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유행을 계기로 국내 공업단지의 과제가 부각되어 왔다. 베트남 상공회의소(VCCI)의 Hoang Quang Phong 부회장은 “근로자의 급증이나 기업 요구의 변화에 대응할 수 없다”라고 지적했다.
신종 코로나의 유행 후 정부는 근로자의 감염 예방을 위해 공장 내에 종업원들을 숙박하도록 했다. 계획투자부 통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 61성·시에 575개의 공업단지가 있지만 설비 부족으로 많은 공장에서 이를 실현할 수 없었다. 사회의 변화는 공업단지에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게 되었다.
전문가는 공장 부지를 제공한다는 것만으로는 향후 공업단지는 발전할 수 없어 새로운 기능에 특화된 모델로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에서는 이미 주택과 병원, 학교를 통합한 공업단지가 정비되어 있다. 생활기반을 갖춘 다기능 공업단지는 기업의 진출을 촉구하는 것으로도 이어진다.
그러나 정책면에는 여러 가지 과제가 있다. 환경보호도 불가피한 주제 중 하나이다. 동나이성 연짝(Nhon Trach)의 연짝6 공업단지 책임자에 의하면 공업단지 개발에 있어 현재 환경에 대한 특별한 가이드라인은 존재하지 않는다.
환경 리스크는 대부분의 공업 단지에서 주택과 병원, 학교 진출의 장애가 되고 있다. 또한 산업단지 내에서는 자원의 재활용을 포함하여 산업폐기물이나 쓰레기의 처리를 인가업자와 계약해야 하며, 기업끼리 독자적으로 배출 삭감과 재활용을 위해 협력 한다고 한다. 그런 것은 할 수 없는 것도 애로 사항이 되고 있다.
코로나의 역경 속에 정부는 지금까지 인민위원회를 통해 공업단지 노동자의 거주지를 준비하거나 제조 현장과 사무실 지역 분리에 필요한 인프라를 제공하는 등 지원을 해왔다. 향후 공업단지의 보다 나은 발전을 목표로 하려면 진출기업의 요망을 들으면서 토지 이용방법과 인프라 등의 점에 대해 관련 법조문을 수정하고 보완해 나갈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s://www.vinahan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