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다란 잠재 가능성을 가진 베트남 신용카드 시장
신용카드 결제는 진보적인 기술이고 세계적으로 대중화되어 있는 금융결제 형식이지만 베트남 사람들에게는 아직까지도 많이 낯선 결제형식입니다. 2007년 1월 29일 비자인터내셔널과 AC닐슨에서 발표한 베트남 사람들의 금융결제 습관에 대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베트남에서는 현재 약 33만 개의 국제신용카드가 유통되고 있는데, 이는 베트남이 가진 잠재 가능성에 비하면 적은 수치입니다.
- 무한한 가능성
비자(Visa)의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지역 책임자 Mr. Stuart Tomlinson 은 신용카드 사용자격을 가진 사람이 하노이와 호치민시에만 약 120만 명에 이르며, 이는 베트남 시장의 커다란 잠재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게다가 은행 계좌를 개설하고 직불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사람도 약 1천50만 명이나 됩니다.
그는 또한, 베트남에서 발행되는 신용카드, 직불카드, 국제카드의 숫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말하면서, 비록 여전히 현금이 주요 결제수단이 되고 있긴 하지만, 이번 조사가 신용카드 사용에 대한 베트남 사람들의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1996년도만 해도 베트남에는 겨우 40만 명의 카드 사용자들이 있었지만, 2006년에는 그 숫자가 350만 명으로 크게 뛰어 올랐습니다.
이에 따라 카드결제도 확대되어서, 2002년부터 2006년 후반까지 카드로 결제한 거래금액이 2억 달러로 치솟았습니다. 특히 2006년도에는 외국 여행객들이 베트남에서 카드로 거래한 금액이 323%나 증가한 4억7백만 달러에 달했습니다.
한편, AC닐슨 사장 Mr. Chris Morley 은 베트남 사람들이 소비를 위해 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려쓰는 것에 익숙해지기 시작했다고 말했습니다. 하노이 사람들은 주로 자동차와 주택을 구입하기 위해 돈을 빌리는 반면, 호치민 사람들은 사업을 하기 위해서 돈을 빌립니다.
이러한 점들은 모두 잠재적 시장에서의 금융상품 발전을 위한 기본적인 토대가 되며,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베트남 사람들의 소득이라고 Mr. Chris Morley 는 덧붙였습니다. 월소득 700만동 (약 438달러)인 베트남 사람들이 2006년 전체 인구의 약 12%였던 것과 비교할 때, 2007년에는 18%, 그리고 2009년까지 약 25%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1996년 베트남에서 처음으로 비자신용카드를 발행한 비자의 경우, 베트남을 거대한 신용카드 시장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2005년 베트남에 첫 대표사무소를 오픈한 비자는 국영은행(Vietcombank, Incombank, Agribank, BIDV) 과 상업합작은행 (ACB, EAB, VP Bank, VIBank, Sacombank), 외국은행(ANZ Bank, Bangkok Bank, Citibank, HSBC) 을 포함한 17개 은행과 연계한 약 16만 개의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를 발행하였습니다.
비자는 68%의 시장점유율과 매년 70%에 이르는 성장률을 보이고 있지만, 전세계적으로 14억6천만 명,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만도 3억 명에 달하는 비자카드 사용자 숫자와 비교할 때 베트남의 카드 사용자 수가 매우 적음에 따라, 선불카드나 전문카드와 같은 다른 많은 형태의 카드를 발행할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 장애 요인
카드발행사들의 첫 번째 어려움은 베트남 사람들의 현금결제 습관입니다. 조사 결과, 카드사용 자격을 가진 사람들 중 상당수가 신용카드나 직불카드가 무엇인지도 모르고 있었습니다.
두 번째, 베트남은행들의 수용능력이 또 다른 한계 요인입니다. 베트남상업은행들은 소비대출에 대한 경험이 매우 부족합니다. 같은 동남아시아권인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태국에서 은행계좌를 가지고 있는 국민의 비율이 각각 95%, 55%, 46%에 이르는 것에 반해, 베트남 사람들은 전체 인구의 6%만이 은행계좌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상황을 고려할 때, 베트남은 신용카드 및 은행을 기반으로 한 지불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략이 시급히 필요합니다. 특히 이러한 필요성은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이후로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위한 활성화 전략들은 베트남의 금융 및 은행분야에 있어서도 하나의 기회가 될 것입니다. 출처 : Vietnam Business Forum
| 번호 | 분류 | 제목 | 날짜 |
|---|---|---|---|
| 687 | [호치민무역] 베트남, COVID-19 관련 기업 지원정책 주요 내용 | 2021.10.25 | |
| 686 | 2020년 베트남 경제, 2분기 부진을 4분기가 하드캐리 | 2020.12.28 | |
| 685 | 베트남 단기출장자 특별입국 절차 | 2020.12.28 | |
| 684 |
베트남 비료 시장동향
|
2019.12.28 | |
| 683 | [kotra 정보] 2017년 베트남 소비시장 핫트렌드 6 | 2017.11.05 | |
| 682 | [유망] 베트남 철강 시장동향(KOTRA 자료) | 2017.08.20 | |
| 681 |
세계에서 가장 매력적인 소매 시장에서 베트남 6위로 부상, 미국 A.T 커니 조사
|
2017.06.17 | |
| 680 | [유망] 베트남 소형가전 시장동향 | 2017.06.14 | |
| 679 | 베트남 시장 공략의 핵심 키워드는 프리미엄 | 2017.04.02 | |
| 678 | 베트남 젊은이들의 최신 소비 트렌드 따라잡기 | 2016.12.20 | |
| 677 |
중국발 통화 전쟁 우려 속에 베트남 동화의 앞날은?
|
2015.09.15 | |
| 676 | ‘생계형’에서 ‘자기만족형’ 소비로 이행하는 베트남 +1 | 2015.01.11 | |
| 675 |
떠오르는 베트남 온라인 쇼핑 및 전자상거래시장
+1 |
2014.12.27 | |
| 674 |
베트남 수산물 산업동향
|
2014.12.27 | |
| 673 | 베트남 국내 운송시장의 현황과 전망 | 2014.12.01 | |
| 672 |
베트남 식음료 소비패턴 변화, 한국 기업의 새로운 기회
|
2014.11.09 | |
| 671 |
버찌 팔아 2억 달러, 베트남과 중국의 국경무역 현주소
|
2014.07.30 | |
| 670 | 베트남, 원부자재 수입공급선 다변화 모색 | 2014.07.30 | |
| 669 | 하반기 베트남 경제, 중국과의 관계가 변수로 부상 | 2014.06.30 | |
| 668 |
베트남 섬유·의류산업 동향과 전망
|
2014.06.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