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주류 메이커인 하이트 진로(HITEJINRO)는 2025년 1분기(1~3월)에 북부 지방 타이빈(Thái Bình) 성 타이투이 군(huyen Thai Thuy)에 있는 LIÊN HÀ THÁI (GREEN iP-1) 공업단지 내에 소주 제조공장을 착공할 계획이다. .
이 공장은 부지 면적 8.4ha의 용지에 건설되며 투자 총액은 1억 USD. 가동 개시는 2026년 4~6월기를 예정하고 있다.
동성인민위원회의 주석은 착공 후 공장 건설이 순조롭게 진행되어 가까운 장래에 이 공장에서 생산한 많은 제품이 시장에 진열될 것으로 기대감을 나타냈다.
하이트 진로는 한국 최대의 주류 메이커로 소주 제조로 97년의 역사를 가진 진로(JINRO)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맥주 회사 중 하나인 하이트 맥주(Hite Beer)의 합병에 의해 2011년에 설립 했다. 한국 국내에 지점 62곳, 자회사 6개, 해외에 산하 기업 6개를 보유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재무부는 로드맵에 따라 2030년까지 주류의 특별 소비세를 100%로 끌어올릴 것을 제안했다.
정부에 제출된 특별소비세법 개정 초안에서 재무부는 모든 알코올음료, 과일과 곡물의 발효식품, 식용알코올로 제조된 음료의 세율을 인상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청량음료류도 이번 증세 대상에 포함되어 있다.
현재 맥주의 특별소비세율은 65%, 주류는 알코올 도수에 따라 35~65%로 되어 있다. 다만, 이 세율은 2026년~2030년의 로드맵에 따라 조정할 것을 재무부는 제안하고 있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에 따라 알코올류의 판매가격을 10% 인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재무부는 알코올 도수 20도 이상의 주류에 대해서는 2026년까지 특별소비세를 80%까지 끌어올린 후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100%까지 끌어올리는 방안을 제창하고 있다. 알코올 도수가 20도 미만인 주류에 대해서는 특별 소비세를 50%로 하고, 그 후 최대 70%까지 인상한다. 맥주도 80%까지 끌어올린 다음 100%까지 단계적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2026년에는 알코올류의 판매가격이 2025년으로 부터 20% 상승할 전망"이라고 재무부는 지적하고, 그 후도 알코올류의 가격은 인플레이션과 경제성장률에 따라 연간 2~3 %씩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맥주, 술, 청량음료 산업발전계획에 따르면 2025년까지 베트남 국내 제조량은 맥주가 46억 리터, 주류가 3.5억 리터, 청량음료가 91억 리터에 이를 전망이다. 또한 이들 음료의 수출액도 6억 USD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재무부는 맥주와 술 남용은 소비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사회질서와 교통안전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또한, 맥주나 술 등의 알코올 음료에는 의존성이 있어, 간단하게 의존증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맥주와 주류의 과잉 섭취로 인한 악영향에 대한 의식을 높이고 올바른 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높은 세율 적용이 필요하다"고 재무부는 지적했다. 또, 고세율이 알코올 음료의 소비를 억제해, 의존증등의 발병을 막는 것으로도 연결된다고 하고 있다.
이 세율 인상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많은 기업이 업계에 심각한 대미지를 주고, 세수 감소로 연결된다며 정부에 대해 보류를 제안해 왔다. 맥주·술·소프트드링크협회 추산에 따르면 지난해 맥주업계 매출은 11% 감소했고 이익은 23% 감소했다.
알코올 음료 업계에 따르면 세율 인상은 판매 가격 조정을 일으켜 소비 습관 변화의 효과적인 수단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 대신 정부는 업계 기업에 신기술 도입을 촉진하고 소비자와 경제에 이익을 가져다주는 제품을 개발하도록 장려해야 한다고 이 업계는 주장한다.
재무부는 이번 초안에서 맥주나 주류에 더해 국제적인 관례에 맞춰 특별소비세의 대상 범위를 확대할 것도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초안은 세금을 받는 품목에 궐련 담배, 시가, 파이프 담배 및 기타 유형의 담배를 포함한다. 담배 세율은 당분간 75%에 달하지만 품목에 따라 세율이 단계적으로 인상된다.
재무부에 의하면, 2026년부터 2030년에 걸쳐 궐련의 세금 부담액은 1갑당 5000~1만 VND증가해, 시가는 1개당 5만~10만 VND, 궐련 등은 100 gr/㎖당 5만~10만 VND증가한다.
재무부에 따르면 위 규정에 따라 남성 흡연률은 2022년 42.7%에서 2030년 38.6%로 감소할 전망이다. 또 담배 세수도 2030년에는 39조2000억 VND까지 증가해 2022년의 2.2배가 될 전망이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해상 수송 요금이 2배, 일부 루트에서는 3배 가까이 상승했기 때문에 많은 수출 기업이 어려운 상황에 몰리고 있다.
올 상반기 해상수송요금이 두 배로 상승했기 때문에 많은 수출기업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호치민시에 소재한 한 커피수출기업의 CEO는 해상운송비용이 급등했기 때문에 손실이 나온다고 말한다. “해상 수송량의 상승에 더해 커피콩의 가격도 같은 시기에 2배가 되는 등, 당사의 사업은 다양한 방면에서 압력을 받고 있습니다”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수출업체 사장도 5월 말부터 6월 초까지 해상 수송 요금이 계속 상승하고 있다고 말했다. 6월 시점에서 많은 항로의 수송요금이 3월에 비해 2~2.6배로 상승하고 있다. 특히 호치민시에서 미국을 위한 해상수송요금은 통제불능 만큼이나 상승하고 있으며, 3월에는 2950 USD였던 40피트 컨테이너의 수송요금이 현재는 7950 USD까지 상승하고 있다.
"후춧가루나 커피 등의 원가도 상승하고 운송 운임도 가격 상승이 계속되고 있으므로 기업들은 손실을 입고 있다. 하지만 현시점에서는 수출 공간을 확보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습니다. 라고 말한다.
수출업체에 따르면 해상 수송 선박이 공급 부족을 겪고 있는 가운데 뱃삯 상승이 기업들을 압박하고 있다. 이전 선사들은 15일부터 1개월 요금 견적을 작성했지만 현재는 1주일로 단축됐다.
물류 서비스 분야에서 활동하는 기업에 따르면 전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분쟁이 해상 운송 요금의 상승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게다가 미국은 8월부터 많은 중국제품에 대한 관세를 끌어올릴 예정이며, 많은 중국기업들이 이 기한전에 미국에 전도해 수출을 진행하고 있다. 그 때문에 중국의 수출기업들에 의해 수송 공간의 쟁탈이 생겨 가격이 인상되고 있다.
베트남 수출 기업은 운송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에 대해 협의하고 있다. 아울러 수출기업 중에는 중요성이 낮은 제품이나 납기를 연장할 수 있는 제품에 대해 출하를 일시적으로 보류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
베트남 커피수출협회는 해상운송요금의 급격한 상승으로 조만간 수출기업들이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는 일부 항로에서만 운임이 인상되고 있지만 협회는 앞으로 상승 흐름이 다른 항로로도 파급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만약 해상운송요금 인상이 지속된다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 중에는 손실을 감당할 수 없게 되는 기업도 나올 수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평가 리포트사(베트남 리포트=Vietnam Report)는 10일, 2024년에 있어서의 신뢰도가 높은 상업 은행 톱 10을 발표했다. 1위는 전년과 같이 Vietcombank가 됐다.
동 랭킹은 재무 능력이나 미디어에 의한 신뢰성,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에 근거해 각 상업 은행을 랭크한 것.
신뢰도 높은 상업 은행 톱 10은 다음과 같다.
1위:Vietcombank
2위 : Techcombank
3위:Vietinbank
4위 : 베트남 투자개발은행(BIDV)
5위 : 군대은행(Military Bank)
6위 : 아시아 상업 은행(Asia Commercial Bank)
7위 : 베트남 농업 농촌 개발 은행(Agribank)
8위:VPBank
9위:HDBank
10위:TPBank
덧붙여 신뢰도 높은 민간 상업 은행 톱 10은 다음과 같다.
1위 : Techcombank
2위: 아시아 상업 은행(Asia Commercial Bank)
3위:VPBank
4위:HDBank
5위:TPBank
6위:Sacombank
7위:베트남 국제은행(Vietnam International Commercial Bank)
8위 : 사이공 하노이 은행(Saigon - Hanoi Commercial Bank)
9위:LPBank(Lien Viet Post Joint Stock Commercial Bank)
10위 : SeaBank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노동보훈 사회부는 2024년 1분기 노동자의 평균 수입이 월 850만동(약 46 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0만6000동 증가 한 것으로 바타났다.
남성의 수입은 여성보다 약 110만 동 높아지고 있다.
2024년 1분기 베트남 노동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 전국 노동력 인구는 5240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만5800명 증가했다.
고용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17만4100명 증가한 5130만명, 실업자 수는 약 5400명 증가한 약 105만명이 됐다.
특히 젊은층의 실업률이 약 8%에 달하고 있다.
숙박·음식 서비스업 노동자가 13만7000명 증가, 제조업이 6만1000명 증가했다.
또 정치·사회조직 활동과 국가관리·방위 등이 5만5000명, 교육·훈련업은 5만명, 운수·창고업은 2만9000명이 증가했다.
노동자가 감소한 업종은 건설업과 농림수산업, 자동차·오토바이 그외 엔진의 소매·수리업, 정보통신업, 부동산업이었다.
사회부는 2분기 노동시장 전망에 대해 5150만명의 노동자가 고용돼 전분기 대비 20만명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구인 수요 증가가 예측되는 업종은 가구 제조업에서 2.6%, 섬유업에서 2.0%, 전자·컴퓨터·광학 제품 제조업에서 1.6% 증가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2024년 6월에는 이러한 업종에서의 구인이 가장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반면 구인 수요 감소가 예측되는 업종은 인쇄업 3.8%, 기타 채광업에서 3.1%, 고무·플라스틱 제품 제조업에서 1.5% 감소 할 것으로 보고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정부는 5월 31일 개회 중인 국회에 남중부 연안지방 다낭시의 개발에 관한 특별제도의 시행 및 지방 정권 모델에 관한 국회 결의 초안을 제출하고, Nguyễn chí dũng 계획투자 장관이 내용을 설명 했다. 초안에는 국내 최초의 자유무역구 설립안이 담겨 있다.
장관 발표에 의하면, 현행의 법률에는 자유무역구에 관한 규정은 존재하지 않지만, 이미 세계 150여 개국에서 설립되어 투자 유치나 무역·서비스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경쟁력 있는 제도를 시험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베트남에서는 수출가공구와 비관세구 등 소규모 경제 모델을 통해 자유무역구 모델에 익숙해지고 있다고 한다.
정부는 유럽과 중국, 한국, 싱가포르 등에서 성공한 자유무역구를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낭 자유무역구에는 생산, 항만 물류, 무역·서비스의 3가지 기능을 갖게 할 것을 제안 했다.
보고 내용을 심사한 국회 재정 예산 위원회의 Le Quang Manh 위원장은 위원회의 대부분 위원이 자유무역구 설립에 찬의를 보였다고 말하고 이 문제는 경제에 그치지 않고 국방·안전보장, 사회질서, 법률체계에도 관련된다고 지적해 조직 모델과 기능, 임무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하도록 정부에 요청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호치민시에 빈콤 메가몰 그랜드 파크(Vincom Mega Mall Grand Park)가 6월 1일 개업했다.
이 몰에는 다세대에 걸친 매력적인 놀이, 엔터테인먼트, 쇼핑 시설이 갖추어져 있어 지역 최고 명소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창조적이고 독특한 디자인 언어와 유명 브랜드의 등장에 의해, 동시 동부 지역의 「식・유・락」의 중심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몰은 5층 건물에 지하 1, 2층의 주차장을 갖추고 있으며, 총 면적은 5만㎡에 이르고, 동시 동부 최초의 국제적인 쇼핑 센터가 된다.
위치는 호치민시의 관할시인 투덕시의 빈홈스 그랜드 파크(Vinhomes Grand Park) 내에 위치한다.
이 몰의 외관은 귀한 푸른 다이아몬드로부터 영감을 얻은 창조적인 디자인이 인상적이며, 내부는 'Park-in-mall'의 테마로 자연의 다채로운 세계를 표현하고 있다.
초록의 나무들이 각 통로에 배치되어 푸르스름한 계층적인 숲과 다채로운 마법의 숲이 센터홀에 퍼져 젊은이에게 '인스타' 촬영 장소가 되고 있다고 한다.
주목할 점으로 '소원의 연못'을 주제로 한 무한거울방이 설치되어 있으며, 무수한 랜턴들이 무한한 거울에 반사되어 빛나며 방문객들에게 환상적인 체험을 제공한다.
이 몰은 다층의 체험을 제공하는 디자인에 의해, 2024년 여름 동시에 거주하는 가족이나 젊은이에게 있어서 꼭 봐야 할 장소가 되고 있다.
이 몰 내에는 피자 4P's와 MUJI, 유니클로, ACFC, 버스&보디웍스, 니트리, 마루가메제면, Dookki, 칠리타이, CoCo 이치 반야, 고기, CGV, Gigo엔터테인먼트 등 패션, 쥬얼리, 음식,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톱 클래스의 브랜드 120 이상 모여 있다.
빈버스(VinBus)의 대중교통이나 장래적으로는 메트로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몰에의 액세스는 매우 편리하게 된다.
이 몰에서는 6월 1일 개업일 부터 나이트 뮤직 쇼, BT21 팝업 스토어, BTS 무료 사진전, Mom&Kid 이벤트 등 많은 이벤트로 붐빌 것이 예상된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국내 은행 각사는 7월 1일부터 1000만VND 이상의 온라인 송금에는 생체인증(지문인증, 얼굴인증) 등록이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이번 주 초부터 하노이에 사는 M씨에게는 여러 은행으로부터 송금에 관한 새로운 규정에 대응하기 위해 생체인증 등록을 요구하는 통지가 SMS 등을 통해 반복적으로 보내져 왔다.
각 은행은 7월 1일부터 1회당 1000만VND 이상 또는 하루 2000만VND 이상의 온라인 송금을 하는 경우 전자칩이 포함된 ID 카드의 데이터와 일치하는 생체인증(지문인증, 얼굴 인증)이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게다가 일부 은행에서는 온라인 거래 앱의 변경이나 1억 VND를 넘는 정기 지불에도 이 인증이 필요하다고 하고 있다.
공상은행(VietinBank)의 Tran Cong Quynh Lan 부국장은 지금까지 수십만 건의 고객이 VietinBank 앱에서 생체인증 등록을 적극적으로 실시했다고 말했다.
이 은행은 6월 초순부터 정기적으로 1000만 VND 이상의 송금을 하고 있는 고객이나 이전에 낡은 ID카드(칩 없음)로 등록된 계좌의 명의인을 우선해 위의 통지를 행할 예정이다.
송금시의 생체인증은 온라인 결제나 은행카드 사용에 있어서의 안전대책에 관한 국가은행의 결정 2345호에 의해 정해져 있으며, 7월 1일부터 적용된다.
1회당 1000만 VND 미만의 송금으로 하루 2000만 VND 미만의 송금에는 이 규정은 적용되지 않는다.
단, 1회의 송금액이 1000만 미만이어도 1일의 송금액이 2000만VND 이상이 되었을 경우, 넘은 부분으로부터 생체인증이 필요하게 된다.
또, 은행의 앱(모바일 뱅킹)을 처음 사용하는 고객이나,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던 것과는 다른 디바이스로 송금하는 고객도 생체 인증이 요구된다.
은행 발표에 따르면 생체인증 등록은 온라인 신청을 통해 실시할 수 있다.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장치에는 얼굴 또는 지문 스캔 기능과 NFC(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필요하다. 고객의 기기가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고객은 근처의 은행 지점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규정은 최근 잇따르고 있는 온라인 사기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도입됐다. 최근에는 은행과 당국이 다양한 채널을 통해 경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기 피해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보이스 피싱 사기꾼이 신원을 숨기고 불법 차명 계좌를 사거나 빌리거나 송금함으로써 부정한 돈 흐름의 흔적을 지우는 것이 오랜 세월 이루어져 왔다." 라고 부국장은 말하고 송금시 생체인증 도입으로 부정한 계좌로의 송금을 제한하고 범죄 자금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부국장의하면, SMS OTP, Soft OTP에 가세해 생체 인증이 추가됨으로써, 계좌 소유자의 자금 보안도 높아진다.
5월 23일 국회에서 베트남 국가은행의 Nguyen Thi Hong 총재는 온라인 본인 확인(eKYC)을 이용한 결제계좌 개설 및 이용에 있어서의 사기행위 방지 대책을 강화하도록 각 은행에 요구 있다고 말했다.
"생체인증은 계좌 소유자의 보안을 강화합니다. 이로 인해 불법 계좌의 사용을 제한 할 수 있습니다."라며 한 은행 담당자는 사기 피해를 최소화하고 높은 보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생체인증이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평가했다.
Nguyen Thi Hong 총재에 따르면 베트남 국가은행은 결제계좌 개설 및 사용에 관한 가이드라인 초안을 작성하고 있다. 이 중 새로운 규정으로서 은행에 온라인 계좌를 개설할 때에는 칩이 내장된 ID 카드를 사용해야 한다는 규정이 새롭게 포함되어 있다.
“칩이 들어간 ID 카드를 사용하면 부정계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라고 총재는 말했다.
칩이 포함된 ID 카드가 없는 경우 각 은행에 가서 본인 확인하고 등록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동시에 각 은행은 의심스러운 징후가 있는 계좌를 즉시 감지하기 위해 거래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고 평가할 수 있는 솔루션을 보유해야 한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음악 빅데이터 구축 등을 다루는 한국 한터 글로벌(Hanteo Global)은 최근 베트남 현지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MCN 그룹과 다양한 분야에 걸친 서비스를 연동하는 슈퍼 플랫폼 구축에 협력한다는 기본 합의서(MOA)를 교환했다.
양사는 베트남에서 문화사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화를 진행하기 위해 음악·엔터테인먼트를 중심으로 한 슈퍼 플랫폼을 구축한다. 이에 따라 K-POP과 V-POP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해 나갈 예정이다. 신인 발굴과 아티스트 육성을 위한 아카데미 사업 외에 기타 관련 사업도 진행한다.
MCN 그룹은 한월 문화교류를 활성화하고 슈퍼플랫폼 사업을 가속시키기 위해 행정적·실무적인 절차를 지원하는 전문 담당팀을 배치. 현재 베트남 국영 TV국(VTV)을 비롯한 국영 방송국이나 음악 관련 기업과도 연동해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에 정통한 인재의 옹립을 추진하고 있다.
베트남 기업과 제휴한 배경으로 한터 글로벌 곽영호 대표는 “K-POP 인기뿐만 아니라 자국 콘텐츠를 통한 문화사업이 확대될 가능성도 크다"고 말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정부는 비현금 결제에 관한 시행령 제52호/2024/ND-CP를 공포했다. 이는 시행령 제101호/2012/ND-CP와 시행령 제80호/2016/ND-CP에 대체되는 것으로 7월 1일에 시행된다.
신시행령에 따르면 '전자화폐'는 전자화폐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업은행, 해외은행지점, 결제대행서비스 제공 업체에게 고객이 선불한 금액에 따라 전자적 수단으로 보관되는 금액(베트남동)으로 정의된다. 베트남의 법규 문서에서 '전자 화폐'가 정의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자화폐결제 서비스'란 상업은행, 해외은행지점, 결제대행서비스 제공업체가 고객에게 결제앱 등록 계좌로 출입금 및 결제거래를 위해 제공하는 일련의 서비스를 말한다.
전자 화폐의 보관 수단으로는 결제 앱과 선불 카드의 2종류가 인정된다. 상업은행과 해외은행 지점은 결제 앱과 선불카드를 제공·발행할 수 있다. 또한 결제대행 서비스 제공업체는 은행에 개설한 전자화폐 결제를 보장하기 위한 계좌의 잔액 합계가 고객에게 발행된 결제 앱에서 등록 계좌의 잔액 합계를 밑돌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베트남 국가은행(중앙은행)은 가상화폐를 비롯한 관할기관의 관리를 받지 않는 결제수단을 배제하기 위해 '전자머니'에 대해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2024년 5월 현재 국내에서는 40여개의 결제 앱 업체가 사업 전개하고 있다. 현지금융정보서비스 대기업 핀그룹(FiinGroup)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2023년 말 시점에서 약 3600만명의 결제 앱 액티브 유저가 있다.
또한 중앙은행에 따르면 가상화폐에 관한 법규정은 정비되지 않고 금지도 되어 있지 않고 있다. 다만 중앙은행은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에 대해 "전자화폐가 아니라 법정통화의 기능을 이룰 수 없다"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합법적인 결제 수단으로는 인정하지 않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최대 이동통신사업자인 국방부 산하 국영기업 Viettel이 하노이 Hoa Lac Hi-Tech Industrial Zone에 건설을 진행해 온 국내 최대급 데이터센터(사진)가 완성됐다. 평균적인 데이터 센터 용량의 3배, 최신의 인공 지능(AI)에도 적합한 사양으로 하고 있다.
이 회사의 Tao Duc Thang 회장 겸 소장은 “총 23만 서버, 8만 1000평방미터의 바닥 면적, 1만 1500개의 데이터 랙(선반), 87메가와트 규모의 데이터 센터는 글로벌 수준 데이터센터에 필적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환경면에도 배려하여 에너지 관리와 환경 부하, 직원 위생 관리 등 수많은 녹색 인증을 취득. 전력 소비의 30%를 재생 가능 에너지로 충당하는 최초의 데이터 센터가 된다.
완성식전에서 Nguyen Manh Hung 정보통신부 장관은 “데이터센터에 대한 투자는 새로운 성장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투자이다. 디지털경제에서 데이터는 가장 중요한 자원으로 앞으로는 국가의 부를 헤아리는 것이 된다”라고 지적. "베트남을 국제적인 디지털 허브로 만들기 위해 국가의 데이터 인프라에 대한 건전한 비전을 가져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회사는 앞으로도 데이터 센터에 대한 투자를 계속할 계획이다. 2025년까지 10조동을 추가 투자해 1만7000데이터 랙, 게다가 2030년까지는 40조동을 추가해 3만4000랙까지 규모 확대할 예정이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미국 종합 부동산 서비스 대기업의 Jones Lang LaSalle(JLL)가 발표한 베트남의 데이터 센터 시장에 관한 리포트에 따르면, 베트남은 아시아에서의 데이터 센터 시장의 중심지가 되고 있다.
이 시장에서는 ◇베트남 우편통신그룹(Vietnam Posts and Telecommunications Group=VNPT), ◇베트남 군대공업통신그룹(Viettel) 산하의 Viettel IDC, ◇FPT 정보통신(FPT Corporation) 산하의 FPT 텔레콤, ◇CMC Corporation 산하의 CMC Telecom 등 국내 통신 사업자가 석권하고 있다.
로컬 기업뿐만 아니라 해외 기업도 데이터 센터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주목 받고 있는 프로젝트는 ◇호치민시 직할 투덕시의 사이공 하이테크 파크(SHTP)에 Gaw Capital의 데이터 센터(출력 20 MW),◇싱가포르의 Worldwide DC Solution의 데이터센터(동 30MW), ◇일본전신전화 주식회사(NTT)와 로컬 기업 QD.TEK의 공동 개발에 의한 데이터 센터 등이다.
전자상거래(e커머스=EC) 최대 업체인 아리바바도 베트남에 데이터센터를 개설할 계획이다.
2025년 1월에 시행되는 개정통신법이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가이드 라인을 갖추어 외자 유치를 강화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2050년까지 온실가스 제로의 목표를 내세우는 베트남에서는 모든 교통수단의 연료를 녹색에너지로 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실현할 수 있을지, 열쇠는 전기 자동차의 보급이다. 전문가는 충전 스테이션 사업에 대한 민간 투자 유도와 전력 공급 효율화를 도모하는 스마트 그리드(차세대 전력망)의 정비가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사진㊤=모델 VF 7 of Vinfast (Photo: Vinfast)
베트남은 2040년까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와 오토바이의 생산, 조립, 수입을 순차적으로 제한, 정지하고, 2050년 전까지 모든 자동차가 전기나 그린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시점에서 국내 전기차 등록은 2만대 이상에 이른다. 전기자동차는 대도시 생활자의 기호에도 매치되고 자동차 산업의 장래성으로 이어질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전기차의 수요에 맞는 충전 스테이션의 정비는 되어 있지 않다. 전기 자동차 메이커로 충전 스테이션 최대 큰손이기도 한 VinFast(베트남 전기차 회사)의 국내 충전 포트 수는 현재 자동차 오토바이를 합쳐 15만 이상. 이들 충전 포트는 주차나 버스 정류장, 쇼핑센터, 주유소에 설치되어 있지만 사용자는 주로 집에서 충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린에너지로의 이행이나 충전 스테이션의 투자 환경 만들기에 관한 유엔 개발 계획(UNDP)의 연구회에서, 전기 에너지 연구의 전문가, 윌마르 마티네즈(Wilmar Martinez) 박사는 「베트남에서는 전기 자동차라고 하는 컨셉 그 자체가 이제 인식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에 비해 녹색 에너지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수는 베트남에서는 아직 적다. 다른 나라에 비해 도로상, 특히 고속도로의 충전 스테이션이 적은 것도 하나의 이유로, 소비자가 전기 자동차의 구입을 주저하는 주된 이유도 이러한 인프라 사정에 의한 것이라고 마티네즈 박사는 확신 하고있다.
도로 교통 인프라 개발 계획에 따르면 2050년까지 베트남에서는 현재의 8배 이상인 9000 킬로미터의 고속도로가 정비된다. 베트남 도로총국 산하 환경과학기술 국제협동조합인 To Nam Toan 대표는 “교통부에서는 지방의 요청에 따라 충전 스테이션을 늘리는 방향으로 고속도로 네트워크 계획 갱신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 "고속도로에는 각각 휴게소를 병설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이러한 휴게소야말로 충전 스테이션 설치 장소로 적격이다"라고 말한다.
마티네즈 박사에 따르면 최신 전기자동차는 1회 충전으로 180~300킬로미터의 주행을 할 수 있지만 장거리 드라이브를 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휴식 중에 충전을 할 수 있는 수많은 스테이션의 존재는 빠뜨릴 수 없다. "만약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것 같다면 전기차가 디젤차나 가솔린차로 대체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라는 견해를 나타낸다.
태국과 독일, 노르웨이, 한국에서 이루어진 충전 스테이션에 대한 실천적 연구는 충전 스테이션의 네트워크 구축에 정부와 민간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독일에서는 충전 스테이션의 연구와 보급을 위해, 조성이나 기금, 전기 자동차의 신규 구입자에게의 보조금 제도 정비. 가정에서의 충전 기준이나 충전 스테이션 설치에 엄격한 기준을 마련하고 있는 나라도 많다.
UNDP의 연구에 따르면, 2050년까지 베트남에서 모든 차가 전기차가 된 경우, 39개의 휴게소가 있는 남북 고속도로 동구간에서는 7800개의 충전 설비가 필요해, 앞으로 25년간 약 22억 달러의 투자가 필요하다. 민간 투자를 불러들이려면 투자를 회수할 수 있는 구조 만들기가 불가결하며 충전 스테이션 설치 후 5년간의 세금 공제나 이어 5년간 50%의 감세 등 우대제도 환경 등을 만들 수 있는지 여부가 중요하다.
베트남전력공사의 전력 전문가인 Nguyen The Vinh씨에 따르면 과제는 충전 스테이션의 수뿐이 아니다. 전기차의 보급으로 전국의 전력시스템에 과도한 부하가 걸려 국소적인 정전이 발생하는 사태는 피해야 한다. 현재 공공 충전 스테이션 시스템은 국가 전력 소비량의 10%이지만 앞으로는 차량 대수와 각 스테이션에서 충전 시간을 계산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전력의 안정공급 면에서 하노이공과대학의 Nguyen Bao Huy 씨는 인근의 이용 가능한 충전 설비와 충전 시간, 충전 방법을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차세대 스마트 충전 시스템의 도입을 제안 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사용하면 전력 소비의 피크 시간을 피하면서 많은 차에 전력을 분배하여 전력 부족이나 정전을 피할 수 있다고 한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세계 주요 금광산업체로 구성된 비영리단체 '글로벌 월드골드카운실(World Gold Council, WGC)"에 따르면 2024년 1~3월기 베트남의 금 투자 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12 % 증가, 동기로는 2015 년 이후 최근 10 년 동안 최고가되었다.
이 배경에는 에너지 가격 상승이 물가를 끌어 올리고 있거나 동하락 달러고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동기 베트남의 금 총수요(실수용 포함)는 6% 늘었다. 금보석류 수요는 동 10% 감소한 4t으로 떨어지고 5분기 연속 감소로 지난 10년간 최저였다.
같은 기간의 베트남 금의 총수요(실수요 포함)는 동 6%증가했다. 금의 보석 장식품 수요는 동 10%감소한 4 t으로 침체해, 5분기 연속 감소가 되어 과거 10년간 최저였다.
금의 수요 증가가 금지금(金地金: 1테일=37.5g의 골드바) 가격을 끌어 올렸다. 9일 오후 2시경의 시점에서, 베트남 금지금 최대 큰손 사이공 쥬얼리(Saigon Jewelry=SJC)의 SJC 브랜드의 골드 바 가격은 매가가 1테일당 8700만VND, 판매가가 8930만VND이 되어 전날 대비 180만VND 상승했다. 매입과 매가의 가격차는 230만 VND.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상공연맹(VCCI)과 미국국제개발청(USAID)이 9일 발표한 2023년 베트남 각성·시경쟁력지수(PCI) 랭킹에 따르면 동북부 지방 꽝닌(Quảng Ninh) 성이 71.25포인트로 7년 연속 톱을 유지했다.
동년의 PCI는 베트남 전국의 기업 1만 0676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앙케이트에 근거한 것으로 1만0676사 중 민간기업이 9127사, 해외직접투자(FDI) 기업이 1549사이다.
2023년의 PCI 랭킹 톱 10은 다음과 같다.
1위 : 동북부 지방 꽝닌 성(71.25포인트)
2위 : 남부 메콩 델타 지방 롱안 성(70.94포인트)
3위 : 북부 홍하 델타 지방 하이퐁 시(70.34포인트)
4위 : 동북부 지방 박장 성(69.75포인트)
5위 : 남부 메콩 델타 지방 동탑성(69.66포인트)
6위 : 동남부 지방 바리어 붕타우성(69.57포인트)
7위 : 남부 메콩 델타 지방 벤쩨 성(69.20포인트)
8위:북중부 지방 트어티엔 후에 성(69.19포인트)
9위:남부 메콩 델타 지방 하우장 성(69.17포인트)
10위 : 동북부 지방 푸트 성(69.10포인트)
PCI 지수는 ◇참가 비용, ◇토지 사용·유지 비용, ◇투명성·정보 액세스 비용, ◇행정 수속의 빠른 속도, ◇비공식 수수료 정도, ◇지방 지자체의 적극성, ◇비즈니스 서포트 체제, ◇노동력의 질, ◇법제도, ◇공정한 경쟁환경 등 10개 지표에 근거해 평가하고 있다.
2023년 지방녹색지수(PGI)에서는 꽝닌성이 4개 구성요소 지수 중 총점이 가장 높아 26점으로 1위에 올랐다. 다음 순위는 다낭(25.66점), 동나이(24.71점), 흥옌(24.59점), 호치민(24.2점) 순이다. 이는 기후 변화 및 환경 보호 문제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주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당과 정부의 중요한 정책을 구현하는 데 있어 기업계와 지방 당국의 공동 노력에 기여하려는 의도로 2022년에 시작된 일련의 지수이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사법부는 최근 열린 기자회견에서 암호자산(가상화폐)에 관한 법정비에 대해 재정부 아직 법적 문서 초안을 제출하지 않았음을 밝혔다.
법 정비와 관련하여 ◇돈세탁, ◇테러에 대한 자금 제공, ◇대량 파괴 무기 확산에 대한 자금 제공 방지를 위한 베트남 정부의 공약을 실행하기 위한 국가 행동 계획에 관한 2024년 2 월 23일부 총리 결정 제194호/QD-TTg에서 Pham Minh Chinh 총리는 재정부가 주관이 되어 암호자산의 법적 틀 구축에 대해 연구하고 2025년 4월 말까지 완료 제출하도록 지도했다.
암호화폐 자산은 베트남에서 자산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거래 등도 금지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규제하는 법률이 부족하기 때문에 돈세탁이나 테러 활동에 악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이 현재이며,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법적 틀의 구축이 시급하다.
법적 문서의 초안 등을 심사하는 역할을 하는 사법부는 “재정부가 구체적 정책을 제안하면 제안에 대한 사법부으로서의 견해를 보인다”라고 말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아시아개발은행(ADB)은 베트남의 2024년 경제성장률이 6%에 달할 수 있다고 하면 여전히 외부 리스크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4월 11일에 발표한 아시아 개발 전망 보고서에서 ADB는 외부 환경의 불확실성이 장기화되고 있지만 베트남의 경제성장률에 대한 예측을 전회 그대로 유지했다. 이에 따르면 베트남의 2024년 경제성장률은 6%로 인플레이션율은 4% 정도로 안정된다고 한다.
ADB에 따르면 베트남 경제에는 많은 밝은 조짐이 보인다.예를 들어 2023년 말부터는 소비재 신규 수주가 회복되고 있다.이 같은 추세는 앞으로 연말을 향해 더욱 강해질 전망이다.
ADB 베트남 사무소 Shantanu Chakraborty 소장은 베트남 경제는 어려운 세계 상황 속에서도 2024년과 2025년에 견조한 페이스로 경제 성장을 계속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통계총국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1분기 가공·제조업 성장률은 6.8%였다. 금리 하락,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재정 조치 및 최근 개선된 토지 관련 법 규제의 틀이 건설업계의 성장을 뒷받침할 것으로 보인다.
2024년 1분기 소매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8.2% 증가했다. ADB에 따르면 경기 회복 상황은 완만하지만 물류 서비스를 촉진하고 비자 개방 정책에 따라 관광이 촉진되고 있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보면 서비스 분야는 올해 7.7% 성장을 달성할 전망이다. 또 세계적인 농산물 수요 회복과 베트남이 체결하고 있는 다양한 자유무역협정도 베트남 농산물 수출을 뒷받침할 것으로 보인다.
호조의 외국직접투자(FDI)와 해외로부터의 송금, 무역흑자의 지속, 지속적인 재정지원 및 대규모 공공투자 프로젝트도 경제성장을 촉진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러나 Shantanu Chakraborty 소장은 세계적인 지정학적 리스크와 국내 경제의 구조적 한계가 이 전망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세계 경기 회복 지연과 미국 금리 인하 연기로 인한 세계 수요 침체 외에도 지정학적 긴장으로 올해 베트남 수출 주도형 성장을 방해할 가능성이 충분하다.
따라서 ADB는 올해 베트남 정책은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장려하기 위해 단기적인 성장지원책과 장기적인 구조개혁을 조합하여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베트남은 국내경제가 외자 수출가공기업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점과 자본시장이 은행신용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점 등 국내경제의 구조적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강력한 정책이 필요합니다.
이에 더하여 ADB의 주석 이코노미스트인 Nguyen Ba Hung은 공공투자가 경제성장의 중요한 원동력임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공공 투자의 효율적인 개발은 베트남 경제의 성장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ADB에 따르면 베트남 정부는 공공 투자를 가속화하기 위해 많은 정책을 도입하고 있지만, 법적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전개하기 위한 장벽을 줄이기 위해서는 보다 체계 적인 정책이 여전히 필요하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노동보훈사회부는 노동계약에 의한 노동자의 최저임금을 규정하는 시행안에 관한 의견을 요구하는 문서를 관련 부서에 송부했다.
이 시행령 안에 따르면 2024년 7월 1일부터 적용되는 최저임금은 현행보다 6% 증가했으며 이는 국가임금위원회가 정부에 추천한 제안인 1월 12일의 제안과 일치 한다.
동안에서는 제1지역의 최저임금이 월액 496만동, 제2지역은 441만동, 제3지역은 386만동, 제4지역은 345만 동으로 인상된다.
현행 최저임금은 지역에 따라 325만 동에서 468만 동의 범위이며, 개정 후의 최저 임금은 평균 6%에 해당하는 월액 20만 동에서 28만 동 증가가 된다.
이 조정액은 2024년 말까지 최저 생활비 보다 약 2% 높아 노동자의 삶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최저임금은 2025년 최저생활비를 기본적으로 보장한다고도 볼 수 있으며, 즉 정책작성기관은 2025년 CPI의 일부를 최저생활비에 미리 반영해 근로자가 2024년 중반부터 이를 누릴 수 있게 된다.
동성에 의하면, 조정은 노동자와 기업의 이익을 공유하고 조화시키는 것이며, 노동자의 생활 개선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기업의 유지, 회복 및 사업의 발전을 보증하는 것에도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2024년 중반부터 시급 최저임금도 마찬가지로 6% 증가한다. 구체적으로 제1지역에서 시급 2만3800동, 제2지역에서 2만1200동, 제3지역에서 1만8600동, 제4지역에서 1만6600동이 된다.
시급의 최저임금은 노동법에 의한 표준근로시간과 최저급여로부터 상당하는 방법으로 계산된다. 이는 국제노동기구(ILO) 전문가가 베트남에 추천하고 2022년 시급 최저임금 계산에 사용된 방법이다.
이전인 2023년 12월 20일 국가임금위원회는 투표를 하고 2024년 7월 1일부터 지역별 최저임금을 평균 6% 끌어올리는 방안을 정부에 제안하기로 결정했다.
베트남 총연합회 부회장 겸 국가임금위원회 부회장인 Ngọ Duy Hiểu씨는 “6% 증가는 노동자가 기업의 어려움을 공유하는 상황에서 적절하다”고 평가했다.
지역별 최저임금 증가로 베트남총연합회는 계속해서 노동자에게 생산성을 높여 기업이 어려움을 극복하도록 장려하고 계발하며 또한 기업은 시장을 확대하고 주문을 늘림으로써 근로자가 미래에 일할 장소를 가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호치민시 1구와 7구를 연결하는 Nguyen Khoai 다리(cau duong Nguyen Khoai) 안건이 2024년 말 착공할 예정이다.
동교는 7구 D1거리를 기점으로 하여 Te 운하(kenh Te)와 Ben Nghe 운하(rach Ben Nghe)를 건너 1구 Vo Van Kiet 거리에 이르는 전체 길이 2.5km, 폭 6.5~25.5m 의 다리가 된다. 설치 도로는 전체 길이 2.3km 정도, 폭 26.5~61.5m가 된다.
이 안건의 투자 총액은 3조 7000억 VND 이상으로 완성은 2027년을 예정하고 있다.
동교가 완성되면, 1구의 중심부로 향하는 동시 남부의 교통 부하를 경감함과 동시에, 1구와 7구의 사이를 이동할 때의 소요 시간의 단축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덧붙여 이 안건은 2016년에 동시 인민 평의회의 승인을 얻고 있어으며 당시의 투자 총액은 1조2500억 VND였다. 그러나 투자자금의 균형에 따른 과제가 발생했기 때문에 착공이 지연되었다. 동시인민평의회는 2023년 12월 다시 한번 이 안건의 투자액 조정에 관한 재결의를 채택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과학기술부는 12일 2023년 각 성·시 혁신지수(PII) 랭킹을 처음으로 발표했다. 랭킹에서는 하노이시가 62.86포인트로 선두를 차지했다.
PII 지수는 베트남의 각 성·시의 과학 기술이나 혁신에 근거한 사회 경제 발전 모델을 평가한 것으로 세계지적소유권기관(WIPO)이 매년 발표하고 있는 세계기술혁신력 랭킹(Global Innovation Index=GII)을 기반으로 구축되고 있다.
2023년의 PII 랭킹의 톱 10은 다음과 같다.
1위:하노이시(62.86포인트)
2위:호치민시(55.85포인트)
3위:북부 지방 하이퐁 시(52.32포인트)
4위:남중부 지방 다낭 시(50.70포인트)
5위:남부 지방 껀터 시(49.66포인트)
6위 : 북부 지방 박닌 성(49.20포인트)
7위 : 동남부 지방 바리어 붕타우 성(49.18포인트)
8위 : 동남부 지방 빈증(Binh Duong) 성(48.64포인트)
9위 : 동북부 지방 꽝닌(Quang Ninh) 성(48.03포인트)
10위 : 동북부 지방 타이응엔(Thai Nguyen) 성(47.75포인트)
지방별로 보면, PII가 가장 높은 지역은 북부 홍하 델타 지방의 45.17포인트 이어 ◇동남부 지방: 44.81포인트, ◇북중부 지방: 36.96포인트, ◇북중부·남중부 연안지방: 36.96포인트, ◇남부 메콩 델타 지방: 36.36포인트, ◇남중부 고원지방: 32.72%, ◇북부 산악지방 : 32.19포인트 순으로 되어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