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11월 베트남의 무역 총액은 6200억달러에 머물러 전년 동기 대비 8% 감소, 과거 3년간 최저 수준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1월 수출액은 약 311억달러로 전월 대비 약 4% 감소했다.
최근 5개월간 평균 수출액은 월 300억달러로 상반기의 274억5000만달러를 넘어섰다.
11월의 수입액은 전월대비 1%증가한 300억달러였지만, 과거 11개월간의 수입 총액은 전년대비 11%감소한 약 2970억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에서는 주로 원자재와 기계류 감소가 두드러졌다.
올해 약 260억달러의 무역흑자를 기록했으며 이는 지난 10년간 최고 수준이다.
2023년 1~11월 수출액이 10억달러를 넘어선 품목은 33개로 전체 수출액의 93.1%를 차지했다.
주요 수출시장으로의 수출은 전체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비필수품의 수요 감소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수출지 지역별로 아시아 수출이 1.4%, 유럽이 6.6%, 미국이 12.4%, 아프리카가 3.7%, 오세아니아가 2.7% 감소했다.
또 베트남 수출품에 대해 24개국에서 총 238건의 무역방어조사가 진행됐으며 132건의 반덤핑조사, 48건의 자위조치, 35건의 무역방어조치 회피조사, 23건의 보조금 조사 등이 있다.
이들 조사는 주로 태양광 발전 패널이나 원목가구 등 대규모 수출품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졌다.
상공부는 연말 무역총액이 회복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는 주요국의 예상을 뛰어넘는 성장과 미국 중국 유럽의 인플레이션 진정, 글로벌 재고 감소, 연말 소비수요 증가 등이 배경이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호치민 시는 2024년 지역내총생산(GRDP) 성장률을 7.58%로 설정하고 세수 목표를 100%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Vo Van Hoan 시 인민위원회 부위원장은 시 인민평의회 제13차 정례회의에서 2023년 도시의 경제사회 상황과 2024년 방향성에 대해 보고했다.
이에 따르면 2023년 GRDP는 5.8%, 광공업생산지수는 4.6%, 소매매출액 및 소비서비스 수입은 약 11%, 새로 설립된 기업은 10% 증가했다.
2024년 동시의 주요 목표는 디지털 변혁과 국회 결의 98/2023/QH15의 효과적인 실시에 집중하는 것이다.
또한, 시는 경제와 사회, 도시, 행정개혁, 국방·안전 등 5개 분야에 18개 주요 지표를 설정했다.
경제 분야에서는 관광수입을 190조 동 이상, 국제관광객을 약 600만 명으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회 분야에서는 모든 시민이 최소 1개의 스포츠 및 예술 무료 학습 지원, 공립 박물관 무료 입장, 공공 문화 프로그램 무료 참여를 제공할 방침이다.
교육 분야에서는 교육연령인구 1만명당 297개 교실을 확보하고 근로자의 87%가 직업훈련을 받아 14만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시 분야에서는 교통용지 비율을 14.4%, 도로 밀도를 평균 2.4km/㎢, 새로운 주택 건설 면적을 800만㎡, 1인당 평균 주택 면적을 22.06㎡로 하고, 행정 개혁에서는 행정 절차의 완전 온라인화, 시민의 95%가 행정 서비스에 만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한다.
국방·안전 분야에서는 3950명의 청년을 보유한 부대 배치, 교통사고 사망자 수 감소, 국방능력 향상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11월 24일, 한국계 온라인 푸드 딜리버리 서비스 「Baemin」을 운영하는 Woowa Brothers Vietnam사는 베트남 시장에서의 철수를 표명했다.
이에따라 배민앱은 12월 8일 자정부터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원인은 세계 경제의 침체나, 베트남 시장에서의 경쟁 격화 등을 들 수 있다.
Baemin은 2019년 6월 베트남 시장에 진출.음식 배달이나 쇼핑 대행, 의류·화장품 판매등을 다루었지만, 승차 쉐어나 택배편 서비스는 제공하지 않고 고전 하면서, 9월에는 베트남에서의 사업 축소를 발표했다.
베트남 시장에서는 온라인 배달 서비스 점유율은 그랩과 쇼피푸드가 85%를 차지한다. 인구 1억 명이 넘는 베트남은 잠재성 있는 소매시장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자금력 있는 대기업의 진출도 많아 경쟁이 치열하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콤뱅크(Vietcombank)가 정기예금 금리를 인하하면서 한 달 예금 기간 금리가 2.4%, 3개월 금리가 2.7%로 낮아졌다.
이는 동행 사상 최저 금리이며 현재 은행 시스템 전체로도 최저 수준이다.
이 은행의 금리 인하는 지난 두 달 새 세 번째가 됐고 2023년 초 1~3개월 단기예금 금리는 연 6%였으나 현재는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12~24개월 장기예금 금리도 연초 78%에서 현재 최고 4.8%로 인하됐다.
동은행의 각 기간 예금금리는 1분기와 비교해 33.5%포인트 감소한 셈이다.
또 동행은 온라인 예금 시 추가 금리 제공을 멈추고 창구와 온라인에서 동일한 금리가 적용되게 됐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VAT의 2% 감세 조치를 2024년 상반기까지로 해서는 소비 진작 효과가 희박하다며 많은 의원들이 2024년 말까지 적용을 제안했다.
이는 11월 20일 오후 부가가치세 2% 감세 조치를 2024년 6월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논의하던 중 많은 국회의원들로부터 제안받은 내용이다.
Halcom Vietnam의 이사회장인 Nguyễn Quang Huân 의원에 따르면 부가가치세(VAT) 감세는 가격 하락과 소비 진작으로 이어진다."이 정책은 장기적으로 적용해야 효과가 높아지므로 정부안의 6월 말까지가 아니라 2024년 말까지 적용돼야 합니다"라고 의원은 말했다.
카마우성 비즈니스 협회 부회장인 Nguyễn Duy Thanh 의원도 같은 의견으로 더 높은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 VAT의 8% 로의 인하를 2024년 말까지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감세 대상을 나누는 것은 시장 불평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모든 상품과 서비스를 감세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점에 대해 닥논성 대표단 부단장인 Dương Khắc Mai 의원은 사회경제 상황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전에는 감세 대상이 되지 않았던 부동산 증권 등의 분야도 현재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그래서 정부가 실제 상황을 다시 평가하고 더 적절한 정책을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2024년 상반기에 VAT 감세 조치를 적용하는 건에 대해서는 재무예산심의회에서 검토했을 때에도 6개월간 적용으로는 목표 달성이 어렵다는 지적이 나왔었다. 따라서 심의회는 정부에 대해 VAT 감세를 2024년 말까지 적용해 정책의 질을 향상시키고 법적 근거를 확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VAT 감세 정책은 국민을 지원하고 소비를 자극하기 위해 코로나19 확산 시기에 도입됐지만 국가 세수 감소로도 이어졌다. 정부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2%의 VAT 감세 정책을 도입할 경우 GDP 성장률이 6~6.5%라면 세수가 25조 VND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Huân 의원은 장기적으로는 감세정책이 GDP 성장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등 그 영향을 철저히 종합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도 지적했다.
감세책은 사회경제 발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계속할 수 없습니다'라고 Huân 의원은 덧붙여 말했다.
하이즈엉 성 대표단 부단장 Nguyen Thi Viet Nga 의원은 지난 코로나19 하에서의 VAT 2% 감세 정책이 근로자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다는 명확한 근거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반면 정부도 과거 감세정책으로 인해 상품과 서비스 소비가 회복됐다는 설득력 있는 데이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Nguyen Thi Viet Nga 의원은 정부에 감세정책이 거시경제 안정, 경제성장 회복 촉진, 지방재정 영향 등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논의가 끝날 무렵 설명에 나선 재무부의 Ho Duc Phoc 장관은 세수 압력을 줄이기 위해 VAT의 2% 감세는 2024년 상반기까지 적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VAT 감세는 단기적인 해결책 중 하나일 뿐 기업들이 어려운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6개월 또는 1년의 VAT 감세뿐 아니라 기타 감세책이나 경기부양책도 마련하지 않으면 경제성장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폭스 장관은 말했다.
Ho Duc Phoc 장관은 2024년 상반기에 2%의 VAT 감세를 시행하면 정부 세수가 25조 VND 감소할 뿐 아니라 일부 지방자치단체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예컨대 하노이는 약 3조4700억 VND, 호찌민시는 약 4조 VND, 빈즈엉 성이 1조1150억 VND의 수입감소가 될 전망이며 다른 지방자치단체에서도 3500억~6000억 VND의 수입감소가 될 가능성이 있다.
"얼마 전 국회를 통과한 예산결의안에서는 2024년 상반기에만 VAT를 2% 감세할 방침으로 추산되고 있는데, 만약 2024년 하반기에도 VAT 감세 조치를 계속할 경우 국가 세수는 약 50조 VND 감소하게 됩니다"라고 폭스 장관은 설명한다.
현재의 예정으로는, 11월 29일에 국회에서 VAT 2% 감세 조치의 결의가 행해질 전망이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고액거래의 신고 의무 이행에 관한 2023년 4월 27일자 총리결정 제11호/2023/QD-TTg(12월 1일 시행)에서는 4억 VND 이상의 거래 시 베트남 국가은행(중앙은행)에 신고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고액 거래 신고 대상은 자금세탁방지법 제4조 제1항 제2항에 규정된 조직 개인.
여기에는 금융서비스, 리스결제, 결제대행서비스 외환 증권 중개 펀드운용, 생명보험, 카지노, 복권, 부동산경영, 귀금속 보석판매, 회계서비스, 공증서비스, 변호사 법률서비스, 기업설립 관리운영서비스 등 사업에 종사하는 조직 개인이 포함된다.
덧붙여 수상 결정 제20호/2013/QD-TTg로 규정되어 있는 종래의 최저액은, 3억 VND 이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남부에 있는 바리어 붕타우 성에 건설 중인 수 십억달러 규모의 Ho Tram Casino Project가 2027년까지 기한 연장을 정부에 신청했다.
이 프로젝트의 기한 연장 신청은 11번째이다.
2008년 투자허가를 받은 호참사는 5성급 호텔과 빌라, 골프장, 국제회의장, 카지노 등을 갖춘 복합형 리조트 시설을 건설 운영할 예정이다.
복합형 리조트 시설의 투자액은 약 42억3000만달러로, 동성 Xuyên Mộc 군에 있는 2개의 마을에 걸쳐 건설될 예정이다.
그러나 계획투자부에 따르면 현 시점까지 10차례나 기한 연장이 신청됐으며 이 회사는 현재 11번째 기한 연장을 요구하고 있다.
동사는 지금까지 총 투자액의 약 30.9%에 해당하는 약 13억달러를 투자하고 있다. 그 중 동사 자체의 출자액은 6억6000만달러라고 한다.
이 회사는 프로젝트 지연의 이유로 코로나19 영향, 호치민시와 바리어 붕타우 성을 연결하는 교통의 불편함, 건설 및 설계에 관한 법적 절차의 연장 등을 꼽고 있다.
Ho Tram Casino Project는 외국인 대상 카지노 사업을 조직하는 라이선스를 취득한 몇 안 되는 대규모 카지노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수입 과일인 키위, 사과, 석류, 배 등 수입 과일 가격이 최근 1kg당 수만 동으로 2년 전의 5분의 1 수준으로 하락해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호치민시 빈탄(Binh Thanh)구에서 수입 과일 판매업을 하는 Hinh씨에 따르면 현재 뉴질랜드산 키위 한 상자(약 3.5㎏)가 20만 동에 판매되고 있으며, 1kg당으로 환산하면 약 5만7000동이다. 10상자 이상 구매하면 한 상자당 16만 동까지 가격이 내려간다. "이 가격은 작년 이맘때 보다 15%나 저렴하다"고 말한다.
Hinh씨에 따르면 수입 석류와 배 가격도 나날이 떨어지고 있다. 현재 중국에서 수입한 석류는 1kg당 6만~7만 동, 지역에 따라 4만 동에 판매되고 있다. 튀니지산 석류는 처음에는 고급 수입 과일로 취급되어 2021년 판매 가격이 1kg당 25만 동이었으나 현재는 3만5000~5만 동으로 2년 전의 5분의 1 이하로 떨어졌다.
마찬가지로 한국산 배도 1종은 1kg당 6만~8만 동, 2종은 3만~4만 동으로 역대 최저가로 판매되고 있다.
뉴질랜드산 사과 가격도 계속 하락해 현재 1kg당 4만~6만 동에 판매되고 있다. 특히 베트남 시장에서 가장 비싼 사과 품종(일본산 사과 제외)인 Envy 사과는 2~3년 전 1kg당 20만~35만 동에서 현재는 절반 이하인 7만~11만 동에 판매되고 있다.
투덕(Thu Duc) 도매시장에서 과일 수입업체를 운영하는 Thanh 씨는 베트남에서 수입 과일 가격이 하락하는 이유에 대해 공급이 확대되는 반면 국내 구매력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또한 지난 1년 동안 인도, 뉴질랜드가 베트남에 과일 수출을 확대하면서 가격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것도 한 원인으로 꼽았다. 또한 중국과 베트남의 무역에 관한 양국의 유익한 합의에 따라 중국산 과일을 이전보다 쉽게 수입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도 한몫했다.
베트남 청과물 협회의 Dan Hooc Nguyen 사무총장도 비슷한 의견을 제시하며, 베트남이 다양한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면서 청과물 수입 관세가 거의 0%에 가까워졌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수입 과일 가격이 크게 하락했다.
"베트남은 미국, 일본, 한국, 뉴질랜드 등 국가와 EVFTA, RCEP, CPTPP, ACFTA 등의 무역협정을 체결해 수입 과일과 채소에 대해 상당한 특혜관세를 적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관총국 통계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10월말까지 베트남은 16억 USD 이상의 과일을 수입했다. 특히 올해는 인도, 뉴질랜드, 한국 등 과일이 저렴한 국가로부터의 수입이 전년 동기 대비 4~62% 증가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상공부 산하 베트남전력그룹(EVN)은 최근 상공부의 승인을 받아 평균 전기요금 인상 결정을 발표했으며, 이는 지난 5월에 이어 올해 들어 두 번째 인상이다.
이에 따라 11월 9일 이후 소비량 1kWh당 평균 전기요금(부가가치세 미포함)은 4.5% 인상된 2006.79VND으로 결정됐다. 평균 전기요금은 국민들의 생활용 전기요금과 기업의 생산용 전기요금을 책정하는 근거로 사용된다.
또한 11월 9일부터 새로운 생활용 전기요금표도 인상됐다. 소비량 1kWh당 새로운 전기요금 및 인상폭은 다음과 같다.
0~50kWh: 1806VND 78VND(+4.5%)
51~100kWh: 1866VND 80VND(+4.5%)
101~200kWh : 2167VND 93VND(+4.5%)
201~300kWh : 2729VND 117VND(+4.5%)
301~400kWh : 3050VND 131VND(+4.5%)
401kWh 이상 : 3151VND 136VND(+4.5%)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국가 관광청에 따르면, 연초 10개월간 외국인 관광객 수는 약 1000만 명에 달하며, 10월 한 달간 외국인 관광객은 약 111만 명으로 4개월 연속 100만 명을 넘어섰다.
국가-지역별로는 연초 10개월간 1위는 한국(약 290만 명), 2위 중국(약 130만 명), 3위 미국(약 66만7000명), 4위 대만(약 60만6000명), 5위 일본(약 46만9000명) 순이다. 동남아시아는 태국(약 39만2000명), 말레이시아(37만2000명), 캄보디아(약 32만6000명), 호주와 인도 등으로 모두 약 31만4000명이다.
유럽은 영국(약 20만6000명), 프랑스(약 16만9000명), 독일(약 15만9000명), 러시아(약 9만8000명) 등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최근 2023년 연간 방한 외국인 관광객 수 목표를 800만 명에서 1200만~1300만 명으로 상향 조정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기획투자부 외국인투자청에 따르면, 10월 20일 기준, 10월 20일까지 신규 투자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한 약 2600건, 등록 투자 금액은 54% 증가한 약 153억 달러로, 10월 초 10개월간 외국인투자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약 257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증자는 1051건, 증자 금액은 약 53억 달러, 주식 취득은 2836건, 출자금액은 약 51억 달러이다.
분야별로는 제조가공이 전체의 73%를 차지했으며, 등록 투자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45.8% 증가했다. 투자 국가-지역별로는 싱가포르가 1위(전체의 18%), 이어 한국, 홍콩, 중국, 일본 순으로 나타났다. 투자 유치 지역별로는 꽝닌성, 하이퐁, 하노이, 호치민시, 박닌성, 박장성 등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꽝닌성에서는 중국 진코솔라의 태양전지 복합단지(투자금액 15억 달러), 라이트온의 공장 건설 프로젝트(약 6억9000만 달러) 등 대형 프로젝트를 유치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미국 반도체 대기업 인텔(Intel)이 베트남 투자 확대 계획을 중단했다고 현지 언론이 외신을 인용해 전했다.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인텔은 지난 6월 유럽에 대규모 투자를 발표했었다. 한편, 같은 시기 베트남에서는 전력 부족으로 많은 제조업체들이 일시적으로 생산을 중단해야 했다. 최근 열린 미국 기업과 베트남 당국과의 회의에서 인텔은 베트남의 전력 공급 부족과 과도한 관료주의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동사는 또한 동남아시아에서 베트남의 주요 경쟁국 중 하나인 말레이시아에서 칩 패키징 사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앞서 지난 2월에는 베트남 투자 확대 계획을 발표한 바 있으며 투자 규모는 약 10억USD로 예상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의 수출이 글로벌 무역 불황에서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수출액이 전년 동월 대비 약 6% 증가해 3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을 기록했다. 이 데이터는 베트남 통계총국, 해관국, 국제금융기구 등이 발표한 것이다.
10월 수출액은 약 323억1000만 달러(약 4조8610억 원)로 9월보다 5.3% 증가했다.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수산물과 섬유제품, 전자기기 등이 호조를 보였다.
수출 대상 국가 및 지역은 미국, 중국, EU 등으로 여전히 베트남 수출의 중요한 시장으로 남아 있다.
미국은 베트남의 최대 수출 상대국으로 10월 약 77억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24.4% 증가한 수치다.
중국은 베트남의 두 번째 수출 상대국으로 10월 약 48억 달러(약 7222억3680만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14.9% 증가한 수치다.
EU는 베트남과의 자유무역협정(EVFTA) 발효 이후 수입 관세가 인하된 영향으로 10월 약 38억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해 전년 동월 대비 4.2% 증가했다.
한편, 10월 수입액도 약 333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9.5% 증가했으며, 주요 수입 품목으로는 원유와 광물성 연료, 기계기구 등이 많았다.
10월까지 누적 수출액은 약 2910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1% 감소했다.
그러나 9월과 10월에 플러스 성장을 달성한 만큼 하반기에는 회복세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정부와 세계은행 등은 올해 수출액이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그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삼성그룹은 베트남을 글로벌 전략 거점으로 삼고 있으며, 향후 20~30년 동안 베트남에서 가장 큰 외국인 투자기업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박학규 삼성그룹 최고재무책임자(CFO)는 10월 31일 오후 Phạm Minh Chính 총리를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박 CFO은 베트남의 양호한 사업 환경과 정부의 지원이 삼성그룹이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큰 힘이 됐다고 평가했다. 박 회장은 또 삼성그룹은 베트남을 중요한 글로벌 전략 거점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CFO은 "삼성그룹은 향후 20~30년 동안 베트남에서 가장 큰 외국인 투자 기업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2023년 9월까지 삼성은 480억 달러 이상의 매출과 약 420억 달러의 수출을 기록해 베트남의 무역액에 큰 기여를 했다.
총리는 삼성그룹의 베트남 투자 프로젝트의 신속한 전개, 수출 촉진, 기반 산업 육성, 일자리 창출이 베트남 경제 발전에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총리는 또 베트남 정부는 삼성그룹을 포함한 외국 기업이 베트남에서 장기적으로 안정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투자 환경 개선, 행정 개혁, 외자기업 우대 정책 마련을 중요하게 여긴다고 말했다.
아울러 총리는 정부와 국회는 '이익의 조화와 위험분담'의 정신에 따라 국제조약과 베트남 법령에 따라 현 상황에 맞는 정책을 조기에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총리는 앞으로도 삼성그룹이 하이테크, 전자 등 주력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여 베트남의 고급 인력 양성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삼성그룹이 베트남을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주요 제품의 연구개발 및 생산기지로 계속 중시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 CFO은 삼성그룹은 앞으로도 베트남과 함께 할 것을 약속하며, 세계 경제가 침체된 상황에서도 베트남 경제가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다고 믿는다며, 베트남 경제가 새로운 단계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그룹은 지금까지 베트남에 180억 달러를 투자했으며, 이를 200억 달러까지 늘릴 계획이다. 하노이에 위치한 삼성의 R&D 센터는 더 많은 베트남 인재를 회사의 경영진에 채용할 수 있도록 인재 육성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다. 현재 이 R&D센터에는 2000명 이상의 엔지니어가 근무하고 있으며, 베트남의 산업 발전과 현지 조달율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의 13개 주요 산업단체가 노동자와 고용주의 사회보험료 납부율을 2009년 수준으로 되돌릴 것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단체에는 베트남섬유협회(VITAS), 베트남수산물수출생산자협회(VASEP) 등이 포함돼 있다.
현재 사회보험료 납부율은 근로자가 10.5%, 고용주가 21.5%로 총 32%이다.
이 납부율은 다른 많은 국가와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라는 지적이 있는데, 말레이시아는 16.5%, 인도는 15.25%, 인도네시아는 10.26%이다.
이에 13개 업계 단체는 근로자 사회보험료 납부율을 5%, 고용주 납부율을 15%로 낮출 것을 제안했다.
실업보험료와 관련해서도 현재 실업보험 기금이 과도하게 남아 있기 때문에 근로자와 고용주의 실업보험료 납부율을 0.5%로 낮춰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또한 의료보험료에 대해서는 근로자가 1%, 고용주가 2%를 부담하는 형태로 제안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천연가스·액화석유가스(LPG) 공급 최대기업 페트로베트남가스(PV Gas)는 최근 동남부 지방 바리아 타우성 Cai Mep 공단 내에서 국내 최대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 수입기지 준공식을 개최했다.
저장시설 수용능력은 18만 ㎥, 연간 수용능력은 100만t.향후 전개하는 제2기에 증설을 실시해 연간 수입능력을 300만t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며, 2027년에 완성될 전망이다. 동 LNG 수입기지에는 저장 시설외, 최대 10만 DWT의 LNG선을 받아들일 수 있는 LNG 수입항도 병설하고 있다.
이 안건은 2019년 10월 착공해 총 투자금액은 3억 달러이다. 페트로베트남가스가 투자주로 한국삼성물산(Samsung C&T)과 베트남 Petrovietnam Technical Services Corporation(PTSC) 공동사업체가 각각 시공사로 참여하고 있다.
앞서 지난 7월 인도네시아 Bontang항에서 7만t의 LNG를 실은 LNG선 'Maran Gas Achilles'(그리스 국적)가 LNG 수입기지 내 LNG 수입항에 도착했다. LNG가 베트남에 수입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수입된 LNG는 PV Gas가 영국 석유 대기업 셸(Shell)로부터 구입한 것이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통계총국(GSO)이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1~10월기 전국에서 신규 설립된 기업은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한 13만1777개사, 등록 자본금 합계는 동 12.1% 감소한 1212조6200억 VND였다.
동기간에 있어서의 1사당의 등록 자본금의 평균은 동 16.1%감소한 92억 VND.
동기에 사업을 재개한 기업은 전년 동기비 1.5%감소한 5만1861사. 또 같은 해 일시 휴업한 기업은 동 22.1% 증가한 8만 1086사, 해산 수속중인 기업은 동 25.9% 증가한 5만 0735사, 해산한 기업은 동 4.5% 감소한 1만 4729사를 기록했다.
지난 10월 신규 설립된 기업은 전월 대비 21.7% 증가, 전년 동월 대비로는 18.5% 증가한 1만 5435개사, 등록자본금 합계는 전월 대비 7.4% 증가, 전년 동월 대비 17.7% 증가한 125조8440억 VND였다.동월에 있어서의 1사당의 등록 자본금의 평균은 전월대비 11.7% 감소, 전년동월대비 0.6% 감소한 82억 VND.
또, 동월에 사업을 재개한 기업은 전월대비 3.1%감소, 전년동월대비 44.2% 증가한 5630사였다. 일시 휴업한 기업은 전월대비 33.4%, 전년동월대비 35.6% 증가한 5501개사. 해산 수속중의 기업은 전월대비 7.1%감소, 전년동월대비 16.6% 증가한 4898사. 해산한 기업은 전월대비 4.2% 증가, 전년동월대비 6.3%감소한 1501사가 되고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남중부 해안지방 다낭시 투자유치지원위원회와 베트남혁신네트워크코리아(VINK) 등의 공동주최로 26일 다낭시에서 인공지능(AI) 관련 세미나가 열려 '베트남한국AI센터(VKAI Hub)' 설립이 발표됐다.
이 센터는 VINK와 한국 AI협회(KORAIA), Hekate가 다낭시에 건립한다. 설립 목적은 KORAIA 프로그램에 따른 AI 전문 연수 과정 개설, 한국과 베트남 대학 및 기업 연계를 통한 AI 기술 등 연구개발 협력, 한국 AI 기업 등 다낭시 투자 유치, 다낭시 AI 개발사 대상 AI 관련 프로젝트 등 4가지를 내걸었다.
VINK의 Nguyen Quang Hooc 소장은 "우리는 베트남 한국 AI 센터를 한국과 베트남, 특히 다낭시와의 AI 분야 개발 협력의 가교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기회에 베트남한국AI센터는 다낭시 파트너 기관과 AI 프로젝트 관련 5건의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협력 협약은 글로벌 생태계 구축 협력과 의료-공중보건 분야 협력 등으로 이뤄져 있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베트남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9월 석유-휘발유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23.1% 증가한 약 800만 입방미터, 수입액은 2.4% 감소한 약 66억5000만 달러, 9월 한 달간 수입량은 전월 대비 24.7% 감소한 약 8263만3000입방미터, 수입액은 21% 감소한 약 7억8300만 달러로 집계됐다.
1입방미터당 수입가격은 9월 한 달간 약 948달러로 전월 대비 4.8% 상승, 전년 동기 대비 2.4% 하락했다. 연초 9개월 평균은 약 829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0.7% 하락했다. 주요 수입처는 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가 1~9월 총 수입량의 81%를 차지했다.
1위는 한국으로 9월 한 달 동안 한국으로부터의 수입량은 약 35만 5540입방미터, 수입액은 약 3억 3300만 달러이다. 올해 1~9월 한국으로부터의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29.1% 증가한 약 330만 입방미터(전체의 41.1%), 수입액은 1.6% 감소한 약 27억 달러였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Võ Văn Thưởng 국가주석은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을 만나 중국의 베트남에 대한 대규모 프로젝트 투자를 촉진해 줄 것을 요청했다.
외무부 성명에 따르면, 국가주석은 10월 19일 일대일로 포럼에 참석했을 때 베이징에서 중국 총서기를 만나 베트남과 중국은 같은 정치체제를 가진 가까운 이웃 국가로 사회주의 건설을 위한 목표와 길을 같이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Thưởng 국가주석은 베트남은 중국과의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강화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중시하고 있으며, 이는 베트남의 자주적이고 독립적인 전방위적 외교의 최우선 전략적 선택사항이라고 말했다.
또한 국가주석은 중국이 베트남 농산물 수입을 확대하고 중국의 국력에 걸맞는 대규모 프로젝트와 관련해 베트남에 대한 투자를 강화할 것을 제안했으며 주석은 양국이 도로, 철도 등 인프라 개발 협력을 강화하고, 디지털 경제 협력을 촉진하며, 디지털 인재와 디지털 인프라 역량 강화에 힘쓰고, 양국의 장기적인 우호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문화 교류와 민간 교류를 확대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국가주석은 또 양국 국민의 이익과 평화, 지역 발전과 협력을 위해 유엔헌장과 국제법에 따라 양국 간 이견과 문제를 적절히 관리하고 해결해 나가자고 당부했다.
중국 총리는 베트남과 중국은 서로에게 중요한 이웃나라이며 광범위한 공동이익을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중국은 항상 베트남을 이웃나라 외교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국가로 간주하고 있으며, 베트남과의 전략적 교류를 강화하고 양국 공산당 관계를 강화하며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양국 관계의 발전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총리는 양국의 교류 활동을 강화하고 경제-무역 협력 확대, 교통 인프라 연결, 디지털 경제 분야에서의 협력을 촉진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중국 기업의 베트남 투자 확대를 장려하고 양국 관계 발전에 적극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Võ Văn Thưởng 국가주석은 제3회 일대일로 국제협력 정상포럼에 참석하기 위해 중국을 방문했다.
베트남과 중국의 관계는 전반적으로 발전 추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많은 성과를 거두었으며, 특히 지난해 말 Nguyễn Phú Trọng 총서기의 중국 방문 이후 이러한 추세가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2022년 양국의 무역액은 전년 대비 5.47% 증가한 1750억 달러 이상에 달했다. 베트남은 여전히 중국의 아세안 최대 교역 상대국이며, 세계 전체로 보면 미국, 일본, 한국에 이어 4번째로 큰 교역국이다.
2023년 1월부터 9월까지 중국의 투자 프로젝트는 478건, 투자금액은 21억 달러에 육박해 싱가포르에 이어 베트남에 대한 투자국 중 2위를 차지했다. 누적 기준으로 중국은 베트남에 투자한 세계 144개 국가와 지역 중 6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투자 프로젝트 수는 4000개를 넘어섰고 등록 자본금은 260억 달러 이상이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