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0일(월요일),호치민 증권시장의 VN인덱스는 전 영업일 종가 대비 8.63포인트 하락(-2.17%)의 388.88포인트가 되었다.매매고는 4,879만주, 매매대금은 8,331억 동이 되었다.가격이 오른 종목수는 34 종목, 가격하락은 196 종목, 보합은 79 종목이었다.
하노이 증권시장의 HNX 인덱스는, 전 영업일 종가 대비 2.32포인트 하락(-3.84%)의 58.07포인트가 되었다.매매고 3,412만주, 매매대금 2,701억 동이 되었다.가격이 오른 종목수 33 종목, 가격하락은 201 종목, 보합은 159 종목이 되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국내산 휴대 전화는 한때 매우 인기가 있었지만, 지금은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
많은 베트남 국내제 휴대 전화 메이커는 해외제와의 경쟁에서 뒤져 쇠퇴의 길을 걷고 있다.
국내제의 휴대 전화 메이커 중 가장 성과가 있던 것은 2009~2010년에 걸쳐 시장에서는 An Binh 통신 회사(ABTel)의 Q-Mobile, HIPT의 Hi-mobile, CMC의 Bluefone등이 탄생해 저렴한 휴대 전화를 제공해 왔다.
이러한 휴대폰은 Sim칩이 2개 있어, 복수의 전화 번호가 탑재되어 Nokia, Samsung등의 외국제와 비교해 상당한 저가로 제공되어 왔다.
2010년에 최우수라는 평가을 받은 국내 메이커의 휴대 전화는 Q-Mobile였다.
당시 , ABTel의 Q-Mobile는 국내 시장의 쉐어 20%이상을 확보하고 있었다.
그 무렵 Q-Mobile는 주로 저렴한 휴대 전화 Nokia로부터의 고객을 획득 약진하고 있었다.
2011년에 들어가 Q-Mobile의 메이커는 Nokia 웃돌아, 국내 시장 쉐어 50%이상을 목표로 내걸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기대 대로는 되지 않았다.
2011년에 들어 휴대 전화 시장은 고착화가 진행되고 2012년 후반에는 포화 상태라고 할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
경제 상황의 정체외, 해외의 대기업 메이커와의 경쟁도 격화져 오고 있어 국내 메이커는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소멸 위기에 직면하는 베트남 국내 메이커
8월, 국내 대기업 Q-Mobile는 새로운 「개발 캠페인」을 전개했다.
Q-mobile는 소비자의 인지도도 높다.
향후 ABTel는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힘을 써 갈 예정이다고 한다.
단지, 많은 전문가가 이번 「Q-smart의 계획」에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지금은 과거 Q-mobile가 약진을 이루었을 무렵과 시대가 변하고 있다.
Q-Mobile를 쫓는 국내 메이커는 없다.
현재, Hi-Mobile, BluePhone등의 국내 메이커는 일제히 활동 중지, 축소를 피할 수 없게 되어 있다.
2012년말까지 살아 남을 수 있는 메이커는 Q-Mobile, AVIO 정도일 것이다, 라고 하고 있다.
국내 메이커는 주로 저가품으로 소비자 요구에 대응해 왔다. 그러나 Nokia, LG, Samsung등 외제품과의 경쟁도 격렬해지고 향후, 자국의 쉐어를 유지할 수 있는지 장래는 어둡다.
IDC 시장 연구 조사회사에 의하면, 외제품과의 경쟁 격화가 영향을 주어,국내 메이커는 2010년의 24%에서 2011년에는 21%로 감소했다.
국내 전화의 실적은 아직 뚜렷하지 않기는 하지만,최근 1년간의 관련 제품도 포함된 국내 제품의 매상은 평균 30~50%감소 되고 있는 것 같다.
국내제 휴대 전화가 가장 발전했던 시기,'국내 생산을 보호하자' 라는 구호가 나와 있었다.
그러나 쇠퇴 기로에 처한 지금도 그 구호를 아직도 꽤차고 있다.
또, 베트남의 휴대 전화 회사는 디자인 설계는 실시 하지만,부품은 모두 중국으로부터 수입하고 있는 것이 현상이다.
국내 메이커의 생존을 건 구제책은 아직 보이지 않고 있다.
CafeF.vn 2012년 9월 10일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일본은 베트남으로부터 수입하는 새우 가운데, 검열 대상이 되는 에톡시퀸(ethoxyquin) 검사 비율을 30%에서 100%로 끌어 올렸다.
상기 정보는 베트남 수산 가공 수출입 협회 (Vasep)가 밝힌 것으로 이것에 대해, 새우 수출 회사는 큰 불안을 떠 안게 되었다.
특히, 반환되는 경우의 손해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Vasep는 또, 일본이 검열 비율 30%를 해제한 1주간 중에
이미 2회 연속 일본의 후생 노동성이 규정 비율 초과를 적발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번 결정의 대상이 되는 수산 주식회사의 사장은 베트남의 수출 새우에 대한 일본의 기준은 너무 높다, 라고 이야기한다.
수출전 새우의 샘플을 검열하는 수수료도 비싸다.
또, 일본에의 착항 후, 모두가 검열을 받게 되면 리스크가 커진다.
향후, 에톡시퀸 비율이 기준을 넘었을 경우,즉시 반환되게 된다.
그 경우의 검열 비용, 수속의 수수료, 운반 경비등은 모두 기업이 부담한다.
전체의 경비는 1만 USD 이상이 된다.
1회의 수출로 기업이 얻는 이익은 2,000~3,000 USD,
상기의 리스크를 생각하면, 베트남 기업은 일본에 새우를 수출할 수 없게 된다.
Vasep의 통계에 의하면,2012년 8월 전반까지의 국내 새우 수출 총액은 전년 동기비 22.3%감소의 2,190만 USD였다.
또, 미국에의 수출액도 전년 동기비 26.6%감소한 2,660만 USD에 머물고 있다.
EU에의 수출액도 같이 27.7%감소의 1,250만 USD가 되었다.
InfoTV.net 2012년 9월 10일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통계총국은 8월 한 달 및 연초 8개월간의 화물·여객 수송 상황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8월 한 달의 화물 수송량은 전년동월 비 약 2배의 1억 3500만 t.
또, 연초 8개월간의 화물 수송량은 전년 동기비 9.9%증가의 6억 4043만 t으로 전망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세관총국이 발표한 2009년 ~ 2012년 상반기 통계에 의하면, 컴퓨터·전자 제품 및 관련 제품의 2012년 상반기에 있어서의 수입액수는 56억 달러로 2009년의 15억 달러에 비해 큰폭으로 증가했다.
이 중, 해외 직접투자(FDI) 기업에 의한 수입액수는 49억 달러로 3년간에 5배 이상 확대했다.시장 조사 회사 IDC가 발표한 2011년의 연차 통계에서는 베트남의 컴퓨터 수입 대수는 전년대비 9.8%증가의 211만 2500대가 되고 있다.
또, IDC가 작년 제 4/4분기에 발표한 베트남의 컴퓨터 시장쉐어에 관한 리포트에 의하면, Dell이 21%를 차지해 톱을 유지하고 다음으로 ◇Acer (13%),◇Asus (10%),◇HP (9%),◇Lenovo (6%)등의 순이 되었다.이러한 컴퓨터의 대부분을 FDI 기업들 수입해, 베트남 국내에서 판매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시장 조사 각사에 의하면, 불황 하에서도 텔레비전 광고에의 지출은 늘어, 전년 동기비 30% 넘게 증가하고 있다.
간타-미디어(Kantar Media)에 의하면 금년 상반기, 기업은 텔레비전 광고에 3억 7,000만 달러 가깝게 지출하고 있다.
JFK의 베트남 전자 기업 점유율에 관한 통계에서는 삼성의 쉐어는 2011년 상반기 28.6%로부터, 금년 상반기는 32.9%로 확대하고 있다.이것을 완수하기 위해서 삼성은 광고에 큰 예산을 할애하고 있다. 베트남 기업도 음료의 탄히엡팟(Tân Hiệp Phát)나 의약품, 기능 식품메이커들도 광고 지출을 늘리고 있다.
한편, 라디오, 신문 광고는 줄어 들고 있다. 가장 많이 줄어 들고 있는 것은 라디오 광고로 15%감소 하고 있으며 다음 일간지로 약 13%감소, 주간지 2.3%감소 한 것으로 나타났다.
(Thoi Bao Kinh Te Sai Gon)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Tan Hiep Phat은 10억달러에 양도 될지..?」
반값 정도로 타진한 상대가 거부된 것 같다.라는는 그런 소문도 시장에 떠돌고 있다.
이러한 소문은 베트남 브랜드의 운명에 대한 여론의 관심과 베트남 기업이 어려운 상황에 놓여져 있는 가운데 M&A시장의 열기를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다.
최근 4년, 음료 대기업 Tan Hiep Phat는 매수 타겟으로서 가장 많이 이름이 오르내린 기업이지만, 「이 회사의 활동은 모두 통상 대로이며, 단지, 이러한 상황이 일어나고 있는 것은 우리가 올바른 길로 나아가 온 것을 단적으로 나타내 보이는 것이기도 하다」라고 동사의 Tran Uyen Phuong부사장은 소문에 대해 이렇게 대답한다.
Phuong씨는 Tan Hiep Phat은 지금까지, 대부분의 세계 대기업 음료 브랜드의 타겟이 되어 온 것은 부정하지 않는다.「M&A은 발전하기 시작하며 기업들이 경쟁적으로 상장하고 있었다. 2008년경, 일용 소비재 메이커 대부분이 해당 회사 경영진에게 인수를 타진했다」라고 Phuong씨는 말한다.
Tan Hiep Phat은 1만명의 종업원을 거느리며 베트남 음료 분야에서는 톱 브랜드다.차음료, 에너지 음료를 중심으로 40아이템으로 전국에 폭넓은 유통망을 가지고 있다. 만일 매각 한다고 하고,Tan Hiep Phat는 어떠한 평가가 내려질지..10억달러라고 하는 숫자는 많은 것인지, 그렇지 않으면 싼 것인지...? 또 매각의 방법으로서는 완전 매각인지, 그렇지 않으면 출자를 원할뿐이지...
시장 조사 회사 AC Nielsen은 Tan Hiep Phat를 보틀차음료, 에너지 음료, 맥주 시장에서 가장 큰 기업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동사는 매상을 공표하고 있지 않지만, Nielsen의 조사로 점유율 24%, 쥬스 시장의 규모 약 22억달러 정도가 맞을 것이다라 하고, 동사의 매상은 5억달러 정도가 된다. 이것에는 동사 매상의 10%를 차지하는 맥주와 타사 전용의 패트병 생산은 포함되지 않았다.
Tan Hiep Phat은 쥬스 시장에서 톱의 지위를 확고히 하기 위해 투자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Binh Duong성의 기존 공장의 연간 생산 능력은 10억리터에 이르고 있지만, 중부와 북부에 2억달러를 들여 신공장을 건설한다. 최근 5월에 중부의 Bac Chu Lai공업단지에 연간 생산 능력 6억리터의 공장을 착공했다. 설비는 모두 유럽으로부터 수입해, 2013년12월에 완성 예정이다. 또 하나의 공장은 Ha Nam성에 설치, 금년10월 착공 예정이다.
Phuong씨는 Tan Hiep Phat 양도 소문을 어디까지나 부정한다.「우리의 꿈은 국제 시장에 베트남 브랜드의 이름을 세겨 넣을 수 있는 것에 공헌해 줄 파트너을 맞이하고 싶다」라고 했다. 생산 확대 투자와 함께 상장 계획도 있지만, 시기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Cafe F)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100엔 샵 「得得屋:TOKUTOKUYA」를 운영하고 있는 주식회사 이시아이(시마네현 이즈모시)는 5일,호치민시 3구 파스퇴르(Pasteur) 대로 206번지에 得得屋 베트남 1호점을 오픈했다고 현지언론이 보도했다.
동점포에서는 ◇문구·사무 용품,◇키친 용품,◇화장품등을 3만 5000 동 ~ 4만 5000 동( 약 132엔 ~ 약 200엔)으로 판매한다.
이시아이의 마츠모토 마사유키 대표이사 사장에 의하면, 동점포는 현지의 득베트 유한회사와 상표 라이센스 계약을 맺어 베트남에서 전개하는 得得屋 베트남점 1호점이다. 이시아이는 일본의 츄고쿠(中国) 지방을 중심으로 100엔 샵을 전개하고 있으며 해외에서는 ◇말레이지아,◇미얀마,◇뉴질랜드,◇오스트레일리아,◇독일에 점포를 짓고 있다.
덧붙여 100엔 숍으로서는 2008년에 타이소 산업(다이소)이 베트남에 진출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WEF에 의해서 세계에서 제일 높은 경쟁력을 가지는 국가로 평가된 것은 스위스와 싱가포르였다.
WEF(세계경제 포름)의 보고서에 의하면, 베트남의 국제 경쟁력은 142개국중 75위로 평가되어 작년보다 10 단계 하락했다.
WEF의 「국제 경쟁력 보고서(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2-2013) 」는 9월 5일에 발표되었다.보고서에 의하면, 최근 3년간에 베트남의 경쟁력이 저하 되고 있어 등급설정 만이 아니라 평가 지수도 떨어지고 있다.
금년의 랭킹으로 베트남은 7점 만점중 4.1점을 획득해, 175위였다. 이것은 Ukraine, Uruguay, Seychelles, Georgia, Romania등과 같은 순위이다.
2011년~ 2012년의 보고서에서 베트남의 경쟁력은 4.2포인트로 평가가 되어, 142개국중 65위였다.그 전은 139개국중 59위로 4.3포인트를 획득했다.
체제, 인프라 정비, 실물경제 환경, 의료·기초 교육등을 포함한 기본 환경
(Basic requirements)의 평가에서는 베트남의 실물경제 환경이 제일 낮은 랭크 106위였다.의료 서비스와 기초 교육의 기준이 가장 높은 평가로 64위. 기본 환경에의 평가로 베트남은 91위가 되었다.
고등교육, 시장의 활발성, 노동 인재의 질, 재정 시장의 발전, 기술 서비스의 대응, 시장규모등의 요소를 포함한 효과적인 움직움(Effciency enhancers)에 대한 평가로 베트남은 71위.시장규모의 평가가 제일 높은 32위였다. 한편, 기술 대응에 대한 평가는 98위로 낮았다. 창조력과 영업력은 세계 제 90위.영업력이 100위, 창조력은 81위의 평가였다.
WEF의 통계에 의하면, 베트남에서는 일인당의 GDP가 1,374 USD에 이르고 있다. 구매력의 평가로 보면 베트남의 GDP는 전세계의 0.38%에 상당한다.
동남아시아에서 베트남 보다 상위의 국가는 필리핀(65위), 인도네시아(50위),타이(38위), 브루나이(28위), 말레이지아(25위), 싱가폴(2위). 하위의 국가는 캄보디아(85위), Timor Leste(136위)의 2개국뿐이었다.
덧붙여서 라오스는 평가 대상에 들어가 있지 않다.
또, 미국도 순위가 떨어지고 있다.세계 최대의 경제대국은 랭크이 2단계 떨어져 5위에서 7위로 내려 앉았다. WEF의 보고서에 의하면, 실물경제가 불안정한 것이나 미국 정부에 대한 업계의 불신감, 재정 상황에 대한 우려등의 이유에 의해서 경쟁력이 약해지고 있다.
세계에서 최대 경쟁력을 가지는 것은 스위스와 싱가포르였다. 스위스는 모든 요소에서 평가되고 있어 노동 인재의 질, 영업 활동의 경험치, 창조력등이 높게 평가되었다.
스위스도 1인당의 특허수가 세계에서 제일 많은 나라이다.
TOP10에 들어간 국가는 폴란드, 스웨덴, 네델란드, 독일, 미국,영국, 그리고 홍콩과 일본이었다.
BRIC(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중에서는 중국의 평가가 최고로 26위였다. 그 다음에 브라질(53위), 인도(56위), 러시아(66위)의 순서가 되고 있다.
가장 평가가 낮은 5개국은 Burundi, Sierra Leone, Haiti, Guinea, Yemen의 순서이다.
Vneconomy.net 2012년 9월 6일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 통계총국은 8월 한 달 및 연초 8개월간 소매 매상고 상황을 발표했다.
8월 한 달의 소매 매상고는 전년동월비 17.9%증가의 190조 3220억 동으로 나타났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외자기업, 베트남 공기업 민영화와 지분 매각에 참여할 수 있을까
- 우량기업 민영화에서 제외되어 있고, 불투명성으로 정확한 가치 평가 어려워 제한적 -
2012-08-30
하노이무역관
권경덕( kotra@hn.vnn.vn )
□ 개요
○ 현재 베트남에서 공기업 수는 감소하고 있으나, 규모는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이는 베트남 정부의 공기업 민영화가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나 자본 및 자원이 공기업에 집중되고 있기 때문임.
- 베트남 재무부 자료에 의하면, 베트남 공기업은 토지의 약 70%를 이용하고 있으며, 베트남에 유입된 ODA 자금의 70% 이상 집행 그리고 은행권 대출의 약 6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 그러나 이처럼 공기업에 자원이 집중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효율성은 외국인 투자기업 혹은 민간 기업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짐.
- 특히 최근의 베트남 경기 침체로 공기업 민영화를 통한 경제 구조조정이 절실한 상황이나 덩치가 늘어난 공기업에 대한 개혁도 쉽지 않은 상황임.
□ 베트남 공기업 개혁의 문제점
○ 최근 베트남 재무부는 금년 93개 공기업을 민영화하고 2015년까지 899개 기업을 개혁하겠다고 발표함.
- 이러한 정부의 발표와 달리 베트남 국내외 전문가들은 공기업 민영화와 개혁에 내용은 없고 숫자 줄이기에 불과하다고 지적함.
- 민영화 대상 공기업들은 전체 공기업 부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은 소규모 기업들로서 베트남 정부 입장에서는 단시간에 성과 달성이 용이함.
- 베트남 공기업 개혁의 핵심은 자산 매각이 아닌 경쟁 시스템 도입이나, 여전히 시장에서 공기업 지위는 독점적임.
○ 베트남 공기업의 비핵심 사업 부문 투자 현황을 보면, 2010년까지 베트남 공기업들은 비핵심 산업에 약 22조 베트남동(약 11억 달러)을 투자하여 2006년 이후 3배 이상 증가함.
- 베트남 공기업들은 비핵심 사업 분야 가운데 은행에 투자를 가장 많이 하며, 이는 전체 비핵심 투자의 절반을 차지함.
베트남 공기업의 비핵심 사업 부문 투자 현황(2006-2010)
(단위 : 10억 베트남 동)

자료 : 베트남 재무부
○ 주요 공기업별 비핵심 사업 투자를 보면, 건설 공기업인 Song Da그룹과 석유 공기업
PetroVietnam이 각각 7조동(약 3억 5,000만 달러)에 달하는 투자를 한 것으로 나타남.
- 2조동(약 1억 달러) 이상 비핵심 사업에 투자한 공기업도 전력공사 EVN, 통신사 Viettel 등을 포함하여 7개사임.
베트남 주요 공기업의 비핵심 사업분야 투자 현황
(단위 : 10억 동)

주: 2011년 8월 기준
자료 : 상동
□ 베트남 공기업 개혁 전망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베트남의 공기업 개혁의 핵심은 기업 수 감축과 재원과 자원의 공정한 분배에 의한 경쟁 시스템 도입임.
- 민간 기업이 공기업의 지분 인수 과정에서 독점적 지위를 박탈하여야 시장에서 경쟁 구도가 형성될 것임.
- 공기업 수 감축도 현재와 같은 경제 침체기에는 기업의 가치가 저평가되어 베트남 정부의 공기업 매각 원칙인 ‘정당한 가격’에 의한 거래가 어려워 지연이 불가피 할 것임.
○ 민간 부문이 공기업 지분을 인수함으로써 독점 산업에 참여가 가능할 지도 미지수
- 베트남에 진출을 원하는 외국계 기업과 베트남 민간 기업들은 공기업 독점 분야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분인수에 관심이 많음.
- 그러나 베트남 공기업들은 투명성과 효율성 그리고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재무 현황이 공개되지 않아 정확한 자산 평가가 불가능하여 민간 기업과 외국인 기업의 매입도 쉽지 않을 것임.
○ 베트남은 경제 체제 전환국이었으나 최근 WTO 가입, FTA 추진 등 세계경제 일원으로서 역할을 하는 지금, 공기업의 역할은 인프라에 제한적이어야 함.
- 베트남 민간 기업의 경쟁력은 매우 미약하며, 베트남 정부는 공기업의 독점 지위를 박탈하고 민간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켜 향후 베트남 경제를 이끌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함.
2012년 민영화 예정 공기업(93개)
Ministry of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산하 공기업 1. Agriculture & Irrigation Mechanism and Electrification Corporation 2. Mekong Electrical Engineering Company 3. Agricultural Product Import-Export & Production Company 4. Vietnam Livestock Company 5. Sugar Cane and Sugar Company I 6. Sugar Cane and Sugar Company II 7. Halong Seafood One Member Limited Liability Company(LLC) 8. Vietnam General Corporation of Agricultural Materials 9. National Veterinary LLC Company 10. National Veterinary Factory
Ministry of Industry and Trade 산하 공기업 11. National Company for Vegetable Oils, Aromas and Cosmetics of Vietnam 12. Caric LLC Company 13. Techno-Import LLC Company 14. Duyen Hai Material Company 15. Quang Trung Mechanical Company 16. Tran Hung Dao Mechanical Company 17. Song Cong Diesel Limited Company 18. Electrical Appliance LLC 19. Building Materi만 and Construction Company No.5 20. Tourism and Trade Promotion 21. International Freight Forwarders LLC 22. General Electric Apparatus, Machinery and Investment Company
PetoVietnam 자회사 23. Binh Son refinering and Petrochemical LLC
VINACHEM 자회사 24. South Basic Chemicals LLC 25. Vietnam Chemical Import and Export Ltd.
Song Da Holdings 자회사 26. Vietnam Machinery Erection Corporation 27. Infrastructure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Corporation 28. Water Electric Installation Company 29. Construction Machinery Corporation 30. Hai Phong Equipment Manufacturing and Shipbuilding Company 31. Dong Anh Mechanical Company 32. Foundation Engineering Company No.29 33. Import-Export Manufacturing Services Rural Development Company 34. COMA 27 Construction and Trading LLC
HUD 자회사 35. Vietnam Water and Environment Investment Corporation 36. Viglacera 37. Hanoi Construction 38. Bach Dang Construction 39. Kien Giang Housing Investment and Development LLC 40. Kien Giang Mechanical Company 41. Vietnam National Textile and Garment Group
Vietnam National SHipping Lines 자회사 42. Vinalines Hai Phong 43. Vinalines Nha Trang 44. Khuyen Luong Port LLC
VICHEM 자회사 45. Vietnam Cement Industry 46. Vichem Hoang Thach Cement LLC 47. Vichem Hai Phong LLC 48. Vichem Tam Diep Cement LLC
Vietnam Paper Corporation 자회사 49. Material and Forest Products Processing 50. Phuong Nam Pulp Plant 51. Research Institute of Pulp and Paper Raw Materials
Vinacafe 자회사 52. Quang Ngai Production and Trading 53. Coffee Import-Export Service Company No.2
SCIC 자회사 54. Lai Chau Mineral 55. Vinacones Investment and Mineral Trading LLC
Ba Ria Vung Tau 공기업 56. Ba Ria Urban Construction
Binh Dinh 공기업 57. An Lao General LLC 58. Binh Dinh Salt
Binh Thuan 공기업 59. Phan Thiet Urban Construction 60. Binh Thuan Urban Construction
Ca Mau 공기업 61. Ca Mau Trading and Service 62. Ca Mau Construction and Water Supply
Dak Lak 공기업 63. Phuoc An Coffee LLC
Dong Nai 공기업 64. Dong Nai Food Processing Factory
Hanoi 공기업 65. Bus Station Management 66. Agricultural Produce and Foodstuff Import-Export LLC 67. Sports Development Investment 68. Animal Genetics Enterprise 69. South Passenger Transport Enterprise 70. 10-12 Hanoi LLC 71. Xuan Hoa LLC
Ha Tinh 공기업 72. Ha Tinh Minerals and Trading
Kien Giang 공기업 73. Kien Giang Trade and Tourism
Khanh Hoa 공기업 74. Khanh Hoa Supply and Sewerage Company 75. Nha Trang Urban Environment 76. Khan Hoa Seafood Export LLC
Lam Dong 공기업 77. Lam Dong Raod Construction and Management LLC No.1 78. Lam Dong Raod Construction and Management LLC No.2 79. Lam DOng Water Supply LLC 80. Da Lat Urban Service 81. Lam Dong Tourism
Quang Binh 공기업 82. Quang Binh Waterways LLC 83. Quang Binh Water Supply LLC 84. Quang Binh Environment and Rural Developemt
Quang Nam 공기업 85. Hoi An Public Utilities LLC 86. Quang Nam Cable TV
Quang Ninh 공기업 87. Quang Ninh Clean Water LLC
Quang Tri 공기업 88. Dong Truong Son LLC
Thanh Hoa 공기업 89. Thanh Hoa Port 90. Thanh Hoa Printing Company 91. MN Trade LLC
Tuyen Quang 공기업 92. Urban and Environment Serives
Vinh Phuc 93. Vinh Phuc General Trade LLC |
자료 : 베트남 재무부 자료 및 하노이 무역관 종합
베트남 통계총국에 의하면, 8월의 국가 예산에 의한 공공투자액수는 19조 5,760억 동으로 전망.
연초 8개월간 누계의 공공투자액수는 125조동에 이르러, 전년 동기비 5.6%상승해 연간 계획의 60.2%을 달성했다.
공공투자액을 가장 많이 받은 곳은 교통 운수성(4조 6,390억 동)이다. 그 다음에 농업 농촌 개발성(2조 8050억 동), 건설성(1조 280억 동) 순이다.
[Vietstock]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9월 4일(월요일),호치민 증권시장의 VN인덱스는 전 영업일 종가 대비 6.06 포인트 상승(+1.53%)의 402.08포인트가 되었다.매매고는 2,964만주, 매매대금은 4,534억동이 되었다.가격이 오른 종목수는 119 종목, 가격하락은 71 종목, 보합 119 종목이었다.
하노이 증권시장의 HNX 인덱스는, 전 영업일 종가 대비 0.22 포인트 상승(+0.36%)의 61.65포인트가 되었다.매매고 2,354만주, 매매대금 2,149억 동이 되었다.가격이 오른 종목수 116 종목, 가격하락은 70 종목, 보합은 207 종목.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REE 회장켄 사장-Nguyen Thi Mai Thanh씨는 REE의 장기적 투자처로서 발전 분야를 지목했다.
최근 동사는 석탄 채굴 회사, 수력 발전소, 열력 발전소의 소유율을 계속 확대하고 있다.
금년의 3월까지의 REE의 발전소 소유율은,
Thac Ba수력 발전소 23.97%,
Thac Mo수력 발전소 35%,
Ninh Binh열력 발전소 28.4%가 되고 있다.
또 8월에는 Nui Beo 석탄 채굴 회사(NBC)의 5.14%로 Deo Nai 석탄 채굴 회사(TDN)의 5%를 소유하는 것을 새로 발표했다.
그 외, 자본금 3조VND의 Pha Lai열력 발전소(PPC)에의 투자도 밝히고 있어 현재의 PPC의 소유율은 5%에 이르고 있다.
금년 8월까지로 동사는 ACB, Sacombank등의 은행으로부터 투자 자금을 환금, 투자 품목을 변경해, 전기, 수도, 인프라 정비 관계의 기업을 중심으로 투자를 실시하고 있으며 동사는 주로 기초 시설을 공급하는 회사에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회사에의 투자는 단기간으로의 이익은 전망할 수 없기는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발전 회사의 활동을 지원하고 장래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현재, REE는 BOOThu Duc 급수 회사의 42%를 소유, 향후, 급수 분야에도 계속해 투자를 실시할 계획이다.
부동산 분야에도 계속하여 오피스 빌딩을 건설, 연간 15,000~20,000의 면적을 공급하고 있다.
Thanh씨에 의하면, REE의 오피스 빌딩의 공실율은 5%라고 한다.
단지, 현재 은행으로부터의 대출이 어렵게 되어 있기 때문에 부동산 안건의 실시는 신중하게 검토할 생각이라는 것.
상반기 REE의 이익은 4,144억 VND으로 내역은 주로 오피스 임대였다.
동사의 주력 업종은 전기공사이다. REE는 금년, 이미 계획대로 6,000억 VND의 이익 달성을 전망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최근에는 Noi Bai 국제 공항의 터미널의 전기공사를 수주했으며 공사 총액은 9,000억 VND이다.
사이공 이코노믹스 타임즈 2012년 9월 4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타이의 소매 융통 대기업 Berli-Jucker Company(BJC)가 베트남에서의 사업 확대를 계획하고 있다.베트남의 유통 대기업과 제휴해 상품의 확대판매를 노린다. 계약 총액은 10억 ~ 30억 바트(1 THB = 0.03204 USD)에 이를 전망이라고 29 일자 베트남 플러스가 보도했다.
동사는 현재, 베트남의 판매 대리점등을 통해서 약 5만여 곳에 상품을 공급하고 있지만, 상기의 계약이 결정되면, BJC의 판매망은 베트남 전국에서 20만여 곳으로 확대된다. 또, 베트남에서의 매상고는 현재의 2,5배에 상당하는 50억 바트가 될 전망이다.
덧붙여 BJC는 베트남에서 건축용 유리 생산 공장과 화장지 생산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계획안에 의하면, 동노선은 동시 구시가지나 호안키엠호수등 문화 유산이 있는 지구를 통과한다. 그 때문에 같은 국은 동안건 관리위원회에 대해, 건설 공정이 문화유산법에 저촉하지 않는지, 문화 스포츠 관광성에 의견 청취를 실시하도록 지시했다.또 같은 국은 투자 주에 대해 토지 수용 작업을 신속하게 실시하도록 요청했다.
동노선은 전체 길이 11.5킬로(지하 부분 8.5킬로)로 10여곳의 역과 차고(차량기지)를 건설한다.
여객 수송 능력은 1 일 약 53만명.2030년에는 약 66만명, 2040년에는 약 78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동안건을 위한 자금은 일본의 정부개발원조(ODA)가 사용된다. 투자 총액은 약 1310억엔에 달한다.
덧붙여 동시에서는 현재, 메트로 2 A호선(Cat Linh-Ha Dong), 메트로 3호선(Nhon - Hanoi)의 2개 노선의 건설도 진행시키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호치민시 인민위원회는 28일, 딘·라·탄(Dinh La Thang) 교통 운수상, 타니자키 야스아키(谷崎泰明)주베트남 일본 대사 참여 아래, 동시 도시 철도(메트로) 1호선(벤탄-스오이티엔간)의 착공식을 실시했다.
탄 장관은 동시 인민위나 시공 업자 등에게 대해, 계획대로에 공사를 실시해, 시내의 교통 정체의 완화와 교통사고의 감소, 시의 도시 개발이나 경제사회 발전에 공헌할 수 있도록 요구했다. 이 안건에는 일본이 정부개발원조(ODA)가 실시하고 있어다.
메트로 1호선은 2018년 운행 개시가 예정되어 있다. 여객 수송 능력은 당초는 1 일 18만 6000명이지만, 2020년에는 62만명, 2040년에는 102만명까지 끌어 올려질 계획으로 전체 길이는 19.7킬로로 호치민시 1구, 2구, 9구, 빈탄구, 투덕구, 동남부 빈증성 지안마을을 지난다. 장래적으로는 동남부 동나이성 비엔호아시까지 연신될 가능성이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베트남의 화장품 시장은 2009 ~2011년에 있어서의 매상액이 연 1억 3,000만 ~ 1억 5,000만 달러에 이르러, 매년 30%의 기세로 성장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그 쉐어는 해외의 유명 브랜드 상품이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베트남에는 현재, 약 430개사의 화장품 회사가 있지만, 국내 기업은 몇 몇 회사에 머무르고 있다.젊은층이 품질 좋은 상품을 요구하고 있는 가운데, 쇼핑센터나 슈퍼마켓에 늘어 놓았던 국내 브랜드의 화장품은 나날이 내 쫓기고 있다. 유일하게 사이공 화장품만이 일부 슈퍼 숍에 진열 되고 있고 그 외는 외자계 쇼핑센터의 화장품 판매장은 외국 브랜드간 「싸움의 장소」가 되고 있다. 수입 증가에 수반해, 남녀 모두에 개인 관리 요구가 높아져, 베트남의 화장품 시장은 해외 브랜드가 참가하기 쉬운 시장이 되고 있다. 지금의 젊은이가 알고 있는 것은 모두 해외의 유명 브랜드 뿐이다. 호치민시의 모화장품 회사의 사장은 국내의 화장품 회사 제품은 외국제품에 품질적으로 뒤떨어지지 않지만, 투자 규모가 작다고 하는 약점이 있다고 이야기한다.이 사장에 의하면, 화장품 분야는 제품이나 패키지를 개량하기 위한 투자 비용이 필요한 것은 물론이지만, 소비자의 신뢰를 쌓아 올리기 위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 하려면 , 특히 광고나 마케팅을 빠뜨리지 못해 국내 기업에는 그만한 자금 여력이 부족 하다고 한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통계총국은 2012년 8월의 소비자 물가지수(CPI)를 발표했다.
이것에 따르면, 8월의 CPI는 전월비 0.63%상승한 전년동월비 5.04%상승했다.
아래 차트는 2011년 및 2012년의 전년동월비CPI 추이를 나타낸 것이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맥도날드는, 2년 후 베트남 진출 계획이다. 첫 번째 점포는 호치민시에 개설 예정.
중국에서는 이미, 1일 1 개 점포씩 오픈하는 기세의 맥도날드이지만, 베트남에는 아직 1개 점포도 없다. 지금까지 몇 번 베트남 시찰은 있던 것 같지만, 언제 베트남에 진출할까는 아직 결정하지 않은 것 같다.
지난 주, 맥도날드사의 지배인이 또 다시 베트남을 방문했지만, 향후 구체적인 움직임에 대해서는 밝혀지 않았다.
맥도날드사의 대표는「우리는 아시아 지역 몇개의 서비스 회사를 통해서,베트남에서의 프랜차이즈 전개하기 위한 파트너 기업을 찾고 있다.
계획에서는 향후 2년 내에 정식으로 베트남 진출할 예정이며 1호점은 호치민시에 개설 예정으로 그 후, 하노이시에도 진출한다. 장래적으로는 베트남에서 약 100개 점포는 개설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맥도날드는 세계 119개국에 전개하고 있으며 그 모두가 프랜차이즈 방식으로 행해지고 있다.
동사가 전 세계에 폭넓게 영업 확대할 수 있던 중요한 요소는 이 영업 방식의 수출 전략이다.
이것이 미국 시장에서 시험적으로 실시되어 성공을 획득했다.
신규 시장에서는 동사의 품질관리에 관한 엄격한 조건에 대응할 수 있는 현지 기업을 찾는 것이 어렵다.
또, 현지 파트너 기업은 동사의 조건을 채우기 위해, 영업 시스템 구축에 고액의 투자가 요구된다.
베트남 진출이 실현되면 바로 맥도날드는 전문가를 파견해 현지 인재를 육성해야 한다.
운영자와 현지 사원에게 충분한 지식과 기능을 갖게하는 것은 필수이다.
동사는 그 외에도 베트남 정부 관계 기관과 협력해 공무원 관계자에게 패스트 푸드 영업 분야의 경영 기능도 몸에 익히게 하고 싶은 생각이다.
Vneconomy.net 2012년 8월 27일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