어 스프레이 |
|
http://vietnam.lgcare.com |
2.58 |
|
6 |
옵시디언 데미지케어 샴푸 |
|
https://shopee.vn/ |
33.43 |
*주: 상기 제품들은 온라인 주요 유통사이트에서 상위 링크된 제품들을 선별했으며 정식 통관을 거치지 않고 핸드캐리 형태로 수입되는 경우도 다수 있는 것으로 추정됨.
자료: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베트남 내 헤어케어 제품의 경우 글로벌 브랜드의 입점이 많이 이뤄진 상황
- 최근(2013~2018년) 경쟁동향을 보면 유니레버사의 브랜드(Clear, Sunsilk, Dove 등)가 가장 높은 시장점유를 보이고 있으며, 2018년 기준 유니레버의 시장점유율은 약 35.8%로 전체 시장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 Procter and Gamble(P&G)사 12.1%, Unza사 4.9%, International Consumer Products(ICP)사 4.5%로 그 뒤를 잇고 있음.
헤어케어 제품 브랜드별 시장점유율(2018년도)
주: 판매금액 기준
자료: 유로모니터
ㅇ 브랜드별 시장점유율 통계는 부재하나 인기 제품(샴푸 기준)을 살펴보면 유니레버사의 아르간 오일 및 케라틴 샴푸(Tresemme), 허브샴푸(Clear) 등이 현지 소비자들이 자주 구매하는 제품으로 나타났음. (Shopee, Lazada 등 현지 온라인 쇼핑몰 상위 랭킹 기준)
- 이외에도 P&G사의 헤드앤숄더, 팬틴 제품과 Unza사의 Enchanteur Charming Shampoo 등이 시중 마트를 통해 활발히 유통 중
- 가격대는 보통 중량 650g 기준 5달러에서 7달러 내외로 최종 소매가격이 책정돼 있음.
주요 브랜드별 제품
|
순위 |
기업명 |
제품명 |
사진 |
홈페이지 |
소매가격 |
|
1 |
Unilever
|
TRESemmé Keratin Smooth with Argan oil and Keratin |
|
com.vn/brands/our-brands/tresemme.html |
US$ 7.58/650g |
|
2 |
Clear Herbal Shampoo
|
|
/vn/san-pham/loai/dau-goi.html |
US$ 6.81/650g |
|
|
3 |
Procter & Gamble
|
Head & Shoulder Mint Anti-Dandruff Shampoo |
|
headandshoulders.vn/vi-vn |
US$ 5.69/625ml |
|
4 |
Pantene Anti-Hairfall Shampoo |
|
brands/pantene.shtml |
US$ 4.44/650g |
|
|
5 |
Unza
|
Enchanteur Charming Shampoo |
|
US$ 6.68/650g |
|
|
6 |
Romano Classic Shampoo |
|
US$ 7.06/650g |
||
|
7 |
International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ICP)
|
X-Men metal Anti-Dandruff Shampoo |
|
N/A |
US$ 6.85/650g |
□ 유통구조
ㅇ 베트남 생산의 경우 생산이후 유통 에이전시를 통해 전국에 공급되며, 일부 지방 소도시의 경우 하위 유통 에이전시를 통해 납품됨.
ㅇ 수입 제품의 경우 수입업체(무역회사)를 통해 수입이 되어 도매상, 온라인 유통망 등으로 공급
- 통계상에 잡히지 않는 상당제품의 경우 정식 수입이 아닌 핸드캐리 형태로 베트남에 유입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은 주로 온라인을 통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
유통구조
자료: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 관세율
ㅇ 두발용 제품류에 해당하는 HS CODE 3305류의 경우
|
HS 코드 |
품명 |
관세율(%) |
VAT(%) |
||
|
MFN |
AKFTA |
VKFTA |
|||
|
3305 |
|
||||
|
3305.10 |
샴푸 |
|
|
|
|
|
3305.10.10 |
곰팡이 방지 성분 함유 샴푸 |
15 |
0 |
0 |
10 |
|
3305.10.90 |
기타 |
15 |
0 |
0 |
10 |
|
3305.20 |
waving)용이나 스트레이트닝 (straightening)용 제품류 |
15 |
20 |
18 |
10 |
|
3305.30 |
15 |
0 |
0 |
10 |
|
|
3305.90 |
20 |
20 |
10 |
10 |
|
자료: 베트남 세관총국
□ 시사점
ㅇ 베트남 시장에는 다양한 경쟁 제품들이 유통 중으로 현지 트렌드에 맞는 경쟁력 있는 제품 판매가 중요하며, 수출 시 품질 및 제품생산과 관련한 충분한 서류 구비가 필요함.
- KOTRA 하노이 무역관에서 헤어케어 제품을 전문적으로 수입해 유통하는 L사의 대표 Mr. Thiep씨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 베트남 여성들에게 인기있는 헤어 제품은 향이 좋고 오래가는 제품” 이라고 언급하며 소비자에 취향에 맞는 제품 선정이 필요함을 충고함.
- 또한 그는 “한국 파트너업체 선정 시에 CFF 수출 증명서, 품질 증명서 등 제품과 관련된 인증서류들이 잘 준비된 업체의 경우 우선권이 부여된다”고 전하며, “많은 해외 기업들이 자국 제품 수출을 원하나 충분한 서류가 준비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고 지적했음.
- 한편 베트남에서 살롱 전문 제품을 유통하는 Mr. Tuan씨는 KOTRA 무스카트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 유통을 하는 입장에서 품질이 높고 다양한 제품 라인이 있는 브랜드를 선호하며 제품 단가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 우리는 이탈리아 제품을 수입하고 있지만 한국 제품 수입도 원하며, 특히 한국 제품 중 향이 좋은 제품들, 헤어 컬링 지속력을 높여주는 오일 등이 수요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고 전했음.
자료: 유로모니터, 각 사 홈페이지, ICT Trade map, 베트남 세관 총국,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