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은행산업 초고속성장 ’08년 40% 성장 전망
- 은행업에 대한 대기업 및 외국기업 진출 본격화 -
- 지점망 확충, ATM, 전자상거래 확대에 따른 관련 제품기기 폭발적 성장 전망 -
보고일자 : 2008.2.15.
박동욱 하노이무역관
shanepak@yahoo.com
□ 베트남 은행업 40% 높은 성장, 국영․민간 대기업 및 외국금융사 진출 본격화
○ 베트남 은행산업이 ’08년 40%의 높은 성장세가 전망되는 가운데 연평균 8.5%의 경제성장 및 기록적인 외국인투자 유입과 정부의 각종 금융제도 정비 및 개혁으로 베트남 금융산업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됨.
○ 베트남 정부의 부패방지 대책의 일환으로 추진중인 올 1월부터 시행예정인 공무원 및 공공기관 직원급여의 계좌이체 제도시행으로 은행고객이 60% 이상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ATM기 및 은행서비스 이용률 또한 지속적으로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 신용/직불 카드 보유자 추이
’02년 : 2만명→’03년 : 16만명→’04년 : 60만명→’05년 : 210만명
- '05년 민영상업은행 카드 부문 자산증가율 300%
- 전국적 영업망 확보를 위한 ATM 확장 급속화(ATM 신설추이)
’02년 : 200개→’03년 : 320 → ’04년 : 500개→ ’05년 :1,200개→ ’06년 : 2500개(추정)
○ 현재 베트남은 국영 상업은행이 전체 은행시장을 과점하고 있는 상황이며, 최근 민간은행 및 외국계 금융기관이 우후죽순으로 설립돼 소규모 은행이 난립하고 있는 상황임. 또한 다국적 금융기관인 HSBC, ANZ, Citibank 등 금년내 전국에 지점 확대계획을 추진중으로 향후 치열한 시장경쟁과 인수합병을 통한 은행산업 구조조정 또한 전망되고 있음.
- 2008년 1월기준, 현재 베트남의 은행산업 현황을 살펴보면,
|
국영상업은행 (5개) |
민영상업은행 (37개) |
외국합작투자은행 (5개) |
외국계은행 (28개 39지점) |
- 1개 예금 보험공사, 9개의 파이낸스기업(2개 외국계, 7개 국내)
- 12개의 리스기업 (3개 외국계, 9개 국내), 960개의 신용조합
○ 이같은 치열한 시장경합에도 불구하고 최근 베트남 대기업 및 외국계 기업의 진출이 더욱 활발해지는 추세이며, ’07년 11월 은행설립 허가를 신청한 총 20개의 기업중 4개 베트남 대형기업의 일반은행 설립 승인을 받았고 올 초 5개의 상업은행에 대한 허가 승인과 함께 한국 산업은행을 비롯한 5개 외국계 금융기관중 일부 기업의 영업허가가 전망되는 등 베트남 은행산업이 질적, 양적인 면에서 새로운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임.
- 대기업 일반은행 신청현황 (Petro Vietnam Bank, Bao Viet Bank, FPT Bank, Lien Viet Bank)
- 상업은행 신청현황: The Energy Commercial Bank, Asia Foreign Trade Commercial Bank, Bao Tin Commercial Bank, Indochina Commercial Bank, Star Commercial Bank
- 외국금융기업 신청현황: The Industrial Bank(한국), The Commonwealth Bank(호주), Fubon Bank(대만) 등
□ 베트남 금융산업의 특징 및 문제점
○ 베트남은 정책금융 및 직접대출 형태의 금융발전 초기단계에 있으며, 국민들의 은행이용률이 매우 낮은 상태로 일반 국민의 계좌이용률이 10%에 불과한 실정이며, 국영기업에 대한 무담보 신용대출로 주요 은행의 대출중 30%가 부실여신으로 추정되는 등 신용평가에 대한 노하우가 부족한 상황임.
- 베트남의 은행산업은 높은 성장률에도 불구하고 낮은 금융서비스 보급률, 불투명한 대출자산 건전성, 불충분한 자본규모 등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음.
○ 은행․보험 산업은 국영기업을 포함한 상위기업의 과점체제로 이루어져 있음
- 은행의 총자산비중은 Vietcombank, BIDV, Agribank 등 국영 상업은행이 약 70%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 민영상업은행 20%, 외국계은행 10% 정도의 점유율 보임.
□ 베트남 금융산업의 높은 성장전망 및 정부의 금융시장 제도정비에 따른 경쟁촉진
○ 베트남 은행산업의 높은 성장전망은 전체 8500만명의 인구중 10%의 계좌이용률과 5%의 ATM 카드이용률에서 살펴보듯이 경제성장과 국민의 인식변화에 따라 급속도로 은행이용률이 높아질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임.
○ 또한 연평균 50%에 가까운 외국인 투자금액의 증가는 물론 매년 30%에 가까운 수출증가율로 말미암아 외국 및 국내기업의 금융산업 활용도 또한 매년 가파르게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베트남 은행의 미래 잠재력은 아주 큰 편임.
○ 베트남 정부의 경우 WTO가입에 따른 외국기업의 100% 투자은행 설립 허가를 추진하면서 베트남내 외국 금융기업의 조직 및 운영에 대한 정부 시행령(No. 03/2007/TT-NHNN)을 발표하면서 금융시장 선진화를 위한 제도 정비에 나서고 있음.
베트남 금융시장 현황
|
업 권 |
지 표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은 행 |
예금잔고(US$십억) 대출잔고(US$십억) |
12 8 |
13 11 |
16 14 |
20 18 |
26 25 |
32 30 |
|
증 권 |
거래소시가총액(US$억) 상장기업 수(개) |
- - |
- - |
- - |
2.9 26 |
3.9 32 |
139 193 |
|
보 험 |
생보매출(US$백만) 손보매출(US$백만) |
- - |
275 165 |
414 240 |
485 300 |
507 352 |
518 419 |
자료 : EIU 및 각종자료
□ 시사점
○ 베트남 소매금융 확대 및 온라인뱅킹 활성화 대비 관련부품 시장성 검토 필요
- 베트남내 중소기업 및 개인사업자는 24만으로 2010년까지 2~3배 이상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며 정부의 공공기관 직원급여의 급여통장이체가 본격화되는 2009년까지 은행이용율은 물론 은행관련 기기 및 부품 등 관련 산업이 크게 성장할 전망임.
- 은행 지점개설 확대는 물론 무인 ATM기 전국망 확대로 은행지점 개설에 필요한 ATM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설치, 순번대기표, 화폐계수기, 위폐감별기, 직불카드용 원료 및 각종 소모품 수요가 급장할 것으로 전망되어 관련 국내기업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사항임.
자료원 : 현지 신문 및 무역관 자체종합
| 번호 | 분류 | 제목 | 날짜 |
|---|---|---|---|
| 687 | [호치민무역] 베트남, COVID-19 관련 기업 지원정책 주요 내용 | 2021.10.25 | |
| 686 | 2020년 베트남 경제, 2분기 부진을 4분기가 하드캐리 | 2020.12.28 | |
| 685 | 베트남 단기출장자 특별입국 절차 | 2020.12.28 | |
| 684 |
베트남 비료 시장동향
|
2019.12.28 | |
| 683 | [kotra 정보] 2017년 베트남 소비시장 핫트렌드 6 | 2017.11.05 | |
| 682 | [유망] 베트남 철강 시장동향(KOTRA 자료) | 2017.08.20 | |
| 681 |
세계에서 가장 매력적인 소매 시장에서 베트남 6위로 부상, 미국 A.T 커니 조사
|
2017.06.17 | |
| 680 | [유망] 베트남 소형가전 시장동향 | 2017.06.14 | |
| 679 | 베트남 시장 공략의 핵심 키워드는 프리미엄 | 2017.04.02 | |
| 678 | 베트남 젊은이들의 최신 소비 트렌드 따라잡기 | 2016.12.20 | |
| 677 |
중국발 통화 전쟁 우려 속에 베트남 동화의 앞날은?
|
2015.09.15 | |
| 676 | ‘생계형’에서 ‘자기만족형’ 소비로 이행하는 베트남 +1 | 2015.01.11 | |
| 675 |
떠오르는 베트남 온라인 쇼핑 및 전자상거래시장
+1 |
2014.12.27 | |
| 674 |
베트남 수산물 산업동향
|
2014.12.27 | |
| 673 | 베트남 국내 운송시장의 현황과 전망 | 2014.12.01 | |
| 672 |
베트남 식음료 소비패턴 변화, 한국 기업의 새로운 기회
|
2014.11.09 | |
| 671 |
버찌 팔아 2억 달러, 베트남과 중국의 국경무역 현주소
|
2014.07.30 | |
| 670 | 베트남, 원부자재 수입공급선 다변화 모색 | 2014.07.30 | |
| 669 | 하반기 베트남 경제, 중국과의 관계가 변수로 부상 | 2014.06.30 | |
| 668 |
베트남 섬유·의류산업 동향과 전망
|
2014.06.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