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베트남 투자 컨설팅,법인설립,공장설립

VNR500.jpg

 

 베트남 평가 리포트사(베트남 리포트)는 최근 베트남 기업 톱 500(VNR500)의 2024년판을 발표했다. 이 랭킹에서는 삼성전자 베트남 타이응웬(Samsung Electronics Vietnam Thai Nguyen=SEVT)이 8년 연속 톱을 유지했다.

 

2위에는 페트로베트남 그룹(Vietnam National Oil and Gas Group=PVN), 3위에는 페트로리멕스(Petrolimex)가 톱 3으로 변동은 없었다.

 

VNR500은 ◇매출액, ◇이익, ◇성장 속도, ◇총자산, ◇노동력의 5개 지표에 근거해 기업을 랭크한 것이다.

 

2024년 베트남 기업 톱 10은 다음과 같다. ※( )안은 전년 순위

 

1위: 삼성전자 베트남 타이구엔(Samsung Electronics Vietnam Thai Nguyen=SEVT) (1위)

2위: 페트로베트남 그룹(Vietnam National Oil and Gas Group=PVN) (2위)

3위:페트로리멕스(Petrolimex) (3위)

4위: 빈그룹(Vingroup) (10위)

5위 : 베트남 농업 농촌 개발 은행(Agribank) (6위)

6위 : 베트남 투자 개발 은행(BIDV) (9위)

7위: 베트남 군대 공업 통신 그룹(Viettel) (5위)

8위:비엣틴은행(Vietinbank) (12위)

9위:빈손 제유석화(Binh Son Refining & Petrochemical) (4위)

10위 : 국영석탄 대기업 베트남 석탄광산그룹(Vietnam National Coal Mineral Industries Group=비나코민) (7위)

 

2024년에 있어서의 베트남 로컬 민간 기업 톱 10은 다음과 같다. ※( )안은 전년 순위

 

1위: 빈그룹(Vingroup) (2위)

2위: 호아팟 그룹(Hoa Phat Group) (1위)

3위 : THE GIOI DI DONG 투자(Mobile World Investment) (3위)

4위:VP은행(VPBank) (4위)

5위 : 마산그룹(Masan Group) (6위)

6위 : 도지 쥬얼리(DOJI) (5위)

7위 : 텍콤은행(Techcombank) (8위)

8위 : Truong Hai 자동차 [THACO](Truong Hai Automobile=THACO) (22위)

9위:사콤뱅크(Sacombank) (11위)

10위 : 비나밀크(Vinamilk) (7위)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2024-11-13 12 34 44.jpg

 

 미국의 항공 우주 제조업체인 스페이스 익스플로레이션 테크놀로지스(스페이스 X=SpaceX)의 복수 공급자가 지정학적 리스크로부터 신규 주문에 대해 제조 거점을 대만에서 다른 나라로 이관하는 움직임이 있어, 베트남이 이 혜택을 누리는 나라 중 하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제조 거점의 이관은 스페이스 X의 요망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스페이스 X에 부품을 공급하는 대만계 위스트론 니웹 코퍼레이션(Wistron NeWeb Corporation=WNC)은 베트남 북부 홍하 델타 지방 하남성 공장에서 스페이스 X 위성 인터넷 액세스 서비스 '스타링크(Starlink)'를 위한 설비 부품 생산을 실시하고 있다.

 

하남 공장은 높아지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종업원 수를 현재 3000명에서 적어도 2배로 늘릴 계획이다.

 

똑같이 스페이스X의 공급자인 대만계 유니버설 마이크로웨이브 테크놀로지(Universal Microwave Technology)와 셴마오 테크놀로지(Shenmao Technology)도 베트남 공장에 투자를 실시하고 있다.

 

스페이스 X의 글로벌 비즈니스 담당 수석 부회장인 팀 휴즈는 9월 방미한 베트남 서기장 겸 국가 주석(당시)과의 회견에서 베트남은 동사의 위성 인터넷 액세스 서비스 개발 계획에서 중요한 잠재적 시장이라고 평가하고 가까운 장래 베트남에 15억 USD를 투자할 계획이 있다고 말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ASEAN.jpg

 

 라오스에서 열린 제25회 아세안 고위급 회의에서 아세안과 한국 정상 양자는 포괄적인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기로 합의했다.

 

10월 10일 라오스의 수도 비엔티안에서 ASEAN과 한국의 포괄적인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에 관한 공동 성명이 발표되었다. 각국 정상은 포괄적인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은 아세안과 한국의 광범위한 협력관계의 성과뿐만 아니라 보다 고도로 긴밀한 결속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강조했다.

 

ASEAN 각국 정상과 한국 대통령은 양자의 협력관계를 더욱 깊게 하기 위해 ASEAN·한국연대구상(KASI)을 긴밀한 협력하에 효과적으로 전개할 것을 확인했다.

 

양자는 현대 안보상의 과제에 대응, 무역 촉진, 기업 제휴, 민간 교류, 문화 교류, 교육 교류, 관광 교류 등에서의 협력 외에도 과학 기술 개발과 혁신 촉진, 디지털화 , 환경문제, 기후변화 대응, 자연재해 위험관리 등 분야에서도 협력을 촉진하기로 합의했다.

 

한국의 윤석열 대통령은 아세안 국가들과의 연대와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안보, 경제발전, 기후변화 대응 등에 관련된 과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측은 또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공동연구, AI 전문가 육성 등에 대해 ASEAN과 협력하기 위한 자원 투자를 늘릴 예정이라고 했다.

 

베트남 Phạm Minh Chính 총리는 회의에서 아세안과 한국의 관계를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세 가지 방향성에 대해 말했다.

 

총리는 ASEAN과 한국이 주변 지역의 평화, 안전, 안정, 번영에 대해 더욱 책임을 지고 기여할 것을 제안했다. 베트남은 한국이 계속해서 ASEAN의 남중국해에서의 공통 입장과 남중국해의 평화, 안정,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대처를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아세안은 한반도 비핵화를 통한 장기적 평화와 안정을 위해 관련국들의 대화 강화를 위한 조율을 촉진할 용의가 있다.

 

아세안과 한국은 또한 경제협력, 문화, 관광, 교육의 협력에 중점을 둔 경제협력을 강력히 촉진할 필요가 있다. 친 총리는 양자들이 공동문서 체결을 촉진하고 통풍이 잘 되고 편리한 틀을 구축하고 서로 더 큰 시장을 개방하며 문화, 관광, 교육분야의 교류를 촉진시켜야 한다고 제안했다. .

 

베트남 총리에 따르면 아세안과 한국은 새로운 성장의 원동력에 대한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강한 의지를 가지고 행동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즉 혁신, 하이테크놀로지, 신재생에너지, DX, 그린 트랜스포메이션, 기후변화 대응, 반도체와 AI, 클라우드 컴퓨팅, IoT 등을 통해 양자가 전략적 협력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메콩·한국 파트너십도 지역에서의 포괄적인 성장, 격차 축소, 공평하고 안정된 발전을 위한 노력을 촉진하고 적극적으로 공헌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도 했다.

 

한국은 ASEAN에 있어서 5번째로 큰 무역 상대국이며, 2023년의 무역 총액은 1968.4억 USD였다. 또 ASEAN에 대한 투자국으로서도 세계 6위 2023년의 투자액은 110억 USD에 달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Long Thanh International Airport.jpg

 

 Phạm Minh Chính 총리는 현재 진척 상황을 근거로 롱탄 호치민 국제 신공항 완성을 계획보다 약 1년 앞당겨 2025년에 완성하도록 지시했다.

 

이는 9월 24일 롱탄 국제공항 건설 프로젝트를 시찰한 뒤 베트남공항공사(ACV)와 교통운송부와의 회담에서 총리가 말한 내용이다.

 

진척을 앞당기기 위해 총리는 ACV에 다음 주까지 제2활주로에 관련 문서를 작성하고 정부기관에 제출하고 심사를 받고 나서 차기 국회에 제출하도록 지시했다. “제1활주로에 관한 서류는 완성되어 있다. 건설업자의 노력으로 프로젝트는 계획을 앞당겨 2025년 12월 31일까지 완성할 수 있다는 전망을 밝혔다.

 

이전에는 베트남 최대 국제공항 프로젝트인 롱탄 국제공항 건설 프로젝트는 2026년 완성 예정이었다. 얼머 전 Trần Thanh Mẫn 국회의장과의 회의에서 ACV 간부는 2026년 9월 2일에 조업개시라는 목표를 나타낸 바 있었다.

 

롱탄 국제공항 건설 프로젝트는 총 면적 5000헥타르, 총 투자액 336조6300억VND으로 1단계 프로젝트로 2021년 착공됐다. 제1단계에서는 활주로 1개와 연간 2500만명이 이용 가능한 공항 터미널과 부속시설이 건설된다. 제2단계와 제3단계에서는 각각 연간 5000만명과 1억명이 이용 가능하도록 공항시설 확장공사가 진행된다. 이 이용자 수는 하노이 노이바이 공항과 현재 호치민 떤선녓 국제공항의 3배 이상이다.

 

9월 24일 오후 총리와 회담한 ACV 간부는 현재 공항 건설 공사가 매우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높이 108m 가까이 있는 관제탑의 몸체는 거의 완성되어 있다. 여객터미널 건설 패키지도 현재 계약액의 25%에 해당하는 8조3000억 VND분이 완성돼 있어 2025년 12월까지는 완성될 예정이다. 활주로 유도로 항공기 에이프런의 건설 공사도 계획보다 3개월 정도 앞당겨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비엔호아 - 붕타우 고속도로 건설 프로젝트에 대해 총리는 동나이성에 건설 용지의 수용을 가속시키고 건설업자의 되메우기 문제를 해결하도록 지시했다. 동나이성은 10월 중에 용지를 인도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 고속도로 프로젝트는 바리아 붕타우 성과 연결되어 롱탄 국제 공항 개업을 위한 매우 중요한 프로젝트이다. 그러므로 동나이성은 조기에 용지를 확보하고 바리아 붕타우성에 지지 않도록 건설을 진행시켜야 한다. 하청업체를 배려하고 시간과 인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라고 덧붙였다.

 

비엔호아-붕타우 고속도로 프로젝트는 총 길이 54㎞로 4~6차선으로 총 투자액은 17조8000억 VND이다. 본 프로젝트의 첫 번째 섹션은 동나이성이 투자하고 있는 16㎞의 구간이며, 두 번째 섹션은 교통 운수부와 바리아 붕타우성이 담당하는 18.2㎞의 구간, 세 번째 섹션은 바리아 붕타우성이 담당하 19.5㎞의 구간이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202409271.jpg

 

 베트남 커피코코아협회(VICOFA) 전문가에 따르면 베트남산 랍스타종 커피콩의 수출 가격이 9월 전반에 급등해 지금까지 3배 이상 높았던 아라비카종 수출가격을 크게 웃돌아 있다. 이러한 역전 현상은 전례가 없다고 한다. 배경에는 랍스터종의 품질 향상이나 소비자의 기호의 변화 등이 있다고 한다.

 

통계에 따르면 베트남에서는 9월 전반 1만7305톤으로 8700만달 이상의 커피가 수출됐다. 전년 동기에 비해 양은 약 18% 감소했지만 매출은 약 55.1% 증가했다.

 

수출의 대부분은 랍스터종이 차지했으며, 그 중 1만5155톤에 7658만3000달러에 이른다. 평균 수출 가격은 1톤당 5053달러였다.

 

한편, 아라비카종의 수출은 1129톤에 470만5000달러로 1톤당 평균 가격은 랍스타 종보다 1000달러 가까이 낮은 4166미달에 그쳤다.

 

일반적으로 카페 등에서 제공되는 커피는 아라비카종의 경우가 많고, 랍스터종은 캔 커피 등의 가공품의 원료로서 소비되는 경우가 많았다. 가격에도 큰 차이가 있었다. 가격 역전의 원인으로 전문가는 최근 랍스터 종의 품질 향상을 꼽는다. 또한 가공업자나 로스팅 업자도 랍스터종에 주목한 것도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다만 아이러니하게도 랍스타종의 생산고는 감소 기미로 좋지 않은 날씨나 오랫동안 계속된 커피 가격의 침체에 의한 농가의 전작이 원인이라고 한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202409241.jpeg

 

 베트남에서 2023년 시점의 자동차 보유율은 인구 1000명당 63대, 연간 판매 대수는 약 30만 2000대이다.

 

베트남 정부는 향후 자동차 산업의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상공부는 2030년까지 연간 100만대 이상의 자동차를 국내에서 판매하는 것을 목표로 내걸었다.

 

상공부가 공개한 '2030년까지 베트남 자동차산업발전전략' 초안에 따르면 자동차 시장은 연평균 14~16%의 성장을 이루며 2030년에는 연간 100만~110만대의 자동차가 판매 될 전망이다.

 

그 중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태양에너지차의 보급 대수는 35만대에 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국내 자동차 조립 ·제조도 연 18~20%의 성장을 이루며 60만~70만대 생산이 목표로 되어 있다.

 

2045년까지 베트남 자동차 시장은 연간 11~12%의 성장률을 유지해 판매 대수는 500만~570만대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전동차와 친환경 연료를 사용한 차량이 시장의 80~8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조립·제조업체도 대폭적인 성장을 이루고 수요의 80~85%를 국내 생산으로 빚을 계획이다.

 

정부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전기 자동차 및 환경 대응 차량의 연구 개발을 촉진하고 국제적인 공급 체인에서 중요한 지위를 확립할 방침이다.

 

또한 2030년까지 자동차 관련 수출액을 140억 달러로 끌어올려 2045년에는 360억 달러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국내 자동차 부품 조달률을 55~60%로 높여 2045년까지 80~85%에 달할 계획도 나와 있다.

 

특히 친환경 차량 개발이 우선되어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바이오 연료차, 태양에너지차의 보급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 상용차나 특정 용도용 차량의 생산에도 주력해, 국내외에서의 수요에 응하는 체제로 정돈한다.

 

또한 전기차 보급을 위한 인프라 정비에도 주력해 충전 스테이션이나 연료 보급 시설, 변압기 등 관련 인프라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소비자를 위한 우대 조치로서 전기차에 대한 소비세 감면과 차량등록 비용 경감, 주차요금 보조 등도 검토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202409241.jpg

 

 베트남 국내에 있는 많은 공장들이 노동자의 복리 후생을 중시하기 시작했으며, 주 48시간 이하의 노동시간을 설정해 토요일에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어 나가고 있다.

 

이에 따라 종업원은 가족이나 자신의 시간을 가지면서도 수입이 확보 된다는 새로운 노동 환경이 확산되고 있다.

 

호치민시 7구에 있는 탄투안 수출가공구(Tan Thuan EPZ)의 Juki VIETNAM에서는 16시 종업 벨이 울리면 직원들은 서둘러 청소와 작업장 정리를 하고 5분 후에는 퇴근한다.

 

이 회사는 하루 실제 근로 시간을 7.3시간으로 설정하고 점심 휴식과 중간 휴식을 뺀 시간으로 효율적으로 작업하고 있다.

 

게다가 월 2회 토요일 휴일을 도입함으로써 주 근무시간은 44시간으로 억제되고 노동법의 기준인 48시간보다 단축되고 있다.

 

이 회사는 육아를 하는 종업원들의 목소라에 따라 퇴근 시간도 빨랐다고 한다.

 

호치민시 교외의 냐베군에 위치한 An Thien 제약회사도 주 44시간의 노동시간을 실시하고 있다.

 

한때는 주 6일, 총 48시간의 노동이 표준이었지만, 종업원의 의견을 근거로 토요일의 오전 근무를 정리해 이틀분의 휴가로 하는 방법을 도입했다.

 

호치민시의 수출가공구 및 산업단지 노동조합에 따르면 Juki와 An Thien 제약을 포함한 20개 이상의 기업이 주 48시간 미만의 노동시간을 설정하고 있으며 일부 기업에서는 주 40시간 노동체제를 도입하고 있다.

 

이들 기업들은 전자기기, 봉제, 식품, 반도체 기술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짧은 노동시간이면서도 급여나 복리후생은 확실히 보장되고 있다고 한다.

 

노동조합의 회장은 “일부 공장이 자발적으로 노동시간을 단축하고 있는 것은 노동자의 건강과 가족과의 시간을 중시한 대처이며 기업이 우수한 인재를 유지하는 수단이기도 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또한 노동환경에 관한 조사에서는 시간에 대한 복리후생이 노동자의 가장 중요한 요망이며, 특히 제조업에서도 그 경향이 강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시간의 유연성과 휴식의 충실이 기업에 있어서 노동자의 만족도를 높여 장기적인 노동력 확보로 이어지는 중요한 요소이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202409181.jpg
nguoiquansat.vn

 

 베트남의 알코올 업계는 전례없는 충격에 직면하고 있다. 2026년부터 2030년에 걸쳐 실시 예정인 특별소비세의 대폭적인 인상안이 논의되고 있으며, 이는 업계 전체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재무부는 주류와 맥주에 대한 특별소비세의 증세안에 대해 의견을 모으고 있으며, 이 안에는 알코올 도수 20도 이상의 주류에 대해 현행의 65%에서 70%~100%로 끌어올리는 2개안의 시나리오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20도 미만의 주류에는 세율을 35%에서 40%~70%로 끌어올리는 방안도 있다. 맥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세율을 현행의 65%에서 70%~100%로 늘릴 방침이다.

 

이 증세안은 이미 어려운 상황에 있는 업계에 추가로 타격을 줄 수 있다.

 

계획투자부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7개월간 매월 평균 1만7900개 기업이 시장에서 철수하고 있다.

 

음료업계도 코로나 팬데믹 이후 이익률이 지속적으로 감소해 재고는 2024년 상반기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했다. 이로 인해 세금 증가는 경영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

 

사이공맥주(SAB) 대표는 이 증세가 업계에 “전례 없는 충격”을 초래해 많은 기업과 노동자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또 경제학자 Ngo Tri Long씨에 따르면 세수를 늘리기 위한 증세가 기업을 궁지로 몰아넣고 장기적으로 볼 때 세수 감소로 이어질 위험성이 있다.

게다가 급격한 증세는 밀조주 유통을 조장하고 품질관리가 잘 되지 않는 주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공중위생에 악영향을 미칠 위험도 있다고 했다.

 

베트남 세무협회의 Nguyen Thi Cuc 회장도 단계적인 증세가 필요하고 기업 활동이나 고용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회장은 또 소비세가 가격에 전가되어 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지만, 소비억제를 위해서는 세금뿐 아니라 불법거래 단속이나 밀조주 생산규제 등 다른 대책도 필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국회경제위원회 Phan Duc Hieu 씨는 증세가 필요하다면서, 기업이 대응가능하도록 단계적인 실시가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Phan Duc Hieu 씨에 의하면, 증세의 구체적인 시기나 최고 세율을 명확하게 해 과도한 세율이 경제 전체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선에서 조정이 중요하다라고 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동향전망
2024.09.04 22:09:18

베트남 경제 전망.jpg

 

 세계은행(WB)은 수출, 관광, 소비, 투자의 회복으로 베트남 경제가 개선되는 추세라고 평가했다.

 

 8월 26일 WB는 최신 베트남 경제 보고서를 공표했다. 그에 의하면, 베트남 경제는 많은 과제에 직면하는 세계 정세하에 있어서, 뛰어난 내구력을 나타내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베트남의 2024년 GDP 성장률에 대해서도 WB는 4월에 발표했던 5.5%를 웃도는 6.1%로 예측하고 있고, 2년 후에는 6.5%에 달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고 있다.

 

 통계국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베트남의 경제성장률은 6.42%이다. WB는 올 상반기 베트남 경제의 성장은 수출, 소비, 투자의 회복에 따른 것이라고 평가했다. 통계총국 데이터를 토대로 WB가 추산한 바로는 올해 상반기 수출액과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6.9%와 17% 증가했다. 투자와 소비도 각각 6.7%와 5.8% 증가했다.

 

 해외 수요 회복도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수출 안정에 기여했다. 2/4분기와 상반기의 양호한 경제성장 결과에 따라 정부는 올해 경제성장 시나리오를 갱신해 국회가 정한 목표인 6~6.5%를 웃도는 7.0%를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현재 WB 이외 IMF, ADB, UOB, 스탠다드차타드 은행, HSBC 등 다른 국제금융기구들도 올해 베트남의 경제성장률이 6%를 넘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 중에는 6.5%로 전망하고 있는 곳도 있다.

 

 그러나 WB 분석팀은 베트남이 아직 코로나 이전의 성장 궤도로 돌아가지 못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국내 수요는 여전히 약하고 신용이 힘차게 성장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부실채권이 증가하고 있다. 베트남 국가은행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부실채권비율은 4.56%로 2022년 말부터 두 배로 늘었다.

 

 주요 무역 상대국인 미국과 중국은 국내에서 많은 문제에 직면해 있어, 무역액은 내년 이후 감속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반면 인플레이션율은 올해 4.5%에서 4%로 떨어지고 2년 뒤에는 3.5%까지 떨어질 전망이다. 경상수지는 약간의 흑자로 안정되고 있으며 정부 채무와 정부 보증채무의 GDP 대비 비율은 점차 낮아지고 있다.

 

 Sebastian Eckert 세계은행 동아시아태평양지역 거시경제 무역투자 부문 부장은 성장세를 지속하기 위해 베트남은 계속해서 구조개혁과 공공투자를 촉진하고 동시에 금융시장 리스크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WB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Dorsati Madani 씨는 '베트남은 공공투자와 더불어 민간투자 촉진도 필요하다고 지적하며 외부 환경은 변화하고 있고, 여러 곳에서 그린 트랜스포메이션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베트남 기업은 제조 분야에서 GX 기술 적용을 검토해야 합니다. 선구자가 되면 기회를 잡고 시장에서 더 많은 점유율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라고 말하고 있다.

 

 그는 미국이 베트남을 시장경제 국가로 인정하지 않은 것을 언급하며, 이것이 양국의 지금까지의 무역 흐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해외직접투자(FDI)도 안정적인 유입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는 FDI를 유지하기 위해 베트남은 노동자의 질과 교통, 통신, 전력 등 기초 인프라를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도 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통계/물가
2024.08.21 08:58:14

202408211.jpg

사진: VNEXPRESS

 

 호치민시 인민위원회는 2025년 호치민시 역내총생산(GRDP) 성장률 목표를 8.0~8.5%로 결정했다.

 

이는 호치민시 인민위원회의 Phan Văn Mãi 주석이 지난날 서명한 '2025년까지 호치민시의 경제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과제와 해결책 실시에 관한 지시' 중에서 설정된 6가지 주요 목표 중 하나이다.

 

8.0~8.5%의 GRDP 성장률이 달성되면 지난 5년간 신형 코로나의 영향으로 2021년 경제성장이 떨어졌기 때문에 다음 해 성장률이 급증한 2022년 9.03% 다음으로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 된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호치민시는 7개의 솔루션 그룹과 주요 작업을 설정했다. 그 중 투자 기둥 축이되는 계획투자국은 2025년에 약 422조VND의 사회투자 자금을 활용하는 솔루션의 실시를 통괄하는 역할을 받았다.

 

이 금액은 2023년에 달성된 실적인 370조에서 14% 가까이 증가하고 있다. 2024년 상반기에 호치민시가 실시한 사회투자 총액은 148.3조VND로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했다.

 

공공투자 지출을 가속화함과 동시에 각 공업단지, 수출가공구, 하이테크파크에 대한 해외 및 국내 투자를 유치함으로써 사회투자자본의 총액을 확대시킨다.

 

소비의 기둥으로서 호치민시 인민위원회는 효율적인 공공 지출을 실시해, 계속해서 소비 자극책과 시장의 안정을 실현시킨다. 또한 다른 솔루션으로는 지역과 해외의 연결을 촉진하고 수출을 확대하고 투자 비즈니스 환경을 개선하여 기업의 어려움을 없애고 제조 및 서비스 개발을위한 토지 기금 확대 등을 전개해 간다.

 

디지털 경제와 녹색 경제 분야에서는 많은 역할이 관련 행정 기관에 할당되었다. 그 중에서 산업단지관리위원회는 특히 디지털 인프라, 데이터센터, 로지스틱, 연구개발 등의 분야에 집중하여 투자방침이 승인된 프로젝트의 개시를 촉진시킨다.

 

상공국은 공공 시설의 지붕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설치 프로젝트의 진척을 서포트한다. 또한 베트남 국가은행 호치민시 지점은 신재생에너지와 신에너지 개발을 위해 그린 크레딧 성장을 우선적으로 조정한다.

 

2024-08-21 09 05 30.png

 

호치민 최근 연도별 경제 성장률

 

호치민시의 2024년 GRDP 성장률 목표는 7.5%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호치민시의 1분기와 2분기 경제성장률이 각각 6.54%와 6.31%였기 때문에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호치민시는 하반기에 평균 8.5% 이상의 성장을 이룰 필요가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VAT.jpg

 

 베트남 부가가치세(VAT)법 개정 초안을 둘러싸고, 재정부는 개인 사업주에 대한 VAT의 과세 소득 기준이 되는 연간 소득액에 대해, 현행의 2배에 상당하는 2억 VND로 하는 것을 제안했다.

 

VAT 법의 일부를 개정·보충하는 법률이 2014년 1월 1일에 시행된 지 10년이 지났고, 과세소득기준도 10년 전 정해진 채로 되어 있다. 지난 10년간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대폭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납세의무가 발생하는 연간 소득액도 인상할 필요가 있다.

 

 Le Quang Manh 국회 재정 예산 위원장은 14일 열린 국회 상무위원회의 회의에서 최근 10년간의 CPI 상승률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바탕으로 개인사업주에 대한 VAT의 과세소득기준이 되는 연간소득액을 재정부의 제안과 같은 2억VND로 설정하거나 3억VND까지 인상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를 제시하고 국회 상무위원회가 결정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국회경제위원장은 중간인 2억5000만VND로 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재정부에 따르면 개인사업주에 대한 VAT의 과세소득기준이 되는 연간소득액을 2억VND로 끌어올린 경우 과세대상인 개인사업주 수는 62만 감소하고 2조6300 억VND의 세수상실이 된다.

 

또한 3억VND로 끌어올린 경우에는 과세대상이 되는 개인사업주 수는 73만4000 감소하고 6조3000억VND의 세수상실이 된다고 시산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제조업.jpg

사진: 베트남 익스프레스

 

 S&P 글로벌 조사에 따르면 베트남 제조업 생산은 7월 13년 만에 급성장했다.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7월 54.7포인트에 달해 2018년 11월 이후 최고치가 됐다.

 

신규 수주가 4개월 연속 증가함에 따라 생산량이 대폭 증가했다. S&P 글로벌에 따르면 7월 생산량 증가율은 6월보다 빠르며 2011년 3월 이후 최고 수준에 달했다.

 

 S&P Global Market Intelligence의  아시아 담당 Andrew Harker에 따르면 베트남은 제조업의 상승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베트남이 양호한 성장 단계에 들어가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것은 경제의 진전을 촉진한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은 주문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을 늘리고 기존 재고를 사용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현재의 주요 과제는 수요를 따라잡는 것이다.

 

Andrew Harker는 “제조업체는 노동력을 신속하게 증강하고 추가 원재료를 계속 확보할 필요가 있다. .

 

한편 베트남 통계총국이 발표한 7월 데이터도 제조업 성장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7월 공업생산지수(IIP)는 전월 ​​대비 0.7%,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했다.

 

7개월간의 누계에서 IIP는 8.5% 증가했으며 전년 동기의 0.8% 감소에서 회복하고 있다.

 

경제 견인역의 호치민시에서는 7월 제조업이 회복을 보였으며 IIP가 9.6%, 가공·제조업 소비가 13.4% 증가했고 재고는 17.8% 감소했다.

 

8월 1일 시의 경제·사회 관계 회의에서 호치민시 기업협회(Huba) 회장인 Nguyen Ngoc Hoa 씨는 “지난 달 기업 상황이 개선되고 있다”고 확인했다.

 

호아 씨는 “섬유업계는 추가 주문을 받고 연말 쇼핑 시즌까지 일부 주문도 확보하고 있다. 라고 말했다.

 

그러나 제조업에는 아직 과제가 남아 있다. S&P 글로벌 조사에 따르면 7월 투입 비용은 여전히 ​​높아 지난 2년간 기록된 6월 수준에 가깝다고 한다.

 

원재료비와 물류비용 상승으로 제조사는 3개월 연속 판매 가격을 조정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일부 기업은 높은 수송 비용으로 수출 수요가 영향을 받고 있다고 보고했다. 이에 따라 비즈니스 신뢰감은 1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Huba에 따르면, 호치민시에서는 기업의 회복이 균일하지 않다. 해외직접투자(FDI) 기업, 대규모 자본, 고도기술분야, 전기·전자제조업이 강력하게 생산·영업을 회복시키고 있는 반면, 많은 중소기업들은 여전히 ​​활동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투자개발 IT
2024.07.31 08:48:28

Nguyen Manh Hung.jpg

 

 하반기 중점 시책으로 국가 차원의 DX 디지털 전환 가속화와 더불어 2030년까지의 베트남 반도체 산업 발전 전략과 2050년까지의 비전 수립 등을 총리에의 제출이 예정되어 있다.

 

베트남의 Nguyen Manh Hung 정보통신 장관은 29일 호치민시에서 개최된 2024년 상반기 업무 검토회의에서 연말까지 국가 DX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디지털 경제, 디지털 사회 구축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방침을 나타냈다. 동시에, 미디어, 출판, 사이버 공간에서의 정보 관리의 강화도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정보통신부의 보고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정보통신산업 매출은 2조동(약 790억 달러)에 달해 전년 동기와 비교해 27% 증가했다. 이는 2024년 연중계획의 절반에 해당하며, 또한 업계 고용자 수는 150만 명을 넘어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다.

 

게다가 2024년부터 2026년까지 'Make in Vietnam'이라는 디지털 제품의 국내외 투자 촉진 및 상업화를 지원하기 위해 베트남 상공연맹과의 협력협정 체결도 계획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통계/물가
2024.07.25 07:39:18

vietnamGDP.jpg

 

 베트남 정부는 2030년까지 1인당 GDP를 약 7500 USD(현재 환로 1억 9000만VND)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2045년을 염두에 둔 2030년까지 국토의 산업화와 근대화 추진에 관한 제13기 당 중앙집행위원회의 결의 29호 실현을 위한 7월 22일 정부가 발표한 행동계획 가운데 정해진 목표 중 하나이다.

 

세계은행(WB)에 따르면 1인당 GDP는 1인당 경제생산액의 기본적인 척도가 되며, 간접적으로 1인당 소득을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GDP 성장률과 1인당 GDP는 경제성장의 대략적인 척도로 사용되고 있다.

 

통계총국에 따르면 2023년 베트남 1인당 GDP는 4284.5USD(약 1억190만VND)에 달해 2022년부터 160USD 상승했다.

 

한편 국제통화기금(IMF)은 2024년 베트남 1인당 GDP가 4620USD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현재 베트남 1인당 GDP는 2000년에 비해 9배 이상 증가했다.

 

정부의 행동계획에서는 1인당 GDP에 더해 매년 평균 GDP 성장률 목표를 7%로 설정하고 있다. 2030년까지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의 산업경쟁력 순위에서 톱 3에 들어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GDP에서 차지하는 공업 비율은 40%를 넘는다. 제조·가공업만으로도 GDP의 30%를 차지하며, 1인당 제조·가공업의 부가가치는 2000USD를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베트남은 기간산업, 우선산업에서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대규모 기업그룹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더해 국제경쟁력을 갖춘 국내산업클러스터를 구축, 발전시켜 생산가치 체인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제조업과는 별도로 서비스업도 GDP의 5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 중 관광업만으로도 GDP의 14~15%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202407111.jpg

 

 중앙경제관리연구소(CIEM)는 독일국제협력공사(GIZ)와 9일 공동 개최한 거시경제 심포지엄에서 2024년 베트남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최신 예상치를 발표했다.

 CIEM은 같은 해 GDP 성장률 예상치를 6.1~6.5%에서 6.55~6.95%로 상향 조정했다.

인상 이유는 2024년 1~6월기 GDP 성장률이 전년 동기 3.72%에서 6.42%로 가속, 수출액도 전년 동기 대비 14.5% 증가했으며 해외직접투자(FDI) 인가액과 실행액도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2024년 1~6월기의 실적을 근거로 한 2024년 연중의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베이스라인 시나리오(메인 시나리오):

GDP 성장률 : +6.55%

수출액 성장률 : +9.54%

무역흑자액 : 57억 USD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 +4.31%

 

긍정적 시나리오 :

GDP 성장률 : +6.95%

수출액 성장률: +11.64%

무역흑자액: 73억USD

CPI 상승률 : +4.12%

 

 CIEM은 거시경제 안정화를 위한 적절한 대책과 더불어 성장의 질과 혁신 능력을 향상시킬 것,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과 그린 트랜스포메이션(GX) 등 주요 트렌드에 적응할 것, 순환경제와 디지털 경제, 공유 경제(共有經濟, 영어: sharing economy), 크리에이티브 이코노미 등 새로운 경제 모델에 관한 법적 틀을 정비할 것 등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보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vietnam VAT.jpeg

 

 증권 보험 은행 부동산 등 일부 분야를 제외한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부가가치세(VAT) 2% 감면이 6개월간 추가 연장된다.

 

6월 29일 제7기 국회 결의안이 95% 의원의 찬성으로 가결되었다. 이런 가운데 국회는 현행 부가가치세 2% 감면 방안을 올해 말까지 연장해 적용하기로 했다.

 

VAT의 2% 감세는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일부 상품과 서비스에 적용된다. 감세의 대상이 되지 않는 것은 부동산, 증권, 은행 서비스, 통신, IT, 석탄, 화학품 및 특별 소비세 대상 상품과 서비스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VAT의 2% 감세로 국민은 지출을 줄일 수 있어 수요를 자극하고 소비를 늘리는 심리적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부가가치세 감세기간을 올해 말까지 연장함으로써 올 하반기 세수는 약 24조VND(월 4조VND)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연간 세수 감소는 47.5조 VND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국회는 정부에 부가가치세 감세기간 연장에 따라 국가예산 지출 예정이나 긴급대책 비용에 차질이 없도록 재원을 확보하라고 지시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동향전망
2024.07.02 08:28:05

베트남 GDP.png

 

2024년 2분기 GDP 성장률은 6.93%로 추정되며 최근 5년간 두 번째로 높은 성장률을 보일 전망이다.

 

6월 29일 통계총국은 2024년 상반기 경제상황에 관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GDP 성장률은 전년 대비 6.93% 증가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수치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5년간 2022년 2분기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2024년 상반기 GDP 성장률은 6.42%로 추정되고 있다.

제조업, 건설업, 서비스업이 여전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경제성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그 가운데 제조업과 건설업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일부 주요 제품은 큰 폭으로 증가해 신규 수주 요구에 부응하고 있다. 상반기 이 업계의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7.54% 증가했으며, 지난 5년간으로 보면 2022년 상반기 8.32% 다음으로 높아졌다.

 

세계적인 소비수요 회복세에 따라 서비스업과 수출 분야도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경제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이 분야의 성장률은 6.64%로 2020년과 2021년 상반기의 1.18%와 5.06%를 웃돌고 있다.

 

나머지 농림수산업도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어 전년 동기 대비 3.15%의 성장을 기록해 경제 전체 성장률에 0.27%포인트 기여했다.

 

2024년 상반기 베트남의 무역흑자액은 116.3억 달러로 추정돼 지난해 134.4억 달러를 밑돌았다. 다만, 무역 총액은 3685.3억 USD가 되어, 수출액도 수입액도 전년 동기보다 14.517%증가했다.

 

베트남의 최대 수출 상대국은 여전히 미국으로 2024년 상반기 수출액은 543억 달러에 달한다. 최대 수입 상대국도 여전히 중국으로 수입액은 670억 달러다.

 

2024년 상반기에는 11만9600개 기업이 신규로 설립되거나 시장에 복귀했으며 월평균 1만9900개 기업이 됐다.한편, 청산한 기업수는 11만 300사가 되어, 월평균은 1만 8400사가 되고 있다.

 

2024년 2분기 제조업 분야 실적 전망 조사 결과에서는 낙관한다고 응답한 기업이 37.4%였고, 3분기에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40.7%에 달했다.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월 대비 0.17% 상승했고 전년 동기 대비로는 1.4% 상승했다. 상반기 CPI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4.39% 상승했다. 6월 근원인플레이션율은 2.75%로 상반기 평균 상승률을 밑돌고 있다.

 

통계총국 산하 제조업·건설업 통계실의 실장은 제조업이 2분기에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다양한 지수가 전월이나 전 분기를 웃돌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전력 부족도 없고 수요가 높은데도 제조와 소비의 균형은 안정적입니다"라며 실장은 소비 수요 증가가 생산을 앞지르고 있는 점은 재고 소비로 이어져 제조업에 좋은 징조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실장에 따르면 국내 제조업은 여전히 일정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제조업 지수는 지난해 감소에서 크게 증가해 증가율이 2020년을 웃돌고 있지만 코로나 전이나 2021년과 2022년에는 밑돌고 있다. 그 중에서도 광업은 근년 쇠퇴 일로를 걷고 있다. 또 시멘트, 맥주, 자동차, 오토바이 등 일부 제조 분야에서는 아직 뚜렷한 회복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실장은 3만 개 이상의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를 인용해 제조업에 가장 큰 병목현상은 국내 시장의 수요 부진에 있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기업들은 원자재비 급등, 여전히 높은 금리 등의 문제에도 직면해 있다.

 

봉제업과 전자부품 제조 등 일부 산업은 수출 주문이 감소하거나 숙련된 숙련된 근로자가 부족한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또 소비 수요 부진은 시멘트 업체와 식품 가공업체에 타격을 주고 있다.

 

또 실장에 따르면 기업들의 요청은 원자재 가격 급등, 노동력 부족, 자금 부족 등의 문제 해결에 집중돼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기업은 정부에 대해 수요를 자극하고 무역 촉진을 강화하며 베트남 제품의 소비를 촉진하는 정책을 기대하고 있다.기업들은 또 은행 대출금리를 낮추고 대출절차를 간소화하며 대출조건 완화 등도 요구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금융/국제
2024.06.27 08:13:19

VND.jpg

 

 자유 시장에서 미국 달러대 베트남 동(VND) 환율은 지난 10일간 미국 달러당 100 VND 이상 VND 하락하여 25,950VND에 도달했다

 

지난 6월 24일 자유시장 외환은 지난 주말부터 계속해서 VND가 하락했다.

 

호치민 시내 일부 외화 환전소에서는 1달러당 2만5,840~2만5,920VND까지 나왔다. 하노이에서도 일부 환전소에서 사상 최저의 VND 하락인 1 USD당 2만 5,850~2만 5,950 VND를 기록하고 있다.

 

공식 외환시장에서도 VND 약세가 진행되고 있다. 베트남 국가은행은 6월 24일에, 중심 환율을 지난 주말부터 7 VND하락의 USD당 2만 4,262 VND로 한다고 발표했다. 은행들은 중심환율의 상하 5% 폭인 USD당 2만3,049~2만5,475VND 범위에서 거래할 수 있다.

 

6월 24일 은행들도 달러 환율을 VND 하락으로 조정했지만 자유시장 보다는 안정돼 여전히 국가은행 허용 범위 안에 들어 있다. 구체적으로 VietcomBank는 USD당 환율을 2만5,225~2만5,475VND로, VietinBank는 2만5,238~2만5,475VND로 Techcombank는 2만5,233~2만5,475VND로 설정했다.

 

국제시장에서는 미국 달러화의 강세를 나타내는 미국 달러화 지수가 지난 2주간 상승해 현재 105.65포인트 부근에서 움직이고 있다.

 

ACBS 증권에 의하면, USD/VND 환율에의 압력은 항구적인 문제가 되어 가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금리인하가 지연되고 있고 금리인하 수준이 연초 예상보다 크게 낮았던 점이 USD/VND 환율 압력이 장기화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연말 제조와 수출 활동에 대비해 무역수지가 수입 초과에 빠지는 여름 동안 VND 약세 압력이 더 높아질 수 있다. 베트남 국가은행은 은행으로의 매도를 포함해 USD의 상승을 억제하는 해결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동향전망
2024.06.21 08:40:06

202406212.jpeg

 

 2024년 1월~5월 5개월간 베트남의 무현금 결제 관련 지표가 전년 동기 대비 수량이 57%, 가치가 39.49% 증가했다.

 

이는 전국의 현대적 유통 채널 유통업체들이 '현금 없는 결제'를 장려하는 프로그램 구현에 자신감을 갖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Nguyen Anh Duc 베트남소매업자협회 회장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은 2021~2025년 현금 없는 결제 발전 계획을 비롯한 여러 정부의 목표를 실현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베트남에서는 소매 매출액이 약 1998조 2000억 동에 이르러 총액의 77.5%를 차지해 전년 동기 대비 7.4% 증가했다.

 

식품, 가정용품, 의류 등의 분야에서 순조롭게 성장하고 있다.

 

호치민시의 소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8% 증가, 하노이시는 6.7% 증가해 캐시리스(Cashless) 결제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캐시리스 결제는 유통업체가 온라인 결제를 통해 소비 동향과 구매력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적절한 비즈니스 전략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베트남의 소매시장은 1억 명 가까운 인구 중 50%가 다양하고 변화하는 소비 니즈를 가진 젊은이이기 때문에 매우 잠재력이 있다.

 

현대적인 유통 시스템과 전자상거래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 시장점유율은 1020%에 불과하다.

 

치열한 경쟁 속에서, 특히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과학기술에 기반한 유통방식의 큰 변화가 생기고 있어 국내 소매업체들은 큰 과제에 직면해 있다.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국내 소매업자들은 오프라인 및 온라인 판매 채널을 항상 혁신해야 한다.

 

택배나 당일배송, 온라인 툴을 사용한 상품의 선택·착용·교환·반품과 같은 신속한 최종 단계 서비스를 제공해 신속하고 편리한 무현금 결제를 실현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통계/물가
2024.06.21 07:57:15

202406211.jpg

 

 베트남 국내 구매력이 둔화되는 가운데 HSBC는 단기적으로 베트남 국내 인플레이션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HSBC가 최근 발표한 5월 베트남 경제보고서 중 지적한 내용이다. 베트남 통계총국 데이터에 따르면 소비자물가지수(CPI)는 2023년 동시기에 비해 4.44% 상승했다. HSBC는 인플레이션률이 베트남 국가은행이 설정한 인플레이션률의 상한인 4.5% 부근에 머물고 있음을 주목하고 있다.

 

지난달 주요 소비품목 11개 그룹 중 10개 그룹이 가격 상승했다. 가장 급속히 상승한 것은 교육비, 의료비, 건설비, 식비 그룹이다. 보다 상세하게 분석하면 보다 다양한 상황이 보인다.

 

구체적으로는 5월 쌀값이 전달부터 하락한 반면 돼지고기 가격은 올라 식품 전체 가격을 끌어올렸다. 또한 석유 가격은 하락했지만 전기 요금은 가격 상승했다. 이들 수치는 식품과 에너지 분야에서 다중적인 상황을 보여주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보다 엄격한 감시가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2024년 5월까지 CPI는 4.03% 상승했지만 이는 주로 교육비, 의료비, 주택비, 오락비 상승의 영향 때문이다.

 

인플레이션 압력은 원자재 가격 상승에도 영향을 받고 있다. HSBC에 따르면 베트남은 경제 개방도가 높기 때문에 세계적인 상품 시세의 영향을 받기 쉽다. 지난주 S&P글로벌이 발표한 구매담당자경기지수(PMI)에서도 5월 들어 기업들이 2월 이후 처음으로 가격 인상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 인상의 원인은 급격한 원자재비 상승에다 VND가 USD 대비 급격하게 떨어지고 있고, 여기에 수송비와 연료비가 오르고 있다는 데 있다. "수입품 가격 상승의 주된 원인은 베트남 동 약세에 있습니다"라고 HSBC의 ASEAN 시장 담당 이코노미스트는 말한다.

 

HSBC는 베트남의 경기 회복이 아직 초기 단계에 있어 통화정책의 정교한 균형이 필요하며 국가은행은 정책금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카톡 상담문의
Factory_tran.png

바로 문의/상담 등록

베트남 투자진출 관련 간단한 문의는 아래에 등록해 주시면 체크 후 회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법인설립, 공장설립 문의의 경우에는 기본 정보를 알아야 원하시는 답변을 드릴 수 있으니
'여기 클릭'  하여 등록해 주시면 이메일로 회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타 업체에서 진행한 결과에 대한 검증이나 후속 조치 등에 따른 문의 등, 업무 내용과 무관하거나 문의 내용에 따라 회신이 거부될 수도 있으며, 회신이 늦어질 경우에는
E-mail 주소 viethoasong@gmail.com
또는 카톡 무료 통화(ID: vinahanin)이나
전화 0909 194 181(베트남 +84)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각 항의 공백 부분을 한 번 클릭한 후 입력

간단한 문의 내용 보내기
Message
Subject
Name
Email
Phone
Category
Password
Content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1.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문의에 답변을 위한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습니다.

 2. 수집하려는 개인정보의 항목
  -업체명(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본 '문의등록'의 경우 개인 정보 수집 이용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 됩니다.

Copyright VINAHANIN.com All rights reserved. Since 2006, E-MAIL: viethoasong@gmail.com. VINAHANIN CO.,LTD

ADD: 3F, VIETPHONE BUILDING, 64 Nguyen Dinh Chieu, Da Kao, Quan 1, Ho Chi Minh, VIETNAM.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