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소매유통업시장 전망 밝아
- 전체 GDP의 15% 이상 차지 –
- 전문인력 및 선진유통기기 부족 -
□ 베트남 소매유통 현황
○ 지난 10월 초 호치민시에서 개최된 ‘베트남 소매유통 성공 - 방향, 성공을 위한 전략’이란 주제의 세미나에서 베트남상공회의소(VCCI), Retail Asia Publishing(태평양-아시아 지역의 500대 소매기업 수상 잡지)과 국제 전문가들은 모두 베트남의 소매유통업이 향후 발전 잠재력이 큰 것으로 결론을 지음.
○ 베트남 소매업협회에 따르면 베트남의 소매유통업은 현재 베트남 경제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음.
- 매년 국내생산(GDP) 전체의 15% 이상을 차지하며, 540만 명의 일자리를 창출함.(전체 근로가능 인력의 약 12% 달하며, 제조산업에 종사하는 전체 근로자 수와 동일한 수준임.)
○ 올 초까지 베트남 전국에 8300여 곳의 재래시장, 400여 개의 마트와 쇼핑센터가 있는 것으로 알려짐. 베트남의 소매유통업은 개인, 정부, 기업 등 여러 경제구성원의 참여로 인해 전문적이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음.
- 1995년엔 10개의 마트와 2곳의 쇼핑센터만이 존재했음.
○ 해외의 금융기관 및 유통 관련 전문가 의견에 따르면 베트남은 앞으로 소매유통 전망이 밝은 투자유망지역이라고 함. 홍콩 Standard Chartered 은행에 따르면 2009년 베트남의 소매시장은 경제회복에 따라 많은 가능성을 보인다고 하면서 2012년 베트남의 소매유통업의 매출은 850억 달러로 전망함.
- 그 근거로 최근 수 년간의 높은 GDP 성장률, 베트남정부의 외국기업투자유치 정책, 소비자의 수요, 소비욕구 증가(20~42세 젊은 소비층이 낙관적임.)와 국민 평균소득의 약 70%가 지출비용의 요인 등을 꼽음.
○ Phan The Rue 베트남소매협회장에 따르면, 정부의 농촌농업 개발정책에 따라 현재 면적 86%의 인구에 해당하는 농촌지역이 향후 발전함에 따라 소매유통업은 크게 발전할 것으로 봄.
○ Steven HL Goh, Retail Asia Publishing 회장에 따르면 베트남 소매유통업은 많은 발전성과를 이뤘으며 미래 발전가능성이 크다고 함. 현재 전통 소매유통업 방식이 주력이나, 현대 소매유통의 도입으로 인해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고 함.
○ 2009년 세계 소매개발지수에 따르면 글로벌 경제위기에 따른 국내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베트남은 전년도 1위에서 6위로 떨어졌음.
The 2009 Global Retail Development Index
Country |
2009 Rank |
‘09 GRDI Score |
2008 Rank |
Change |
India |
1 |
68 |
2 |
+1 |
Russia |
2 |
60 |
3 |
+1 |
China |
3 |
56 |
4 |
+1 |
UAE |
4 |
56 |
20 |
+16 |
Saudi Arabia |
5 |
56 |
7 |
+2 |
Vietnam |
6 |
55 |
1 |
-5 |
Chile |
7 |
55 |
8 |
+1 |
Brazil |
8 |
53 |
7 |
+1 |
Slovenia |
9 |
52 |
23 |
+14 |
Malaysia |
10 |
51 |
13 |
+3 |
자료원 : A.T.Kearney(글로벌 경영컨설팅 그룹)
□ 베트남 소매유통업의 걸림돌
○ 베트남소매협회 Ms. Dinh Thi My Loan 전문가에 따르면 베트남 소매시장은 많은 발전을 이뤘지만 더 많은 성공을 위해선 풀어야 할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고 함.
- 베트남 소매시장의 성장은 물가상승에 따라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음.
- 소매유통분야에 대한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정책이 미흡
- 특히 농촌지역, 오지, 밀림지역과 같은 도심 외 지역의 소매유통업이 열악(예컨대, 상점형식이 아닌 만물장수형태의 소매방식)
- 전문인력 및 관리경험이 낮고, 선진유통기기 이용은 현저히 부족함.(소매유통업에 있어 2/3가 아직 전자기기를 사용하지 않음.)
- 호치민시 일반 상점가의 월 임대료는 85달~250달러/㎡선으로 영세한 현지사업자에게는 큰 부담이 됨.
- 현대식 소매유통은 최근 연간 18~20%로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지만, 주변국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임.(필리핀 33%, 태국 34%, 중국 51% 말레이시아 60%)
○ Deloitte Consulting South East Asia의 John Yeomans 사장(영국의 Deloitte 그룹 소속)에 따르면, 베트남에는 소매업 발전에 지장을 주는 다음과 같은 장애요소가 있다고 함.
- 정부의 정책적인 소매유통업에 대한 계획이 없음.
- 소매유통업 발전을 위한 기본인프라가 부족함.
- 소매유통업체에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기업이 적은 제약이 있음.
- 소매 유통업 관련 토지사용권에 제약이 있음.
- 소매업자의 경영은 개인의 능력차에 따라 큰 차이를 보임.
- 전문인력 부족, 경험 및 기본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영세업체의 소매유통업 발전이 더딤.
□ 시사점 및 전망
○ Ms. Loan에 따르면 급변하는 유통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선 정부 정책과 체계적인 법률 구비가 필요하다고 함. 정책적으로 생산자에서 수요자에 이르는 유통체제의 정비가 특히 필요하다고 함.
○ 베트남소매업체협회에선 생산자와 판매자를 연결, 지원하는 센터를 조만간 설립할 예정임. 글로벌시대에 부응하는 유통체제의 변화를 통해 세계시장으로의 진출 지원을 목표로 함.
- 소매업체의 역할 강화를 통해 수출증가 도모
○ 비록 세계 소매업개발지수가 전년도 1위에서 6위로 일시적으로 하락했지만, 경제전문가들은 베트남의 소매유통업 성장 잠재력에 대해 이의를 달고 있지 않으며, 베트남정부 유통법 적법정책으로 인해 향후 베트남 소매유통시장의 발전 가능성은 크다고 할 수 있음.
자료원 : 베트남 뉴스, 코트라 호치민KBC 자체조사
번호 | 분류 | 제목 | 날짜 |
---|---|---|---|
687 | [호치민무역] 베트남, COVID-19 관련 기업 지원정책 주요 내용 | 2021.10.25 | |
686 | 2020년 베트남 경제, 2분기 부진을 4분기가 하드캐리 | 2020.12.28 | |
685 | 베트남 단기출장자 특별입국 절차 | 2020.12.28 | |
684 |
베트남 비료 시장동향
![]() |
2019.12.28 | |
683 | [kotra 정보] 2017년 베트남 소비시장 핫트렌드 6 | 2017.11.05 | |
682 | [유망] 베트남 철강 시장동향(KOTRA 자료) | 2017.08.20 | |
681 |
세계에서 가장 매력적인 소매 시장에서 베트남 6위로 부상, 미국 A.T 커니 조사
![]() |
2017.06.17 | |
680 | [유망] 베트남 소형가전 시장동향 | 2017.06.14 | |
679 | 베트남 시장 공략의 핵심 키워드는 프리미엄 | 2017.04.02 | |
678 | 베트남 젊은이들의 최신 소비 트렌드 따라잡기 | 2016.12.20 | |
677 |
중국발 통화 전쟁 우려 속에 베트남 동화의 앞날은?
![]() |
2015.09.15 | |
676 | ‘생계형’에서 ‘자기만족형’ 소비로 이행하는 베트남 +1 | 2015.01.11 | |
675 |
떠오르는 베트남 온라인 쇼핑 및 전자상거래시장
+1 ![]() |
2014.12.27 | |
674 |
베트남 수산물 산업동향
![]() |
2014.12.27 | |
673 | 베트남 국내 운송시장의 현황과 전망 | 2014.12.01 | |
672 |
베트남 식음료 소비패턴 변화, 한국 기업의 새로운 기회
![]() |
2014.11.09 | |
671 |
버찌 팔아 2억 달러, 베트남과 중국의 국경무역 현주소
![]() |
2014.07.30 | |
670 | 베트남, 원부자재 수입공급선 다변화 모색 | 2014.07.30 | |
669 | 하반기 베트남 경제, 중국과의 관계가 변수로 부상 | 2014.06.30 | |
668 |
베트남 섬유·의류산업 동향과 전망
![]() |
2014.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