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경기불황에도 초고가 핸드폰 판매 호황
- 6000달러의 고가 휴대폰 판매 불티 -
- 설 전후로 고가 휴대폰 판매 확대 -
베트남 휴대폰 단말기시장은 올해 1000만대 규모로 확대됐으며, 최근에는 경기불황에도 불구하고 고가 휴대폰의 현지 수요가 크게 확대되는 것은 물론 저가제품 수요도 크게 늘어 양극화 현상이 나타남. 한국 기업의 경우 이미 높은 시장점유율과 좋은 이미지를 갖고 있는 만큼 더 큰 성공을 거두기 위해선 젊은 고객층에 대한 효과적인 마케팅, 모바일 서비스의 다양화와 향상을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임. |
□ 경기불황에도 초고가 휴대폰 판매 호황
○ 전 세계 경제위기로 베트남 또한 심각한 경제불황을 경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소비자의 초고가 휴대폰 구매열기가 뜨거운 상황이며, 특히 Echip IT잡지에 따르면 하노이와 호찌민시의 경우, 초고가 휴대폰인 Vertu와 Mobiado 핸드폰은 전년대비 30% 이상 판매가 증가하는 기현상을 보이고 있다고 전함. 베트남 핸드폰 유통전문가에 따르면 최근 베트남내 이같은 고가폰이 연간 1000대 이상 판매가 되는 것으로 추정하기도 함.
○ 최고급 핸드폰인 노키아사의 Vertu 공급망인 FPT에 따르면, 올 설연휴를 기점으로 Vertu 휴대폰의 판매가 크게 증가했으며, 단말기 가격범위는 대당 4000~10만 달러에 달하는 고가이며, 최다 판매 모델은 6000달러의 단말기가 판매되는 것으로 파악됨.
○ 이같은 최고급 핸드폰 판매열기가 이어지며 세계적으로 초고가 명품 휴대폰으로 유명한 스위스 Goldvish사 핸드폰이 베트남 하노이에 금년 3월 18일 매장을 개장했으며, 호찌민에도 2호점을 개점할 예정으로 본격적인 판매를 준비 중임. Goldvish사의 핸드폰은 가격이 무려 2만~100만 유로의 초고가임.
□ 휴대폰 단말기 시장현황
○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GfK사에 따르면, 베트남의 2009년 휴대폰 단말기시장은 1000만대 규모로 연간 12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며, 베트남 내 단말기 매출 대부분은 2개 주요 도시인 하노이와 호찌민시 지역에 집중돼 있으며, 하노이와 호찌민의 상위 20개 판매점이 베트남 전체 매출의 43%를 차지하는 판매집중 현상이 관찰됨.
○ 2004년에는 휴대폰 판매량이 100만대를 넘어섰으며 판매증가율 역시 83.1%로 대폭 증가했으며 이후 2005년에는 252만대, 2006년에는 398만대, 2007년에는 600만대를 초과하는 판매실적을 기록하며, 전년에 비해 각각 75.7%, 57.6%, 37%의 고성장세 지속.
휴대폰 판매 현황
(단위 : 천대)
연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추정) |
총 판매량 |
785 |
1,437 |
2,525 |
3,980 |
6,000 |
8,000 |
증감률 |
- |
83.1% |
75.7% |
57.6% |
37% |
33% |
자료 : GFK Asia
□ 베트남 2008년 이동통신 매출 39.1%, 가입자 75% 증가
○ 베트남 정보통신부에 따르면 2008년 베트남 통신시장은 전년대비 매출이 39.1% 증가한 56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가입자수는 전년대비 75%가 증가한 8260만의 SIM 카드발급이 기록되고 각 이동통신기업의 SIM 복수발급을 감안하면 3100만명의 실질 이동통신 가입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됨.
- 베트남 정통부 발표 이동통신 가입자는 ’08년 4월 기준, 4890만으로 GSM(5개사)ㆍCDMA(2개사) 등 총 7개 기업이 사업을 하고 있으며, 현재는 시장점유 상위 3개사인 Viettel, Mobifone, Vinaphone임.
- 베트남 정보통신부 ’08년 4월 기준 총 가입자수: 4890만명
· Viettel(34.7%, 1700만), Mobifone(29.6%,1450만), Vinaphone(25.4%,1240만)
○ 베트남 이동통신시장 규모는 가입자의 지속적인 증가세와 매출 증가로 2010년까지 60억~70억 달러 규모로 학대될 것으로 전망됨.
연도별 이동통신 가입자 수(%)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32.0 |
35.8 |
38.8 |
41.8 |
43.8 |
45.7 |
자료원 : Pyramid research, Economist Intelligence Unit
베트남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 현황
|
사업연도 |
사업범위 |
법적지위 |
시장점유율(%) |
Vina Phone |
1996년 |
전국 |
100% 국영기업 |
23.6 |
Mobi Fone |
1993년 |
전국 |
100% 국영기업 |
26.2 |
Viettel |
2004년 |
전국 |
100% 국영기업 |
37.8 |
S-Fone |
2003년 |
호찌민, 하노이 |
BCC* |
6.4 |
VPT |
2005년 |
호찌민, 하노이 |
100% 국영기업 |
5.6 |
HT Mobile |
2006년 |
하노이 |
BCC |
0.4 |
자료원 : 베트남 정보통신부 2008년 6월
□ 베트남 핸드폰 수요 동향
○ 베트남내 휴대폰 단말기의 가격이 점차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모델수 다양성과 소비자 소득증대로 수요는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세계적 휴대폰 제조사인 노키아, 삼성, 모토로라, 소니에릭슨, 지멘즈 뿐만 아니라 중국산 저가 단말기의 경쟁이 치열한 상황임.
○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GFK는 올 베트남내 휴대폰 판매량은 2년 전의 2배인 800만 개, 총수익은 11억 달러, 성장률은 35%에 달할 것으로 평가했음. 그리고 베트남 최대 휴대폰 소매업체인 The Gioi Di Dong은 매년 24% 증가세를 보이며, 휴대폰 구매를 위해 150만~300만 동을 소비하는 소비자가 크게 증가해 더 이상 휴대폰이 부의 상징이 아닌 일반 전자제품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이에 따라 부와 개인적 만족감을 위한 초고가 핸드폰의 판매 확대도 확산되는 추세임.
베트남 휴대폰 단말기 시장점유율
브랜드 |
2006년 |
2007년 |
2008년 |
노키아 |
54 |
57 |
58 |
삼성 |
19 |
18 |
21 |
모토로라 |
15 |
10 |
15 |
소니 에릭슨 및 기타 |
5 |
9 |
6 |
자료원 : Unofficial, Vietnamese IT experts 추정
□ 브랜드별 경쟁 동향
○ 삼성전자는 젊은 고객층에 대한 마케팅 성공으로 수년간 노키아에 이어 제2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 중이며 최근 높은 브랜드 인지도와 품질로 시장점유율이 크게 확대되는 추세임. 최근에는 LG전자 또한 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이 크게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각 브랜드별로 시장경쟁이 치열한 저가 모델 또한 가격경쟁에 힘입어 판매가 확대되는 추세임.
○ 모토로라는 저렴한 가격의 C310 라인의 성공으로 최근에 시장 점유율이 2%에서 15%로 급증했음. 올해 초부터 파격적인 가격의 신상품을 시장에 출시했고, Music features기능을 갖춘 W230폰은 단 1백2십9만 동에 판매중이며, 럭셔리 V8라인의 경우 이전 판매 가격보다 싼 백만 동에 판매되고 있음.
○ The Gioi Di Dong의 통계에 따르면, 2009년 1월에 34%의 고객들이 150만~300만 동(93~188달러)이내의 휴대폰을 구매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러한 수치는 2008년 1월에 비해 24% 증가한 것임. 이러한 이유로 2008년 10대 휴대폰 제조사들은 200만 동 이하로 가격을 측정했음.
2008년 베트남 내 판매량 TOP 10 베스트셀러
순위 |
품명 |
가격(VND) |
1 |
노키아 N1110i |
N/A |
2 |
노키아 N1200 |
519,000 |
3 |
노키아 N1208 |
679,000 |
4 |
노키아 N2626 |
929,000 |
5 |
노키아 N3110C |
1,819,000 |
6 |
노키아 N6300 |
2,839,000 |
7 |
삼성 SS C140 |
N/A |
8 |
삼성 SS B100 |
649,000 |
9 |
LG KG 195 |
1,380,000 |
10 |
모토로라 W230i |
959,000 |
자료원 : MobileWorld
자료원: 베트남 정통부, 현지 뉴스, 하노이 KBC 종합
하노이 동아인 현 6개 지역 개발에 참여할 투자자 모집
하노이시는 동시의 행정구 중 하나, 동아인(Đông Anh)현의 6개의 에리어에서 진행하는 개발 사업에 투자할 투자자를 모집하고 있다. 동시는 2025년까지 인프라에 ...
베트남 호텔 숙박 시장 동향 전망, 호치민시 요금 인상
2022년 말 호치민 시내 호텔 숙박 요금은 1박 평균 180만VND로 2022년 3분기 대비 9%, 2021년 대비 21% 상승했다. 세빌스 베트남사의 호텔 시장 조사 보고서에 의...
지정학적 긴장과 함께 비용 상승으로 세계의 대기업들은 대체 생산 거점을 찾아야 하고, 베트남 호조의 경제 상황이 유럽 기업들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베트남...
외국과의 직업훈련 제휴에 관한 새로운 시행령, 정치나 종교를 포함한 커리큘럼 금지
베트남 정부는 6일 직업훈련 분야에서의 투자·활동 조건에 관한 규정을 개정·보충하는 시행령 제24호/2022/ND-CP를 공포했다. 동시행령은 6월 1일에 시행된다. 시...
코로나에 의한 부품 공급망 차단 등으로.. 일본 기업이 최근 베트남의 주변산업이 가진 기술과 제품에 주목하고 있다. 신형 코로나바이러스의 세계적 감염 확대로...
베트남 외국인 투자 규제 및 제한 사업 명확하게 작성 리스트 공표
베트남 정부는 3월 말 2021년 1월 1일부로 시행 된 투자법(2020 년판)의 일부에 대해 안내하는 시행령 제 31 호 / 2021 / ND-CP를 공포하여 동 시행령은 즉시 시...
베트남 개발 서두르는 6개 도시의 '스마트 시티' 계획
과학 기술에 의해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인더스트리 4.0' 시대의 세계적인 추세가 되고있다. 사진 ㊤ = 최신 스마트 시티 기술 전시회를 시찰하는 Nguyễn X...
EVFTA 1 일부로 발효, 유럽 시장 진출의 과제는 규정 준수
지난 1일 유럽 연합(EU)과 베트남 간의 자유 무역 협정(EVFTA)이 발효되었다. 관세 인하 등의 혜택을 받는 베트남 기업들은 새로운 제품 수출의 큰 기회가 될 수 ...
해외 기업들 베트남 유통 시장 진출 모색, EVFTA 등에 힘입어
1800억 달러 규모를 자랑하며, 매년 두 자리 성장률을 자랑하는 베트남 소매 시장의 호조에 주목하고 투자 및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는 해외 기업들이 늘고있다. ...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2020-06-22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국회 6월 8일 EVFTA 비준 완료 - - 2012년 6월 협상 개시 이...
포스트 코로나를 대처하는 베트남의 자세 2020-06-19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EVFTA로 수출과 투자 활로 확대 기대 - - IT 인프라 및 노동자 양성,...
제14기 (2016 ~ 2021년) 제9회 국회는 8일 오전 베트남 EU 자유 무역 협정 (EVFTA)의 비준에 관한 결의를 94.62 %의 찬성 다수로 채택했다. 또한, 베트남 EU 투자...
최근 한국의 베트남 투자 동향 2020-01-28 유상철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유통, 서비스 등 투자분야 다각화 - - 10만 달러 미만 소규모 투자 프로젝트 증가 - (참...
베트남 수입 통관 시 까다로운 FTA 적용 절차 2020-01-23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세계 주요 시장과 FTA 협정 체결로 FTA 활용 허브로 역할 증대 기...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 전자 상거래, 2020 년까지 100 억 달러의 수익 전망
2020 년까지 베트남의 전자 상거래는 100 억 달러의 수익에 도달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전자 상거래는 소규모의 베트남 기업도 소액 자금으로 모든 국가에 제...
[KOTRA]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2019-02-15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CPTPP 조항 따라 법ㆍ제도 선진화 및 글로벌 공급망 참여 기대 - - 원산지 포탈 ...
베트남의 전자 지갑 시장에 모이는 해외 기업의 뜨거운 시선, 소비자들도 편리성에 주목
베트남 정부는 2020년까지 현금 결제를 전 결제 거래의 약 10%이하까지 줄이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성장의 여지가 크다고 예측되는 전자 대금 결제와 계좌인 ...
다낭시 제1분기 외국인 관광객 59%증가 FDI도 약진 , 다낭 시장이 밝혀
다낭시 인민 위원회 Huỳnh Đức Thơ 시장은 최근 기자 회견을 갖고(사진 ㊤) 동시의 제1분기의 관광객 수가 169만 700명 (전년 동기 대비 34.7%증가)으로, 2018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