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의 희토류 매장 현황
- 북부 일부 지역에 매장돼 있으며, 경제성 평가는 이뤄지지 않은 상태 -
□ 개요
ㅇ 최근 센카쿠열도를 둘러싼 중국과 일본 간 갈등이 중국의 승리로 종결된 가운데, 이 과정에서 발생한 중국의 희토류(Rare Earth Element ; REE) 금수조치 이후 희토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
- 희토류는 17종류의 희귀광물을 의미함. 네오지움이나 지스프로시움은 하이브리드카나 가전제품의 모터에 사용되고 셀륨은 자동차·빌딩의 차단유리나 배기가스 촉매, 유리·반도체의 연마제, 조명 형광체 등에 사용되며, 란탄은 촉매· 광학렌즈· 석유정제· 전자부품에 사용되는 산업의 비타민이라 할 수 있음.
- 따라서 희소금속의 확보는 첨단기업에 생존문제와 직결되나, 부존량이 적고 매장량이 중국, 미국 등 일부 국가에 한정돼 있어 국가별, 기업별 희소금속 확보전쟁이 치열함.
- 다양한 천연자원을 보유한 베트남에도 희토류가 북부 2개 성, 7개 광산을 중심으로 매장됐다고 알려졌으나 개발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보임.
□ 베트남의 희토류 매장 현황
ㅇ 베트남에서 희토류가 매장지역으로 보고된 곳은 최북단 라이쩌우(Lai Chau)성과 옌바이성이며, 라이쩌우성에 경희토류(light REE) 3개, 옌바이성에 중희토류(heavy REE) 광산이 존재함.
- 베트남 희토류 매장량은 903만 톤으로 베트남 희토류 자원의 80.79%, 매장량의 99.29%가 라이쩌우에 집중됨.
- 4개 광산은 베트남 회사소유로 채광은 가능할 것으로 보이나 이 지역의 가공시설과 수송 인프라가 열악함.
- 4개 광산 중 라이쩌우성의 동파오 광산개발을 위해 1996년 LG가 베트남측과 합작회사를 설립한 바 있으나, 시장성이 낮아 개발이 중단된 상태임.
- 현재 일본 기업들이 베트남과 공동으로 라오까이 지역의 희토류 광산을 추가로 발견하기 위해 탐사 중임.
- 베트남 정부는 2008년 8월 희토류 탐사를 위한 지역의 설정, 채광, 희토류와 우라늄광석과 같은 희소금속의 처리 및 사용을 2015년까지 인가한 바 있음.(Decision no. 25/2008/QD-BCT)
베트남의 희토류 매장 현황
(단위 : 톤)
구 분 |
매장량 | ||||
B급 |
C1급 |
C2급 |
P1급 |
계 | |
희토류 |
5,680 |
2,080,000 |
6,950,000 |
433,000 |
9,030,000 |
1) 라이쩌우
ㅇ 제1 광구
- 제1광구의 희토류 매장량은 약 700만 톤이며 평균 함유량 4~6%임.
- 제1광구의 희토류는 석회암 내 부존함. 매장폭은 500~600m, 연장 4km(북서-남동)이며, 산업용 10개(깊이 : 0.5~6m, 200~500m) 지역에 분포
- 희토류 광석 내에 중정석, 방연석, 섬아연석, 황철석, 형석 등 포함
ㅇ 제2광구
- 제2광구는 B+C급 매장량이 약 20만 톤이며, 평균 함유량은 10.6%임.
ㅇ 제3광구
- 경희토류 광산으로 매장지역은 2~7.77m, 깊은 매장지역의 희토류는 경제성이 낮고, 60곳의 매장지역 중 16 지역 탐사 완료
- 매장량은 C1+C2+P1급이 69만5000톤, P2급이 968만 톤이며, 평균 함유량은 4.43~6.17%임.
ㅇ 세 광산 모두 배트남회사 소유로 탐사가 완료됐고 생산광석을 사용하는 선광설비 건설을 위한 협의가 가능함.
라이쩌우 지역 희토류 광산
보기 : 황색, 붉은색 및 녹색 표시 지역이 매장 지역임
2) 옌바이 : 제4광구
ㅇ 희토류 매장량은 C1급 6300만 톤, C2급 11만 톤이며, 평균 함유량은 4.43~6.17%임.
- 광석은 Song Mua층에서 두가지 형태로 매장됐는데, 석영과 함께 메장된 희토류의 함량은 1%, 석회질층 내 함유된 희토류 함량은 1~6%임.
- 이 광산도 베트남회사가 소유하고 있으며, 선광시설을 건설하기 위한 협조가 가능함.
옌바이 지역 희토류 광산
보기 : 붉은 표시 지역이 매장지역
3) 신광산
ㅇ 기타 희토류 신광산으로 쏭라 지역 5, 6광구와 라오까이 지역 7광구가 있으나 현재 미탐사 지역으로 소유권은 없음.
자료 : Cuu Long Invest(베트남) 희토류 조사 자료
번호 | 분류 | 제목 | 날짜 |
---|---|---|---|
687 | [호치민무역] 베트남, COVID-19 관련 기업 지원정책 주요 내용 | 2021.10.25 | |
686 | 2020년 베트남 경제, 2분기 부진을 4분기가 하드캐리 | 2020.12.28 | |
685 | 베트남 단기출장자 특별입국 절차 | 2020.12.28 | |
684 |
베트남 비료 시장동향
![]() |
2019.12.28 | |
683 | [kotra 정보] 2017년 베트남 소비시장 핫트렌드 6 | 2017.11.05 | |
682 | [유망] 베트남 철강 시장동향(KOTRA 자료) | 2017.08.20 | |
681 |
세계에서 가장 매력적인 소매 시장에서 베트남 6위로 부상, 미국 A.T 커니 조사
![]() |
2017.06.17 | |
680 | [유망] 베트남 소형가전 시장동향 | 2017.06.14 | |
679 | 베트남 시장 공략의 핵심 키워드는 프리미엄 | 2017.04.02 | |
678 | 베트남 젊은이들의 최신 소비 트렌드 따라잡기 | 2016.12.20 | |
677 |
중국발 통화 전쟁 우려 속에 베트남 동화의 앞날은?
![]() |
2015.09.15 | |
676 | ‘생계형’에서 ‘자기만족형’ 소비로 이행하는 베트남 +1 | 2015.01.11 | |
675 |
떠오르는 베트남 온라인 쇼핑 및 전자상거래시장
+1 ![]() |
2014.12.27 | |
674 |
베트남 수산물 산업동향
![]() |
2014.12.27 | |
673 | 베트남 국내 운송시장의 현황과 전망 | 2014.12.01 | |
672 |
베트남 식음료 소비패턴 변화, 한국 기업의 새로운 기회
![]() |
2014.11.09 | |
671 |
버찌 팔아 2억 달러, 베트남과 중국의 국경무역 현주소
![]() |
2014.07.30 | |
670 | 베트남, 원부자재 수입공급선 다변화 모색 | 2014.07.30 | |
669 | 하반기 베트남 경제, 중국과의 관계가 변수로 부상 | 2014.06.30 | |
668 |
베트남 섬유·의류산업 동향과 전망
![]() |
2014.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