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의 국교 수립 및 협정 현황

 

국교 수립일 : 1992년 12월 22일 (자료원 : 한국 외교부)

협정 발효 현황

 

협정명 발효일자 발효내용 비고
한국-베트남 외교관계 수립 1992년 12월 22일 없음  
경제 및 기술협력 협정 1993년 02월 01일 없음  
투자 증진 및 보호에 관한 협정 1993년 05월 01일 없음 2003년 개정
이중과세방지협정 1994년 05월 01일 없음 2014년 개정
문화협력협정 1994년 08월 01일 없음  
세관협력협정 1995년 03월 01일 없음  
해상운송협정 1995년 04월 01일 없음  
과학 및 기술협력협정 1995년 04월 01일 없음  
대외경제협력기금 차관에 관한 협정 1995년 04월 01일 없음  
원자력 평화이용 연구협정 1996년 11월 01일 없음  
관광분야 협력협정 2002년 12월 01일 없음  
무상원조 및 기술협력 협정 2005년 04월 01일 없음  
한국-ASEAN FTA 발효 2007년 06월 01일 없음  
안전보건기술협력협정 체결 2009년 10월 21일 없음  
군사정보보호 협력 약정 2014년 07월 01일 없음  
한-베트남 농업분야 교류협력 촉진 협력 약정 2015년 01월 01일 없음  
한국-베트남 FTA 발효 2015년 12월 20일 없음  
2017 APEC 정상회의 2017년 11월 01일 없음 베트남 다낭시 개최, 문재인 대통령 참석
한-베트남 정상회담 2018년 03월 23일 한-베트남 미래 지향공동선언문 채택 문재인 대통령 베트남 국빈방문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2019년 11월 25일 이중과세방지 협정 개정의정서, KOTRA-VIETRATDE 협력 양해각서 응웬쑤언푹(Nguyen Xuan Phuc) 총리 한국 방한
코로나19 아세안+3 특별정상회의 2020년 04월 14일 코로나19에 대한 아세안+3 특별 화상 정상회의 공동성명 채택 ASEAN 회원국, 한·중·일 정상 화상 회의
응웬쑤언푹 총리가 아세안 의장 자격으로 주재
제 2차 한-메콩 정상회의(화상) 2020년 11월 13일 한국과 메콩 5개국(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태국, 캄보디아)의 협력 관계가 동반자 관계에서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될 것을 제안 → 정상 전원 적극 지지 의사 밝힘. 원래 2차 한-메콩 정상회의는 베트남에서 개최 예정됐으나, 코로나19로 인해 화상회의로 진행됨.
제 1차 한-메콩 정상회의 2019년 11월 27일 한강-메콩상 선언
(ICT, 인프라, 문화-관광, 환경, 농촌 등), 2021년을 한-메콩 교류의 해로 지정, 한-메콩 정상회의 정례화 합의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태국, 캄보디아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체결 2020년 11월 15일 아세안(ASEAN) 10개국 및 한·중·일·호주·뉴질랜드 등 아태지역 15개국간 자유무역협정 인구 36억명, 무역규모 10조1300억달러, 명목GDP(국민총생산) 기준 세계경제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세계최대의 자유무역협정.

한국교민 수 : 172,684 명 (자료원 : 한국 외교부(2019년)) 

출처ㅣ KOTRA(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