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기업 간 최대 상호-유익 협력 M&A
-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베트남 M &A 활동 추세 –
- 발전 가능성 많은 베트남 소비재 부문과 금융 부문 M &A 공략이 관건 –
□ 베트남 M &A 활동 현황
○ 최근 지속된 베트남 경제 불황으로 베트남 현지 기업들은 기업의 존립과 성장을 위해 기하급수적으로 외국 파트너와의 M&A 활동을 늘림.
○ 베트남 M&A 현황 분석기관에 따르면 2011년 베트남 총 M &A 협상규모는 40억 달러로 17억 달러를 기록한 2010년보다 높은 수치의 규모를 기록
○ 작년 총 40억 달러의 M&A 협상 규모 중 베트남 현기기업-외국기업 간에 M&A 협정 규모는 26억 달러로 총 M &A 중 65%를 차지
2011년 베트남M &A 협상 규모
(단위 : 10억 달러)

자료원: Thomson Reuters, IMAA Vietnam, AVM Vietnam
□ 베트남 대표적 M &A 성공 사례
○ 베트남 대표적 M &A 사례로는 Unicharm과 Diana의 합병, PVI Holdings와 Talanx의 합병 사례가 있으며 IFC의 Vietinbank 지분 10% 매입, Mizuho의 Vietcombank 전략주 매입, Carlsberg의 Hue Brewery Company 인수 등의 사례가 있음.
○ PVI Holdings사와 Talanx사의 합병으로 탄생한 Gtel-Mibile은 회사지분의 49%를 소유해 탄탄한 경영력을 지님.
○ 베트남 현지 기업-외국 기업 간에 M &A 협상이 늘어나는 주요 원인은 자금력이 부족한 베트남 현지 기업이 파산·청산을 피하고 더 많은 투자를 위한 효율적 자본금 유치할 수 방법이기 때문이며 외국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직접 투자를 진행하는 것보다 기업을 인수하는 것이 투자에 더 유리하다고 생각하기 때문
□ 베트남 유력 M &A 부문
○ 소비재 부문 M&A
- AVM Vietnam에 따르면 2011년 베트남 현지기업과 외국 기업 간 주요 M&A 분야는 소비재와 금융 부문이며, 특히 2011년 소비재 부문 M&A 협상 규모는 총 10억 달러로 전체 M &A 비율 중 25%를 차지
- 외국 투자자들은 베트남 현지 기업과의 M &A를 통해 베트남 현지 기업이 보유한 가치체인과 시장의 확장에 유리하다는 점에 있음.
- 소비재 부문 M&A 중 대표적 성공 업체는 Unicharm – Diana와 Marico – ICP, Carlsberg – Hue Brewery Company가 있음.
○ 금융부문 M&A
- 금융 역시 외국 투자자들이 관심을 가지는 M &A 부문으로 대표적인 M &A 성공 업체는 Vietcombank-The Mizuho와 Vietinbank-IFC, PVI Holdings –Talanx M &A가 있으며 또한 베트남 현지 대형 금융자산 기관들 역시 전략적 파트너로 외국 투자자들을 찾음.
□ 선호 M &A 투자국가
○ 베트남 현지 기업이 선호하는 외국 투자자는 일본 투자자와 중국 투자자이며 이들과 가장 많은 M &A가 체결됨.
○ 일본 기업
- 일본 투자자의 경우 막대한 자본력으로 소비재 부문과 금융 부문 M &A를 주도하며 중국 투자자의 경우 가축 사료 부문에 집중을 하는 중
- 일본은 2011년 베트남 M &A 시장에 총 5억9600만 달러 상당의 많은 자금을 투입했으며 특히 대표적인 금융부문 M &A 사례는 Mizuho 금융이 15%의 Vietcombank 지분을 매입한 사례
- Mizuho-Vietcombank의 M &A 사례는 Sumitomo Mitsui Banking Corporationd의 Eximbank 15% 지분 매입을 이은 두 번째 금융 분야 M &A 사례
- 한편 소비재 부문 대표적 M &A 사례는 일본 Unicharm 사와 베트남 Diana사 간에 M &A로 Unicharm사는 총 규모 1억2900만 달러를 들여 Diana와 전략적 제휴를 맺음.
- 그 외 주요 일본 기업 간 M&A 사례는 Kirin Holding사의 IFS 지분 재구입과 Daio Paper의 Saigon Paper사의 지분 인수, Glico의 Kinh Do사 10.5% 지분 인수 등이 있음.
일본 Daio Paper사의 Saigon Paper 공장 견학

○ 중국 기업
- M &A 전문가에 따르면 2011년 중국 기업-베트남 현지 기업 간 M&A 규모는 7억4900만 달러라고 발표
- 베트남 대중 매체를 통해 자주 노출되는 일본 기업-베트남 현지 기업의 M &A 사례와 달리 중국 기업-베트남 현지 기업의 M &A 사례는 대중 매체를 통해 잘 알려지지 않아 관련 정보가 부족함.
□ 기업별 M &A 전략
○ Diana-Unicharm Group : M&A
- Diana Vietnam Company는 베트남 현지 소비재 부문에서 잘 알려진 업체로 베트남 냅킨 시장의 30~40% 점유율을 차지하며 매년 64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 중
- Unicharm은 일본 대기업 중 하나로 아시아 지역에 많은 공장과 판매망을 보유함.
- 하노이 Vinh Tuy에 위치한 Diana 합작회사는 베트남 현지 의료·위생제품 생산업체로 현재 기업 성장을 위해 일본 Unicharm Group에 1억2800만 달러 상당의 주식을 팔았으며 현재 이익을 위한 상호 협력 중
○ PVI Holdings and Talanx의 전략적 파트너십
- Talanx Group은 베트남 보험시장 진출을 위해 PVI Holdings (formerly Petrovietnam Insurance Joint-Stock Corporation)사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음.
- Talanx사는 PVI Holdings사의 경영 개선을 지원하며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Talanx사는 합작 이후 25% 지분을 가지게 돼 PVI Holdings 재정 강도를 향상시킴.
- 현재 Talanx-PVI Holdings사는 베트남 내에서 유일하게 산업보험과 재보험 제도를 적용하며 베트남 산업생명 보험시장 점유율의 24%를 차지
- 또한 2010년 베트남 전국에 1370명의 직원과 25개 지점을 보유 중이며 연간 1억8300만 달러의 보험료 수익을 얻음.
* Talanx는 유럽에서 11번째로 큰 보험 업체이며 2010년 보험료 수익은 230억 유로에 달함.
○ CT Group – CJ Group: 상호유익 제휴관계
- C.T Land사는 한국 CJ 그룹 계열사인 CJ GLS Co. Ltd와 제휴관계에 있으며 C.T Land사는 물류∙해운회사인 CJ GLS와 협력해 공동으로 베트남 물류시스템을 개발 중
- 주요 물류시스템 개발 지역:
* 남부: Binh Duong 지역
* 중부: Danang 지역
* 북부: Bac Ninh지역
- CJ 그룹은 이번 제휴를 통해 베트남 엔터테인먼트 분야 등 여러 사업분야에서 입지를 강화함.
C.T 그룹의 Tran Kim Chung(우) 회장과 CJ GLS의 제휴 조인식

□ 한국 기업 권장 사항
○ 최근 Thomson Reuters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외국 기업에 기회의 땅인 베트남은 아시아 퍼시픽 지역에서 8번째로 가장 M &A 활동이 활발한 지역으로 선정
○ 6월 호치민 시에서 열린 베트남 M &A 설명회 사전 설문 조사에 따르면 65%의 외국 투자자들은 베트남 내 M &A 성공 가능성을 크게 본다고 함.
○ 또한 AVM Vietnam에 따르면 가까운 시일 내 매년 30% 이상의 베트남 현지기업-외국기업이 M &A 체결을 이룰 것이라 전망
○ 이와 같은 여건을 반영하듯 베트남 현지 기업들은 한국을 포함한 여러 외국 투자자들과의 협력을 기다리는 중
○ 일본 투자자의 경우 주로 베트남 소비재 부문과 금융 부문에 투자하는 경향이 있어 현재 치열한 경쟁이 있지만 베트남 소비재 부문과 금융 부문은 발전 가능성이 많아 성공 가능성 역시 높은 편
○ CBRE Vietnam Mr. Marc Townsend 대표이사는 2012년 이후 베트남 업체의 외국 파트너는 점차 부동산 부문 M &A에 더 많은 협력이 있을 것이라 예상
- 현재 많은 외국 투자자들은 부동산 부문의 장점을 고려해 관련 베트남 현지 전략적 파트너를 물색 중
□ M &A 관련 정보
○ 베트남 M &A 설명회
- Vietnam Investment Review와 AVM Vietnam 주최, 베트남 기획투자부 주관의 베트남 M &A 설명회는 전략적 업무 제휴에 관한 연례행사로 2009년부터 100명의 연설자와 1000명의 참가자들을 유치
- 2012 베트남 M &A 설명회는 지난 6월 7일 호치민에서 개최됐으며 총 4개의 세션으로 나뉨.
- 세션 1. M&A회담
* 2011~2012년 M&A 활동 동향
* 2011년 성공적인 M &A 협상 하이라이트
* M &A 전략과 포스트 이슈
- 세션 2. 투자유치 박람회
* 프로젝트와 서비스 홍보, 소개
* 전략적 사업 제휴
- 세션 3. 2012년 베트남 M &A Outlook
* 베트남 M &A 활동과 시장 특성, 법제도, 지식 등 소개
- 세션 4. Vietnam Deal Award 2011
* 2011년~2012년 최고 사모펀드, 인수건, 합병건 수 선정·수상
자료원: AVM Vietnam, VIR, 코트라 호치민 무역관 종합
번호 | 분류 | 제목 | 날짜 |
---|---|---|---|
687 | [호치민무역] 베트남, COVID-19 관련 기업 지원정책 주요 내용 | 2021.10.25 | |
686 | 2020년 베트남 경제, 2분기 부진을 4분기가 하드캐리 | 2020.12.28 | |
685 | 베트남 단기출장자 특별입국 절차 | 2020.12.28 | |
684 |
베트남 비료 시장동향
![]() |
2019.12.28 | |
683 | [kotra 정보] 2017년 베트남 소비시장 핫트렌드 6 | 2017.11.05 | |
682 | [유망] 베트남 철강 시장동향(KOTRA 자료) | 2017.08.20 | |
681 |
세계에서 가장 매력적인 소매 시장에서 베트남 6위로 부상, 미국 A.T 커니 조사
![]() |
2017.06.17 | |
680 | [유망] 베트남 소형가전 시장동향 | 2017.06.14 | |
679 | 베트남 시장 공략의 핵심 키워드는 프리미엄 | 2017.04.02 | |
678 | 베트남 젊은이들의 최신 소비 트렌드 따라잡기 | 2016.12.20 | |
677 |
중국발 통화 전쟁 우려 속에 베트남 동화의 앞날은?
![]() |
2015.09.15 | |
676 | ‘생계형’에서 ‘자기만족형’ 소비로 이행하는 베트남 +1 | 2015.01.11 | |
675 |
떠오르는 베트남 온라인 쇼핑 및 전자상거래시장
+1 ![]() |
2014.12.27 | |
674 |
베트남 수산물 산업동향
![]() |
2014.12.27 | |
673 | 베트남 국내 운송시장의 현황과 전망 | 2014.12.01 | |
672 |
베트남 식음료 소비패턴 변화, 한국 기업의 새로운 기회
![]() |
2014.11.09 | |
671 |
버찌 팔아 2억 달러, 베트남과 중국의 국경무역 현주소
![]() |
2014.07.30 | |
670 | 베트남, 원부자재 수입공급선 다변화 모색 | 2014.07.30 | |
669 | 하반기 베트남 경제, 중국과의 관계가 변수로 부상 | 2014.06.30 | |
668 |
베트남 섬유·의류산업 동향과 전망
![]() |
2014.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