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경기 침체로 일부 공기업, M &A 시장에 매물로 출현할 듯
- 금년도 성장 둔화와 외자 유입 부진으로 M &A 매물 확대 전망 -
2012-05-21
하노이 무역관
권경덕( kotra@hn.vnn.vn )
□ 개요
□ 베트남에 진출한 외국계 증권사들은 최근 베트남의 고물가, 고금리 그리고 금융시장이 불안한 현재의 경제 환경에서는 M &A가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조언함.
- 베트남의 주식시장은 지난해 초 대비 약 10% 하락하였고, 금년 들어 다소 상승하였으나 연말까지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임.
- 따라서 베트남 정부는 외자유입과 경제개혁, 자금난 해소, 경쟁력 강화를 위해 M &A가 해결책이라고 판단하고 일부 우량 공기업도 M &A 시장에 출현할 가능성이 높음.
□ 베트남 M &A 시장 활성화 요인
□ 베트남의 주식시장 침체가 장기화 되자 호치민 거래소(HoSE)와 하노이 거래소(HNX)에 상장된 680개 기업 대부분은 저평가되어 있어 M &A 조건이 성숙하고 있음.
- 베트남 기업의 입장에서 현재 금융권의 고금리와 기업 가치의 저평가는 자금난에 처해 있음을 의미하므로 우량기업과의 M &A가 기업생존의 열쇠임.
- 최근 베트남 중앙은행이 대출 금리 상한선을 설정하는 등 시중 자금난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은행권 금융 비용은 여전히 높은 편임.
□ 기타 요인으로는 베트남 기업의 경쟁력 약화를 들 수 있음.
- 베트남 기업들이 생산하는 제품은 여전히 노동 집약적이고 기술 지향적이지 않으며, 여전히 가격경쟁력에 의지하고 있음.
- 기업 규모도 영세하고 R &D 예산이 전무하여 시장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어 제품 경쟁력 상실시 가격인하가 유일한 대처 방안이며, 이로 인해 상품의 질이 저하되고 기업의 수익성이 악화되어 자금난은 더욱 심해짐.
- 이러한 기업들은 M &A 유치를 통해 자금난, 경쟁력 보완을 필요로 함.
□ 최근 국영자본투자공사(State Capital Investment Corporation, SCIC)가 보유한 국영기업이 투자 포트폴리오 조정을 위해 지분을 매각 중에 있어 일부 공기업의 지분 획득도 가능하게 되었음.
- 일부 외국인투자 지분 제한이 있는 산업을 제외하고 외국인투자가들은 100% 지분획득도 가능함.
- 공기업 민영화가 부진한 상황이나 경제를 회복하고 효율성을 위해서 공기업에 대한 지분도 대폭 개방될 것임.
□ 베트남 M &A 시장 현황
□ EuroChan에 의하면, 일부 소속 기업들은 금년이 M &A 적기로 판단함.
- 베트남에서 M &A 전문 법률회사인 SmiC law firm에 따르면, 금년을 기점으로 베트남의 M &A 시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함.
- 즉, 세계경제에 민감한 베트남이 위기에 처하였음은 공기업을 비롯한 우량 M &A 매물이 증가한다는 의미이고, 베트남의 입장에서도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외국인투자를 유치해야 하며, 이를 위해 투명성 제고가 우선인바, 정책적 우선순위는 공기업 민영화에 있음.
□ NEXUS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베트남에서 성공한 M &A 사례는 최종 소비재 생산기업, 금융 및 부동산 부문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시장규모는 약 26억 7,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약 1.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이중 최종 소비재 생산 기업에 대한 M &A가 약 10억 달러로 약 38.6%를 차지하였고, 금융부문 4억 5,340만 달러로 16.9% 차지함.
- 해외 투자와 국내 투자 비중은 각각 81.3%, 18.7%로 해외 비중이 월등히 높음.
□ 투자전문회사 VietCapital 관계자에 따르면, 금년에 베트남 은행 구조조정이 예상됨에 따라 몇몇 해외 펀드가 은행권 M &A에 관심이 높다고 전하고, 기타 인기 높은 매물 기업은 식음료, 부동산, 물류, 제약, 건설 부문이라고 밝힘.
- 은행권에서도 금년에 M &A를 통한 구조조정이 임박했다고 전망하고 있는데, 현재 37개 상업은행 가운데 최대 부실채권 비율이 높은 2/3가 M &A 시장에 출현할 것이라고 예상함.
- 금융권 부실의 원인인 부동산 부문은 지난해 1~9월에만 2억 달러의 M &A가 성사되었고 현재에도 여전히 침체기에 있어 일본, 싱가포르계 펀드가 관심이 높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음.
□ 평가 및 전망
□ 현재 베트남의 M &A 시장 특징은 베트남에 진출하려는 외국계 펀드 대부분이 비상장 기업에 관심이 높다는 점임.
- 금년에는 베트남으로 외국인직접투자 시장은 M &A가 주도할 전망이며, 이는 베트남에 국제수지 개선과 외자기업은 베트남 시장 진입이 용이하기 때문임.
- 그러나 베트남에 대한 부정적인 요인으로 중장기적으로 베트남 산업에 외국인 지배 구조가 확대되는 점과 보호 산업에 진출시 산업 안보를 보장할 수 없다는 점을 들 수 있음.
- 이와 관련하여 베트남 정치권에서는 M &A 관련 법안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同 법안에는 민감부문의 외국인 투자사 거래와 지분 취득 관련 조항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음.
자료 : 국영자본투자공사(State Capital Investment Corporation, SCIC) 및 하노이 무역관 종합
번호 | 분류 | 제목 | 날짜 |
---|---|---|---|
687 | [호치민무역] 베트남, COVID-19 관련 기업 지원정책 주요 내용 | 2021.10.25 | |
686 | 2020년 베트남 경제, 2분기 부진을 4분기가 하드캐리 | 2020.12.28 | |
685 | 베트남 단기출장자 특별입국 절차 | 2020.12.28 | |
684 |
베트남 비료 시장동향
![]() |
2019.12.28 | |
683 | [kotra 정보] 2017년 베트남 소비시장 핫트렌드 6 | 2017.11.05 | |
682 | [유망] 베트남 철강 시장동향(KOTRA 자료) | 2017.08.20 | |
681 |
세계에서 가장 매력적인 소매 시장에서 베트남 6위로 부상, 미국 A.T 커니 조사
![]() |
2017.06.17 | |
680 | [유망] 베트남 소형가전 시장동향 | 2017.06.14 | |
679 | 베트남 시장 공략의 핵심 키워드는 프리미엄 | 2017.04.02 | |
678 | 베트남 젊은이들의 최신 소비 트렌드 따라잡기 | 2016.12.20 | |
677 |
중국발 통화 전쟁 우려 속에 베트남 동화의 앞날은?
![]() |
2015.09.15 | |
676 | ‘생계형’에서 ‘자기만족형’ 소비로 이행하는 베트남 +1 | 2015.01.11 | |
675 |
떠오르는 베트남 온라인 쇼핑 및 전자상거래시장
+1 ![]() |
2014.12.27 | |
674 |
베트남 수산물 산업동향
![]() |
2014.12.27 | |
673 | 베트남 국내 운송시장의 현황과 전망 | 2014.12.01 | |
672 |
베트남 식음료 소비패턴 변화, 한국 기업의 새로운 기회
![]() |
2014.11.09 | |
671 |
버찌 팔아 2억 달러, 베트남과 중국의 국경무역 현주소
![]() |
2014.07.30 | |
670 | 베트남, 원부자재 수입공급선 다변화 모색 | 2014.07.30 | |
669 | 하반기 베트남 경제, 중국과의 관계가 변수로 부상 | 2014.06.30 | |
668 |
베트남 섬유·의류산업 동향과 전망
![]() |
2014.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