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찌민과 하노이 소비자 어떻게 다른가
- 하노이에 비해 호찌민 소비자 다소 충동구매 성향 있어 -
- 고급제품은 하노이시장을 먼저 공략하는 것이 유리 –
□ 주요 통계
|
구분 |
호찌민 |
하노이 |
|
소비자 수 |
740만 명 |
660만 명 |
|
여성 소비자 비율(%) |
52.7% |
51.5% |
|
남성 소비자 비율(%) |
47.3% |
48.5% |
|
노동인구 비율(%) |
50.1% |
53.1% |
|
월 소득 50만 동 미만 가구(%) |
0.3% |
5.3% |
|
월 평균 소득 |
270만 동 |
200만 동 |
|
전체 베트남 GDP 기여도(%) |
20.9% |
12.5% |
|
대형마켓 수 |
82% |
49% |
|
가구당 냉․난방기 보유 비율(%) |
13% |
43% |
|
인터넷 사용 비율(%) |
19% |
26% |
|
핸드폰 보급 비율(%) |
51% |
74% |
|
노트북 보유 희망 비율(%) |
14% |
25% |
|
프리미엄 선호 비율(%) |
48% |
71% |
|
할인 선호 비율(%) |
28% |
55% |
자료원: 2010년, 통계사무소
□ Nielsen Vietnam 주관 설문조사 결과(1000명 대상)
○ 주요 관심사항
|
순위 |
호찌민 |
하노이 |
|
1위 |
건강 |
식품 값 인상 |
|
2위 |
세금인상 |
고용보장 |
|
3위 |
고용보장 |
세금인상 |
|
4위 |
일과 생활의 균형 |
기름 값 인상 |
|
5위 |
부채 |
아동복지 |
○ 구매결정시 누구의 영향을 받는가?
|
영향 |
호찌민 |
하노이 |
|
가족 추천 |
94% |
99% |
|
친구 추천 |
71% |
91% |
|
동료 추천 |
52% |
83% |
|
이웃 추천 |
42% |
94% |
|
제조업자·유통업자· 인터넷 쇼핑업자· 포럼 |
22% |
100% |
|
인터넷 및 웹을 통한 정보 비교 |
22% |
95% |
|
광고 |
41% |
91% |
○ 구체적인 구매방법은?
|
구매결정 방법 |
호찌민 |
하노이 |
|
다른 사람 취향을 참조하지만 자신에 맞는 물건 구매 |
62% |
92% |
|
혼자만의 결정 두려워 다른 사람 취향 참조․구매 |
45% |
65% |
|
다른 사람이 보유한 옷이나 같은 옷 구매 안함 |
35% |
62% |
|
튀는 물품 구매 |
24% |
40% |
○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고 구매하고 싶은 주요 목록 리스트
|
호찌민 |
하노이 |
|
핸드폰 |
가전제품 |
|
유행 |
자동차 |
|
LCD TV |
음식 |
|
세탁기 |
음료 |
|
에어컨 |
약 |
|
|
금융서비스 |
|
|
가정용품 |
○ 명품에 대한 선호도 조사결과
|
|
호찌민 |
하노이 |
|
진품 선호 |
85% |
95% |
|
제품 질 선호 |
84% |
98% |
|
싸고 오래가는 제품 선호 |
79% |
94% |
○ 소득이 적더라도 무리해서 비싼 제품을 사는 품목은?
|
|
호찌민 |
하노이 |
|
샤워용품 |
24% |
38% |
|
화장품 |
14% |
26% |
|
분유 |
28% |
45% |
|
핸드폰 |
45% |
72% |
□ 호찌민과 하노이 소비자들의 주요 차이점
○ 인식적 측면에서 많은 차이가 있음.
|
구분 |
호찌민 |
하노이 |
|
부자에 대한 인식 |
돈을 많이 쓰는 사람 |
토지, 금, 차 등 많은 돈이 되는 것을 가진 사람 |
|
개념 |
개인주의: 다른 사람을 신경 쓰지 않고 자신만 즐김 |
집단주의: 다른 사람들의 눈을 의식 |
|
삶의 방식 |
현재지향: 저금률 낮음, 단기적으로 생각 |
미래지향:저금률 높음, 장기적으로 생각 |
|
소비자 관심 |
외관과 상태에 적은 관심 |
외관과 상태에 많은 관심 |
○ 이에 따라 소비행태 역시 다음과 같은 차이를 보임.
|
호찌민 |
하노이 |
|
- 개인주의: 자신의 필요보다는 남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소비 |
- 집단주의: 주로 자신에게 필요한 상품 구매 |
|
- 10을 벌면 11을 씀 |
- 10을 벌면 1을 씀 |
|
- 소비 많음, 중산품 선호 |
- 소비 적음, 하지만 고급 제품 선호 |
|
- 새로운 상품 추세에 쉽게 따라감. |
- 잘 알려진 상품에 충실 |
|
- 충동 구매:자신의 욕구 충족을 위해 다른 사람의 의견은 신경 안 씀. |
- 신중구매:소비를 하기 전 상품에 대한 정보를 많이 찾아 봄. |
○ 호찌민이 개인주의라면 하노이는 집단주의라 할 수 있음.
|
개인주의(호찌민) |
집단주의(하노이) |
|
- 자신이외의 것은 신경 안 씀 |
- 자기 생각을 먼저 함. |
|
- 필요는 즉시 구매로 이어짐. |
- 구매 전 신중히 미래를 생각함. |
|
- 내일 걱정 오늘 안함. |
- 구매 전 상품에 대해 재확인 함. |
|
- 다른 의견은 무시 |
- 구매 전 다른 사람의 의견을 물음. |
|
- 새로운 브랜드 선호 |
- 익숙한 브랜드 선호 |
□ 시사점
○ 프리미엄 제품은 하노이를 먼저 공략할 것
- 하노이 소비자들은 외관을 중요시하며 광고의 영향을 많이 받음.
웅진 코웨이 하노이 시장공략 판촉전 현장(2011년 11월)

○ 아동복지는 하노이 소비자의 최대 관심사
- 전통적으로 하노이는 우유, 기저귀, 패션 등 아동복지 관련제품의 공급업체에 ‘약속의 땅‘으로 인식
- 베트남에서 남양과 보소미는 분유와 기저기의 유일한 한국 브랜드
- 일본(와카도, 메지, 모리가나, 군, 마미포코 등)과 미국(Mead Johnson, Abbott, Insulac, Pampers, Huggies 등), 유럽연합(Hipp, Nestle, Dumex 등) 등과 경쟁 중
○ 호찌민 소비자는 충동구매 경향이 다소 있으며 하노이에 비해 중저가 제품 선호
- 따라서 품질과 가격경쟁력을 모두 갖춘 대만 제품과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됨.
○ 호찌민 소비자의 제일 큰 관심사는 건강
- 한국의 기능성 식품과 피로회복제 등 진출 가능성 있음.
자료원: Nielsen Vietnam, 코트라 호찌민 무역관 종합
개인 소득이나 경제력은 호치민이 우위인데, 소비력은 하노이가 앞서네요~
| 번호 | 분류 | 제목 | 날짜 | |
|---|---|---|---|---|
| 공지 | 베트남 투자시 반드시 알아야 할 14가지 사항(KOTRA 자료) | |||
| 669 | 베트남에서의 대표사무소, 지사의 차이점 | 2013.04.08 | ||
| 668 | 베트남, 인터넷 쇼핑몰 시작하기 | 2019.10.24 | ||
| 667 | 2025년 5월 10일부터 적용되는 베트남 전기요금 | 2025.05.10 | ||
| 666 |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의 신흥 강자, 소셜 커머스(Social Commerce) | 2023.06.27 | ||
| 665 | 베트남 전자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사업 분야 관련 법령 개정 및 규제 사항 | 2023.06.24 | ||
| 664 | 베트남 외식프랜차이즈 산업 진출하기 | 2013.05.28 | ||
| 663 | 아포스티유(apostille)란 | 2015.03.30 | ||
| 662 | 2021 베트남 산업 개관 | 2021.09.27 | ||
| 661 | 베트남, 수출세 부과 절차 및 유의사항 | 2021.09.27 | ||
| 660 | 베트남 관세 환급에 대한 이해 [호치민무역관 자료] | 2021.08.30 | ||
| 659 | 베트남 지식재산권 종류 및 침해 시 대응방안 | 2021.08.23 | ||
| 658 | 베트남 소프트웨어시장 동향 | 2021.08.19 | ||
| 657 | 백신 수급으로 재조명되는 베트남의 콜드체인산업 | 2021.08.02 | ||
| 656 | 베트남, 내국수출입제도와 면세 활용 | 2021.07.26 | ||
| 655 | 베트남 시장 및 소비자 특성 | 2021.07.21 | ||
| 654 | 베트남, 한국과의 국교 수립 및 협정 현황 | 2021.07.21 | ||
| 653 | 베트남 외국인 투자환경(kotra) | 2021.07.21 | ||
| 652 |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 사회보험 의무가입 | 2021.07.09 | ||
| 651 | 베트남 식품 수입 절차와 검역 | 2021.07.09 | ||
| 650 | 프랜차이즈 베트남 진출 | 2021.06.07 | ||
















하노이 사람들의 소비력도 상당한 것 같은데요... 호텔에서 생활하다보면 한국인인 제가 생각해도
돈 씀씀이가 엄청남을 느낌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