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베트남 투자 컨설팅,법인설립,공장설립

베트남 자원개발 투자 동향 및 프로젝트 참여를 위한 진출 전략

- 베트남 자원개발 정부정책 및 주요 프로젝트 -

 

보고일자 : 2009.7.03

 호치민 코리아비즈니스센터

김도훈 kdh6563@kotra.or.kr

 

□ 베트남 자원보유 개요

 

ㅇ 베트남은 에너지광물자원이 다양하게 분포된 편이나, 부존량이 기타 아시아 및 세계 자원대국과 비교 시 적은 규모임.

 -  베트남에는 총 60여개의 광물자원과 5천여 개의 광산이 소재함.

 -  베트남은 석유 생산량 기준 아시아태평양에서 6대 생산국이며, 석탄(거의 대부분 무연탄임), 석회석이 풍부한 편임

 -  보크사이트, 철광, 주석, 크롬, 동, 아연, 흑연, 운모, 티탄철석, 니켈, 망간, 티타늄, 인회석 등이 존재하나 부존량은 소량임

 

ㅇ 탐사 및 개발은 초기단계이며 광물자원 대부분은 상업성 부족과 개발여력 부족으로 미개발 상태임.

 -  자원개발이 부진한 이유는 기술 및 자금 부족과 함께 사업추진에 필수적인 도로, 운송수단, 설비등 기본적 인프라 부족이 주요인이며 광물 생산 시 구식장비와 낙후기술로 생산성이 매우 낮음.

 -  2007년 자원산업은 GDP의 9.79%, 연간 수출액의 17.5% 차지

 -  자원산업 GDP 비중: 14.51(’04)→13.22(’05)→10.26(’06)→9.79(’07)

 -  원유가스는 2000년 초 전체 광산업중 비중이 80%를 상회하였으나 산업발전과 여타 광물자원 개발로 비중은 점차 축소중임.

 -  광산업 중 원유가스 산업 비중: 82.0(’03)→81.2(’04)→77.9(’05)→66.3(’06)

 -  광업은 제조업, 서비스업, 농업 다음으로 4위를 차지

 

 

□ 베트남 자원보유 현황

 

ㅇ  베트남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6대 석유 생산국으로 전체 매장량은45억㎥규모로 추정되며 이중 가스가 5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추가 매장량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 미래 석유가스 자원강국으로 부상함.

 

ㅇ  2001년부터2004년까지 15개의 탐사공구에서 222MCM이 매장확인 되었고 2005년에는 4개의 신규 매장공구에서 전체 매장량의 20%가 새로이 확인되어 향후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음.

 

ㅇ 주요 유전 매장지역 : Song Hong(11억㎥), Cuu Long(8.2억㎥), Phu Khanh(3.7억㎥), Nam Con Son(9.7억㎥), Malay(3.7억㎥)

 

ㅇ 베트남의 석탄 매장량은 2007년 기준, 35.5억 톤으로 전체 66.7%의 매장량이 베트남 북부 Quang Ninh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무연탄이 전체의 68.5%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

 -  정확한 탐사는 불가능하나 북부 홍강델타 지역과 내륙지역 지하 250~1,200m아래 3,500㎢에 달하는 지역에 2,100억 톤의 추가 석탄매장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함.

 

ㅇ  베트남 석탄 광산은 약 200여개로 주요 산지인 Quang Ninh지역에 소재하며 이 지역 내 석탄채집센터 3개소를 설치 운영함.

 -  주요 석탄 매장지역 : Cua Ong(Cam Pha), Nam Cau Trang(Ha Long City), Vang Danh(Uong Bi)

ㅇ  베트남내 철광산은 총 220여개로 대부분은 베트남 북부지역에 소재함.

 -  주요 산지 : Thai Nguyen, Bac Can, Cao Bang, Ha Giang 등

 -  베트남내 매장 철광석은 대부분 C1, 2급이 주요 등급이며 2006년 기준, 전체 매장량은 1,100백만 톤으로 추정됨. (A, B, C1급 : 568백만톤, C2급 : 193백만 톤)

 -  베트남 철광석은 아연의 함유가 높은 편으로 일반 제조공법 활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음.

 

ㅇ 베트남내 구리 매장은 베트남 북부지역중심으로 홍강델타 서부유역과 중국과 국경선을 마주한 Lao Cai 지역에 대표적으로 분포

-  베트남내 구리의 매장량은 2007년 기준, 76백만 톤으로 평가됨.

-  주요 산지 : Ban Phuc(3백만 톤), Shin Quyen(551,000톤)

 

ㅇ 아연은 베트남 북부지역 중심으로 Tuyen Quyen, Bac Can, Ngan Son 지역 사이에 매장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Bo Vat 지역에 175,000톤과 Cao Bang, Ha Giang 지역에 266,000톤의 아연이 추가로 매장 확인되고 있음.

 

ㅇ 베트남내 아연의 매장량은 2007년 기준, 1백만 톤으로 평가됨.

 -  베트남의 아연 매장량은 전세계 1%에 해당하는 소량이나 아연 매장 가능성이 높은지형으로 향후 일부 전문가의 견해에 따르면 Bac Can 지역에 4백만 톤을 포함한 총 13백만 톤의 매장 추정가능성도 제기됨.

 

[주요 광물자원 부존 현황 및 주요 매장지역]

광 종

단 위

매장량

주 요 매 장 지 역

석 탄

백만

3,550

쾅닌분지, 타이구엔, 홍강분지, 다강유역

석 유

백만

 톤

2,300

홍강 및 메콩강 삼각주 지역, 베트남 동해

인회석

백만

 톤

903

호앙리엔손, 홍강 동부 라오카이

철광석

백만

 톤

759

게틴성의 탁케광산, 쿠이샤

아 연

천 톤

634

카오방, 박타이, 초디엔

보크사이트

백만

4,175

하투옌, 카오방, 랑손, 다강 향사지대

400

다낭, 카오방성

천 톤

592

다강 유역 디엔비엔-라이차우지역

희토류

백만

 톤

9.2

라이챠우성 퐁토군

자료원 : 베트남 통계청

 

 

□ 베트남 대표적 부존자원 현황

 

ㅇ 보크사이트는 베트남 매장 광물자원 중 가장 많은 부존량을 가진 광물로서 확인된 매장량은 55억 톤이며 베트남 남부지역에 대부분인 54억 톤이 소재, 북부지역에 1억 톤이 매장되어 있음.

 

ㅇ 베트남은 세계 티타늄 매장량의 5%를 차지하며 캐나다, 미국, 노르웨이, 인디아, 호주 다음으로 6   위의 매장량을 보유함. 티타늄 매장은 주로 Ha Tinh, Quang Tri, Hue, Binh Dinh, Phu Yen, Binh Thuan 등 해안선을 따라 매장되어 있으며 21개의 주요 채집광이 소재함. 티타늄 매장량은 2007년 기준, 34.5백만톤임

 

광물자원

단위

매장량

비고

Coal

억 톤

35

보존량 중급

Crude oil

백만 배럴

3,250

보존량 중급

Gas

억큐빅미터

4,000

보존량 중급

Iron

억 톤

11

보존량 중급

Bauxite

억 톤

55

보존량 풍부

Titanium

백만 톤

34.5

전세계 매장량 5%

Cooper

백만 톤

76

보준량 중급

Zinc

백만 톤

1.09

보존량 소량

자료원 : 베트남 통계청

 

ㅇ 베트남의 보크사이트 매장량은 세계 4위로 총 55억톤에 달하며 그 중 54억톤이 남부지역에 분포되어 있음.

 - 주요 매장지역은 Kon Tum, Dak Nong, Lam Dong, Binh Phuoc, Central Coastal Region, Cao Bang, Lang Son, Ha Giang 등임.

 

ㅇ 베트남 남부지역 보크사이트 주요 성분(Primary ore quality)

 -  Mineral composition : 주로 gipsit이며 소량의bomit과 kaolinit 포함.

 -  Chemical composition

    . Al2O3 35 – 49%, SiO2 10 – 15%, Fe2O3 20 –25%, TiO2 2 – 3%

 -  Dak Nong 지역 보크사이트 성분(Concentrate quality)

 

연번

광산

정광 평균두께 (m)

구성(%)

Al2O3

SiO2

Msi

1

"1-5"

5.2

49.36

2.14

23.1

2

Quang Son

5.0

50.00

2.52

19.8

3

Nhan Co

4.6

48.30

3.45

14.0

4

Gia Nghia

4.3

47.99

2.58

18.6

5

Bac Gia Nghia

-

46.10

2.23

20.8

6

Dak Song

4.5

48.74

2.20

22.2

7

Tuy Duc

5.0

48.74

2.20

22.2

 (자료원 : VINACOMIN)

 

ㅇ 베트남 북부지역 보크사이트 주요 성분(Primary ore quality)

 -  Mineral composition : Diaspo 20–50%(최대 80%), gipsit 4–7%

 -  Chemical composition : Al2O3 20 – 50%, SiO2: 5 – 10%

 

ㅇ 한편, 베트남은 2009년부터 보크사이트 가공재 수출을 중단하고 정광 형태로 수출하고 있음.

 

ㅇ 현재 보크사이트 가공재는 South Basics Chemicals Co., Ltd. 1개사만이 생산중.(Al2O3  성분 49% 이상)

 -  2008년까지의 연간 생산량15만톤중 절반은 aluminum hydroxide 생산을 위한 내수용이며 나머지 절반은 일본 수출용임.

 -  동사의 수출 허가는2008년까지이며 2009년 수출 허가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 수출입 제도 및 규제

 

ㅇ 베트남의 경우 비철금속 수입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음.

 

ㅇ 그러나 수출의 경우 법규 및 고율의 수출세로 억제 정책을 취하고 있음.

 - 정광 수출 제한은 물론, 관련 산업 발달을 위해 가공재 수출도 제한하고 있음.

 

ㅇ 법규상 수출 규제

 -  2008년 6월 18일 공표된 공업무역부 시행령 ‘Circular No. 08/2008/TT-BCT on Guiding the Export of Minerals’에 따라 광물 수출에는 제한이 있음.

 -  국내 심화 가공(deep processing)용 광산지역 리스트에 포함되는 남부지역 및 Cao Bang성, Lang Son성 지역 소재 광산은 보크사이트 및 보크사이트 가공재 수출이 제한됨.(공업무역부 시행령Circular No. 08/2008/TT-BCT)

 -  또한, 수출용 보크사이트는 성분면에서 Al2O3≥48%를 충족해야 하며 Lam Dong성 Bao Loc mine은 2008년 말까지만 수출 가능(공업무역부 시행령 Circular No. 08/2008/TT-BCT)

 -  결론적으로 국내 심화 가공용 광산지역에서 생산되지 않은 광물로서 성분조건을 충족한 보크사이트만이 자유롭게 수출될 수 있음.(Lam Dong성 Bao Loc mine 생산품은 제외)

 

ㅇ 보크사이트 정광 및 가공재 수출세는 20%임.(HS code : 2606.00.00.00)

 

 

□ 알루미나 프로젝트 현황

 

ㅇ 보크사이트를 원료로 사용하는 알루미나 제조는 아직 초기 단계이나 다수의 프로젝트가 진행중에 있으며 2015년경에는 580만-810만톤의 알루미나가 생산될 전망임.

 

ㅇ 베트남의 알루미나 프로젝트(2007 – 2015)

프로젝트명

보크사이트 공급원

연간 생산능력 (천톤)

건설기간

Nhan Co Alumina Factory (Dak Nong 1)

Nhan Co Bauxite Mine and other neighboring mines in Dak Nong region

300 –600

2007 – 2010

Kon Ha Nung Alumina Factory

Kon Ha Nung and Mang Den Bauxite Mines

1,000 – 1,500

2009 – 2011

Dak Nong 2 Alumina Factory

“1 - 5”Bauxite Mine and other neighboring mines in Dak Nong region

1,500 – 2,000

2011 – 2014

Dak Nong 3 Alumina Factory

Gia Nghia Bauxite Mine and other neighboring mines in Dak Nong region

1,500 – 2,000

2012 – 2015

Dak Nong 4 Alumina Factory

Tuy Duc, Dak Song Bauxite Mines and other neighboring mines in Dak Nong region

1,500 – 2,000

2012 – 2015

총계

5,800 – 8,100

 

(자료원 : Decision No. 167/2007/QD-TTg dated November 1st, 2007)

 

 

□ 베트남 자원개발 정부정책

 

ㅇ  베트남 정부는 최근 전세계적으로 자원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중장기적으로 광물자원 개발에 인적, 재정자원을 동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 예정임. 하지만, 베트남 정부예산의 부족으로 경제적 효율성과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있으며 산업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함.

ㅇ  베트남 정부는 1986년 경제개방정책이 시행된 이후, 석유법(1987년), 외국인 투자법 및 개정 석유법(2000년) 등을 통해 석유․대륙붕 개발을 활성화시켰으며 광물자원 법령(2005년)의 개정을 통해 광물자원에 대한 투자절차, 규정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내림.

 

ㅇ  베트남 정부의 자원개발에 대한 기본 입장은 다음과 같음

 -  석탄, 원유와 같은 주요 광물은 정부 주도로 개발

 -  기타 다른 광업부분은 비정부기관 및 개인에 의해 개발

 -  부족한 정부재정으로 광업부문 전반에 대한 정부 투자 제한

 

ㅇ 광업부문의 해외 및 국내 투자는 여전히 적은 상태로, 각 영역별 투자자본은 5%~9% 정도이며 해외 직접투자(FDI) 또한1988년에서 2007년 사이 총 FDI 프로젝트 8,753건 중 1.2%만을 차지

 

 

□ 베트남 자원개발 투자 동향

 

ㅇ 베트남 내 광물자원 개발은 주로 국가주도로 추진이 되어 민간 및 외국인의 투자가 상대적으로 제한되었으며 전체 투자건수의 10%에 미치지 못하는 투자만이 이뤄짐.

 

ㅇ 주요 투자국은 뉴질랜드, 호주, 일본 순으로 금과 석회석에 대한 투자가 주를 이룸.

 

ㅇ 외국인 투자의 경우 탐사분야에 대한 투자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특히 베트남 내 매장량이 풍부한 모래석재 등 건설기자재 분야에 대한 투자가 다수 진행되고 있음.

 

ㅇ 베트남의 경우 인근국과의 자원개발 관련 마찰은 크지 않은 편이나 해저 석유․가스 매장이 풍부한Hoang Sa와 Truong Sa 군도에 대한 점유권 문제로 중국과 오랜 기간 마찰이 있는 상황임.

 

 

□ 베트남 자원개발 주요 프로젝트

 

ㅇ 보크사이트 프로젝트

 - 베트남 정부는 Lam Dong 지역에 31.5백만 불 규모의 대규모 보크사이트 프로젝트에 투자, 연산 60만 톤 규모의 알루미늄 공장 건설을 계획 중임.

 - 또한 베트남Vietnam Coal Group과 중국 Guang Xi가 50:50 합작으로 Dak Nong 지역 Nhan C 산업단지에 연산 10만톤 규모의 알루미늄 프로젝트를 추진 예정임.

 - 현재 베트남은 모든 알루미늄 제품을 수입하고 있는 상황이며, 향후 산업발전에 따른 관련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에 대비하기 위하여 보크사이트 탐사, 채광 및 관련 제련공장에 대한 투자를 적극 지원하는 상황임.

 -  베트남 정부는 세계 4번째 규모의 영국계BHP Billiton의 보크사이트 자원개발 참여를 요청한 상황으로 향후 탐사분야에 4천만불, 채광과 제련공장 투자에 총 16억불 규모의 대규모 투자 전망

 

ㅇ 구리 프로젝트

 - 베트남 석탄광업공사(Vinacomin)는 Lao Cai 지역 내 Sihn Quyen 콤플렉스에 총 81백만 불 규모의 투자에 나서 연산 42천톤의 구리강판 생산과 113천 톤 규모의 철강판 생산에 나서는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중임.

 - 2005년 베트남, 캐나다간 대형 합작투자건으로 Nui Phao Mine (Thai Nguyen)의 Multimetal 광산 투자가 있는데5,600톤/년의 구리 생산을 목표로 투자액이 1억4,700만 불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

 

 

 

□ 시사점

 

ㅇ 대규모 자본 및 신기술을 필요로 하고, 고부가가치의 신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해외 투자유치가 장려될 것으로 전망

 - 기초지질조사 및 광물 탐사 활동에서의 탐사 손실 비율을 감소시키는 기술 이전, 환경친화기술, 현대기술 부분에서의 투자가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장려되어질 것임

 

ㅇ 베트남의 보크사이트를 비롯한 비철금속의 대한국 수출이 부진한 이유는 대규모 공장이나 광산들이 대부분 북부 지역에 위치해 있기 때문임.

 - 베트남 북부 지역은 중국과 국경이 인접해 있어 물류비용을 고려할 때 중국으로의 수출이 유리

 - 또한, 이러한 이유로 현지 수출업체들과 중국 바이어간 비즈니스 관계가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정착되어 있음.

 

ㅇ 베트남의 비철금속 수급상황 및 정부 수출 규제정책 등을 고려할 때 알루미나는 장기적으로 수입이 유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향후 수 년내로 가동 계획이 있는 다수의 알루미나 관련 공장들이 건설중에 있음. 주로 북부지역에 위치한 여타 비철금속 공장들과는 달리 현재 건설중인 알루미나 생산공장들은 대부분 중부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중국에 비해 불리한 여건에 있는 물류 비용이 상대적으로 완화될 수 있음.

 

ㅇ 광업의 모든 전반적인 영역에서 투자가 장려될 것으로 전망

 - 석유․가스 산업, 기초 금속(보크사이트, 구리광석, 아연광석 등) 및 희토 산화물, 일반건축자재용 광물 분야 등 모든 영역에서 투자가 이루어질 전망임

 

 

자료원 : 베트남통계청, VINACOMIN, 공업무역부, 관세청, 호치민 KBC 자체

번호 분류 제목 날짜
공지 참고자료 베트남 투자시 반드시 알아야 할 14가지 사항(KOTRA 자료)
669 참고자료 베트남에서의 대표사무소, 지사의 차이점 2013.04.08
668 행정법률 베트남, 인터넷 쇼핑몰 시작하기 2019.10.24
667 참고자료 2025년 5월 10일부터 적용되는 베트남 전기요금 2025.05.10
666 KOTRA자료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의 신흥 강자, 소셜 커머스(Social Commerce) 2023.06.27
665 KOTRA자료 베트남 전자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사업 분야 관련 법령 개정 및 규제 사항 2023.06.24
664 시행정책 베트남 외식프랜차이즈 산업 진출하기 2013.05.28
663 참고자료 아포스티유(apostille)란 2015.03.30
662 KOTRA자료 2021 베트남 산업 개관 2021.09.27
661 KOTRA자료 베트남, 수출세 부과 절차 및 유의사항 2021.09.27
660 KOTRA자료 베트남 관세 환급에 대한 이해 [호치민무역관 자료] 2021.08.30
659 KOTRA자료 베트남 지식재산권 종류 및 침해 시 대응방안 2021.08.23
658 KOTRA자료 베트남 소프트웨어시장 동향 2021.08.19
657 KOTRA자료 백신 수급으로 재조명되는 베트남의 콜드체인산업 2021.08.02
656 KOTRA자료 베트남, 내국수출입제도와 면세 활용 2021.07.26
655 KOTRA자료 베트남 시장 및 소비자 특성 2021.07.21
654 KOTRA자료 베트남, 한국과의 국교 수립 및 협정 현황 2021.07.21
653 투자환경 베트남 외국인 투자환경(kotra) 2021.07.21
652 KOTRA자료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 사회보험 의무가입 2021.07.09
651 KOTRA자료 베트남 식품 수입 절차와 검역 2021.07.09
650 KOTRA자료 프랜차이즈 베트남 진출 2021.06.07

본 글의 저작권은 'VINAHANIN CO.,LTD'에 있으며 무단복제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
비나한인 안내  info..
===================================
베트남 창업 법인설립, 지분인수 경영 제반 컨설팅
지사 대표사무소 설립, 법인형태 법인장 주소 업종 변경 
공장 이전, 부지 임대공장 입지선정, 부동산 컨설팅 제공

 법인설립 입지선정 등 진출 준비부터 사후 경영 관리까지 일괄 컨설팅 서비스 제공 

베트남 관련 동일업종 업력 15년 이상에 걸쳐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일관성 있는 선제적 컨설팅 제공과 전문 변호사, 법률행정 전문 통/번역 요원, 한국인 전문가 상주로 인한 완벽한 커뮤니케이션으로 최소의 시간과 비용으로 최선의 결과치 도출을 기대할 수 있고 검증된 베트남 투자 진출 창업 전문 컨설팅 업체 'VINAHANIN CO.,LTD' 입니다..
-공식 홈페이지: www.vinahanin.com
-베트남 법인설립 절차 안내: 바로가기

상담/문의
-업무 시간: AM8 ~ PM5(베트남 현지 시간)
-베트남(국가번호 +84)

0909 194 181 (한국어/일어)
028 6681 0114 (베트남어/영어)

- 이메일:  viethoasong@gmail.com (실시간 체크)
- 카카오톡 ID: vinahanin (무료 직통 통화 가능)
- 카톡 상담 시간: AM7 ~ PM7(베트남 현지 시간)
(휴무일 카톡 상담, 부동산 안내 가능)
- 24 시간 온라인 상담 등록: 바로가기

 

언제 어디서나 카톡 '바로상담'..!
비나한인 카톡 QR코드

비나한인 카톡 QR CODE

 

상담/문의 등록

※문의 등록 관련, 베트남 현지 지사 법인설립, 공장설립, 대표사무소, 공장부지 입지 선정 등 비나한인 업무와 관련된 문의 내용에만 회신드립니다.

 

간단한 문의 내용 보내기
Message
  • (내용 보기)
    개인정보 이용 안내 Close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1.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문의에 사항에 대한 답변을 위한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습니다.
    2. 수집하려는 개인정보 항목
    -업체명(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본 '문의등록'의 경우 개인 정보 수집 이용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 됩니다.
제목
이름(회사명)
이메일
전화번호
분류
비밀번호
내용
베트남 법인설립 절차 준비서류
카톡 상담문의
Factory_tran.png

바로 문의/상담 등록

베트남 투자진출 관련 간단한 문의는 아래에 등록해 주시면 체크 후 회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법인설립, 공장설립 문의의 경우에는 기본 정보를 알아야 원하시는 답변을 드릴 수 있으니
'여기 클릭'  하여 등록해 주시면 이메일로 회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타 업체에서 진행한 결과에 대한 검증이나 후속 조치 등에 따른 문의 등, 업무 내용과 무관하거나 문의 내용에 따라 회신이 거부될 수도 있으며, 회신이 늦어질 경우에는
E-mail 주소 viethoasong@gmail.com
또는 카톡 무료 통화(ID: vinahanin)이나
전화 0909 194 181(베트남 +84)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각 항의 공백 부분을 한 번 클릭한 후 입력

간단한 문의 내용 보내기
Message
제목
이름(회사명)
이메일
전화번호
분류
비밀번호
내용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1.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문의에 답변을 위한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습니다.

 2. 수집하려는 개인정보의 항목
  -업체명(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본 '문의등록'의 경우 개인 정보 수집 이용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 됩니다.

Copyright VINAHANIN.com All rights reserved. Since 2006, E-MAIL: viethoasong@gmail.com. VINAHANIN CO.,LTD

ADD: 3F, VIETPHONE BUILDING, 64 Nguyen Dinh Chieu, Da Kao, Quan 1, Ho Chi Minh, VIETNAM.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