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베트남 투자 컨설팅,법인설립,공장설립

프랜차이즈 베트남 진출, 방법을 바꾸면 아직 기회는 있다
2021-05-28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박경철

- 기존 로열티 계약 방법으론 성공하기 힘들어 -

- 현지 유명기업들 자체 브랜드로 프랜차이즈 서비스 강화 -

 

 

 

베트남은 2007년 WTO에 가입하면서 해외에 시장을 개방했다. 개방 당시 ‘프랜차이즈’라는 사업 분야는 베트남에서는 생소했다. 그러나 15년이 지난 베트남은 과거와 많이 다르다. 생소했던 사업이던 ‘프랜차이즈 사업’이 나날이 번창하고 있다. 롯데리아와 뚜레쥬르와 같이 한국 대기업 브랜드는 현지 시장을 선도하고 현지 대중에게 익숙한 이름으로 자리잡은 반면, 우리 중소기업 브랜드의 이 같은 성공 사례는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베트남은 변했는데 중소기업의 전략은 15년 전과 크게 달라진 것이 없기 때문이다. 지금이라도 베트남에 맞는 전략을 세우고 경쟁력을 갖춘다면 아직 중소기업에도 베트남 프랜차이즈 시장은 열려있다.

 

베트남 프랜차이즈 현황

 

최근 베트남은 카페, 어학원, 키즈카페, 식당 등 다양한 분야에서 프랜차이즈 산업이 성장이 엿보인다. 이 가운데 특히 외식업 브랜드의 진출이 돋보이는데 Burger King, McDonald's, Starbucks, Baskin-Robbins 등 글로벌 기업들의 사업 확장이 점진 가속화되고 있다. 한편, 우리 기업들의 경우 현지 협력업체를 통해서 베트남 시장에 진출한 중소기업의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소수에 불과하며 대기업 위주로 직접 투자를 통한 진출이 대부분이라는 특징이 있다. 주요 업종별 프랜차이즈 사업 현황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다.

 

1) 외식업

 

베트남 로컬 기업이 한국 국가 이미지를 활용한 브랜드를 만들고 이 브랜드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기 위해 한국인 전문가를 채용하기도 한다. 베트남에서 유명하지 않거나 특수한 특성이 없는 중소 브랜드는 점점 시장 진입이 어려운 환경이 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현지 외식업은 오프라인 매장을 축소하거나 최대한 유지하는 동시에 배달 서비스를 확대하는 방식으로 사업 모델의 변화가 관찰된다.

  주: 베트남도 배달의 민족! (클릭 시 해당 페이지 이동)

 

2) 교육업

 

베트남에서 교육사업 중에서는 특히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 학원 분야가 유망하다. 유명한 외국계 교육 사업 브랜드는 ila, UFC, VUS 등이 있으며 현지 자생 브랜드 RiSE, Super Youth Language school, BK English 등도 외국어 교육 인기를 따라 시장에 등장했다.

  주: 베트남 사교육 1순위, 영어교육

 

3) 한국계 진출 기업

 

베트남 진출 한국의 유명 프랜차이즈는 외식업종 비중이 특히 높다. 롯데리아, 뚜레주르, 파리바게트, 본촌, 본가, 두끼, 청년다방 등이 베트남에 진출했으며 그외에도 교육 분야는 눈높이 교육과 청담러닝, 놀이 시설은 플레이타임 등이 베트남에서 사업을 운영 중이다.

  주: 베트남에서 인지도 높은 우리 브랜드는?

 

베트남 유명 프랜차이즈 기업

 

베트남의 주요 프랜차이즈 계약 기업

기업

설립연도

주요 브랜드(지점 수)

비고

Golden Gate

external_image

2005년

Ashima(9), Gogi House(128), Kichi Kichi(103), Hutong(23), Manwah(39), Ktop(6), Sumo BBQ(20), Kpub(21), iSushi(11), Daruma(4), ShoGun(4), Vuvuzela(7), Cowboy Jack's(7), Chili's(1), Yu Tang(9), 37 Street(3), Crystal Jade(9)

  · Gogi House와 Cowboy Jack’s는 그 이름 하 특정 품목만 취급하는 또다른 브랜드들이 있음.

 - 현지 기업명: Công ty C phn Thương mi Dch v Cng Vàng

 - 베트남 내 외식산업 체인 사업 모델 운영 기업 중 최대 규모 (현지 63개 시·성 중 45개 지역에 400여개 지점 확보)

 - 21개 다국적 음식 취급 외식 브랜드 운영

 - 해당 기업이 운영하는 Gogi House, Ktop, Kpub은 한식당임. 일부 현지 소비자들은 이 식당 브랜드를 한국 것으로 인식하기도 함. (참고 글: 한국어 간판의 인기 한식당, 주인은 베트남인)

Red Sun

external_image

2008년

King BBQ(82), SeoulGarden(7), Capricciosa(4), ThaiExpress(12), Hotpot Story(44), SushiKei(14), BukBuk(8), Tasaki BBQ(7), Meiwei(9), Dolpan sam(5), Khao Lao(18), Truly Viet(2), Octopus King(1)

 - 현지 기업명: C phn Đầu tư Thương mi Quc tế Mt Tri Đỏ

 - 13개 다국적 음식 취급 외식 브랜드 운영

 - King BBQ, Seoul Garden, Buk Buk, Dolpan sam, Octopus King은 한식

IPPG

external_image

1986년

 - DAFC(패션 명품): Rolex, Cartier, Balmain, Burberry 등

 - ACFC & CMFC(중고가 의류): Fitflop, GAP, Levi’s, Mango, Nike 등

 - 외식업: Bánh Mì Kp(2), Big Bowl(5), Burger King(9), Domino's Pizza(42), Espresso To Go(4), Popeyes(34), Go(1), Kaisha Sushi(1), Next Noodles(1), Saigon Café/Bar/Kitchen(1), Saigon La Poste(1), Star Café(5), Thai Village(2)

 - 공항 면세점 5개 지점

 - IPP Galleria(해당 기업이 취급하는 브랜드들로 구성된 쇼핑몰 사업) 10개 지점

 - IPP Leaf(담배) : Vinataba

 - IPP Spirits(술): Belvedere, Bruichladdich, Cape Mentelle, Chandon. Cheval des Andes, Cloudy Bay, Cointreau, Dom Perignon, Hennessy, Krug, Louis XIII, Mount Gay Black Barrel, Remy Martin, ST Remy, Terrazas de los Andes, The Botanist Islay Dry Gin, Veuve Clicquot

 - IP Tech(IT소싱): DigiWorld

 - 현지 기업명: Tp đoàn Liên Thái Bình Dương

 - 고가의 패션 명품, 면세점 사업이 주류

 - IPPG는 일종의 지주회사로, 그 아래 각 산업별(패션, 외식, IT기술 공급 등) 운영기업들이 존재

 - 현시점 계약 맺은 한국 브랜드는 없음.

자료: KOTRA 호치민 무역관 취합

 

상기 기업들은 우리 기업들이 특히 선호하는 베트남 유명 기업들이지만, 자체 브랜드 강화에 관심이 많아 한국의 중소기업과 협력은 쉽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현지 사정의 변화로 쉽고 간단한 방법으로 진출하기는 어려워진 상황인 한편, 일부 우리 중소기업들은 아직 이전 진출 방식을 고수하기도 한다. (이전 진출 방식이란 마스터 프랜차이즈를 통한 로열티 또는 매출액 대비 수수료를 정해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 모델을 의미한다.)

 

진출 방식별 장단점 요약

 

1) 직접 진출 방식과 장단점

 

이는 성공적인 모델 창출 후 가맹점 모집 혹은 기업 판매 후 합작 진출하는 방안이다. 가맹점을 원하는 기업은 현실적인 매출액 등 현지 반응을 보고 가맹을 할지 여부를 판단하곤 한다. 그러나 최소 현지에서 1년 이상 영업 후에 가맹점 모집이 가능하며 행정적으로 비우호적인 환경으로 기업 운영에 난항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관련해 현지 진출 기업 관계자는 “현지 상황을 모르면 운영에 어려움이 크며 베트남 직원들은 쉽게 이직하는 경향이 커서 인력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KOTRA 호치민 무역관에 경험을 공유하기도 했다.

 

2) 현지기업과 합작 방식과 장단점

 

직접 진출을 통해 사업 진행 시 가맹점 모집이 어려운 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현지 기업과 합작하여 진출하면 상대적으로 시장진출 및 법적 제재에서 자유롭다. 상대 기업과 정확히 투자방법, 예산, 업무분장을 정확히 계약서에 명시하고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사업 진행 후 문제 발생 시 해결이 어려울 수 있으며 노하우나 시스템이 중요한 사업일 경우 도용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유의해야 한다.

 

3) 로열티 계약을 통한 간접 진출 방식과 장단점

 

현지 전문기업들은 한국식 프랜차이즈의 수요가 있음을 알고 자체적으로 한국식 브랜드를 론칭하고 있어 한국 프랜차이즈를 로열티 계약으로 수입하는 형태에 크게 관심이 적다. 로열티를 통한 수익 창출을 하고자 한다면 탄력적이고 파격적인 조건이 있어야 한다. 가령 한국 기업이 계획하고 있던 로열티 10만 달러라고 예를 들면, 이를 과감이 포기하고 다른 방법으로 수익 창출을 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높게 책정한 로열티는 유명한 브랜드거나 현지에서 매출이 증명된 브랜드가 협상 가능한 선택지이다.

 

시사점

 

결국, 베트남 주요 프랜차이즈 기업들과는 협업이 쉽지 않은 환경이므로, 직접 진출을 통한 브랜드 인지도 향상과 매출의 안정성 확보가 필요하며 추후 가맹점을 늘려가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또한 현지 로컬 기업이 할 수 없는 인테리어, 선진화된 서비스, 자체 시스템, 로열티 삭제 또는 합리적인 가격 등의 요소를 통한 차별화 전략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외식업 프랜차이즈는 소스 공급이나 중간 식자재 공급 독점으로 수익 창출이 가능하므로 초기 로열티 계약으로 접근하면 협력이 쉽지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베트남 현지 경쟁사들 사이에서 차별화를 구축하지 못한다면, 현지 기업들이 론칭한 한국식 신규 브랜드 경쟁이 매우 치열한 환경임을 유의해야 한다. 현지 기업과 구분되는 차별화는 필수이며 강점이 없다면 그만큼 시장 진출에 장벽이 높아질 수 밖에 없음을 염두에 둬야 한다. 아울러, 현지 시장에 적합한 가격과 제품군 준비가 요구된다.

 

 

자료: KOTRA 호치민 무역관 자료 종합

번호 분류 제목 날짜
공지 참고자료 베트남 투자시 반드시 알아야 할 14가지 사항(KOTRA 자료)
669 참고자료 베트남에서의 대표사무소, 지사의 차이점 2013.04.08
668 행정법률 베트남, 인터넷 쇼핑몰 시작하기 2019.10.24
667 참고자료 2025년 5월 10일부터 적용되는 베트남 전기요금 2025.05.10
666 KOTRA자료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의 신흥 강자, 소셜 커머스(Social Commerce) 2023.06.27
665 KOTRA자료 베트남 전자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사업 분야 관련 법령 개정 및 규제 사항 2023.06.24
664 시행정책 베트남 외식프랜차이즈 산업 진출하기 2013.05.28
663 참고자료 아포스티유(apostille)란 2015.03.30
662 KOTRA자료 2021 베트남 산업 개관 2021.09.27
661 KOTRA자료 베트남, 수출세 부과 절차 및 유의사항 2021.09.27
660 KOTRA자료 베트남 관세 환급에 대한 이해 [호치민무역관 자료] 2021.08.30
659 KOTRA자료 베트남 지식재산권 종류 및 침해 시 대응방안 2021.08.23
658 KOTRA자료 베트남 소프트웨어시장 동향 2021.08.19
657 KOTRA자료 백신 수급으로 재조명되는 베트남의 콜드체인산업 2021.08.02
656 KOTRA자료 베트남, 내국수출입제도와 면세 활용 2021.07.26
655 KOTRA자료 베트남 시장 및 소비자 특성 2021.07.21
654 KOTRA자료 베트남, 한국과의 국교 수립 및 협정 현황 2021.07.21
653 투자환경 베트남 외국인 투자환경(kotra) 2021.07.21
652 KOTRA자료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 사회보험 의무가입 2021.07.09
651 KOTRA자료 베트남 식품 수입 절차와 검역 2021.07.09
» KOTRA자료 프랜차이즈 베트남 진출 2021.06.07

본 글의 저작권은 'VINAHANIN CO.,LTD'에 있으며 무단복제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
비나한인 안내  info..
===================================
베트남 창업 법인설립, 지분인수 경영 제반 컨설팅
지사 대표사무소 설립, 법인형태 법인장 주소 업종 변경 
공장 이전, 부지 임대공장 입지선정, 부동산 컨설팅 제공

 법인설립 입지선정 등 진출 준비부터 사후 경영 관리까지 일괄 컨설팅 서비스 제공 

베트남 관련 동일업종 업력 15년 이상에 걸쳐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일관성 있는 선제적 컨설팅 제공과 전문 변호사, 법률행정 전문 통/번역 요원, 한국인 전문가 상주로 인한 완벽한 커뮤니케이션으로 최소의 시간과 비용으로 최선의 결과치 도출을 기대할 수 있고 검증된 베트남 투자 진출 창업 전문 컨설팅 업체 'VINAHANIN CO.,LTD' 입니다..
-공식 홈페이지: www.vinahanin.com
-베트남 법인설립 절차 안내: 바로가기

상담/문의
-업무 시간: AM8 ~ PM5(베트남 현지 시간)
-베트남(국가번호 +84)

0909 194 181 (한국어/일어)
028 6681 0114 (베트남어/영어)

- 이메일:  viethoasong@gmail.com (실시간 체크)
- 카카오톡 ID: vinahanin (무료 직통 통화 가능)
- 카톡 상담 시간: AM7 ~ PM7(베트남 현지 시간)
(휴무일 카톡 상담, 부동산 안내 가능)
- 24 시간 온라인 상담 등록: 바로가기

 

언제 어디서나 카톡 '바로상담'..!
비나한인 카톡 QR코드

비나한인 카톡 QR CODE

 

상담/문의 등록

※문의 등록 관련, 베트남 현지 지사 법인설립, 공장설립, 대표사무소, 공장부지 입지 선정 등 비나한인 업무와 관련된 문의 내용에만 회신드립니다.

 

간단한 문의 내용 보내기
Message
  • (내용 보기)
    개인정보 이용 안내 Close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1.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문의에 사항에 대한 답변을 위한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습니다.
    2. 수집하려는 개인정보 항목
    -업체명(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본 '문의등록'의 경우 개인 정보 수집 이용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 됩니다.
제목
이름(회사명)
이메일
전화번호
분류
비밀번호
내용
베트남 법인설립 절차 준비서류
카톡 상담문의
Factory_tran.png

바로 문의/상담 등록

베트남 투자진출 관련 간단한 문의는 아래에 등록해 주시면 체크 후 회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법인설립, 공장설립 문의의 경우에는 기본 정보를 알아야 원하시는 답변을 드릴 수 있으니
'여기 클릭'  하여 등록해 주시면 이메일로 회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타 업체에서 진행한 결과에 대한 검증이나 후속 조치 등에 따른 문의 등, 업무 내용과 무관하거나 문의 내용에 따라 회신이 거부될 수도 있으며, 회신이 늦어질 경우에는
E-mail 주소 viethoasong@gmail.com
또는 카톡 무료 통화(ID: vinahanin)이나
전화 0909 194 181(베트남 +84)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각 항의 공백 부분을 한 번 클릭한 후 입력

간단한 문의 내용 보내기
Message
제목
이름(회사명)
이메일
전화번호
분류
비밀번호
내용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1.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문의에 답변을 위한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습니다.

 2. 수집하려는 개인정보의 항목
  -업체명(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본 '문의등록'의 경우 개인 정보 수집 이용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 됩니다.

Copyright VINAHANIN.com All rights reserved. Since 2006, E-MAIL: viethoasong@gmail.com. VINAHANIN CO.,LTD

ADD: 3F, VIETPHONE BUILDING, 64 Nguyen Dinh Chieu, Da Kao, Quan 1, Ho Chi Minh, VIETNAM.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