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휴대폰시장, 향후 5년간 연평균 20%대 성장 전망
- 3G 기술 라이선스 획득 경쟁에서는 MobiFone이 선두 -
보고일자 : 2008.5.16.
김동현 호치민무역관
□ 연평균 23.5% 성장 전망
ㅇ Altimo Foundation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베트남 휴대폰 시장은 향후 5년간 영국보다 3배나 빠른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라고 함.
- 2008~13년간 연평균 23.5%의 성장세를 보일 전망
ㅇ 이 조사에 따르면, 세계 이동통신 시장에서 이머징 마켓이 차지하는 비중은 이미 선진국을 능가했음.
- 2013년경에는 이머징 마켓의 이동통신 시장 가치가 전 세계 이동통신시장의 7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됨.
ㅇ 베트남에서도 휴대폰은 필수품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으며, 경제 급성장에 따른 소득수준 증가로 휴대폰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일 전망임.
베트남의 연도별 이동통신 가입자수
(단위 : 명)
연도 |
가입자 수 |
1994 |
3,200 |
1995 |
15,000 |
1996 |
58,500 |
1997 |
130,000 |
1998 |
210,000 |
1999 |
326,000 |
2000 |
775,000 |
2001 |
1,230,000 |
2002 |
1,900,000 |
2003 |
3,000,000 |
2004 |
4,800,000 |
2005 |
8,000,000 |
2006 |
15,000,000 |
2007 |
18,000,000 |
2008 (예상) |
22,000,000 |
자료원 : VNPT(Vietnam Post and Telecommunications Group), 기타 현지 언론
ㅇ 전문가들에 따르면, 베트남 휴대폰 시장에서 500만 동(약 312달러) 이상의 고가품 점유율은 18%, 300만 동(약 187달러) 이하의 저가품 점유율은 60%로 분석된다고 함.
- 아직까지는 저가품 위주의 시장이나 점차 중고가품 시장점유율이 커지고 있는 추세인 것으로 파악됨.
□ 베트남 이동통신업체들, 3G(third-generation) 기술 라이선스 획득 경쟁 치열
ㅇ 고수익이 예상되는 3G 기술 라이선스 획득을 위한 이동통신 업체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음.
- 베트남 정부는 통신망 인프라 및 finance 능력이 충분한 기업에만 라이선스를 부여할 것이라고 발표
- 관련 전문가들에 따르면, 현지 이동통신 업체들 중 3~4개사만이 라이선스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을 갖춘 것으로 보이며, 업체들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라고 함.
ㅇ 베트남 이동통신 시장은 MobiFone, Viettel, Vinaphone 등 3개사가 전체 시장의 90%를 점유하고 있음.
- MobiFone 관계자에 따르면, MobiFone의 시장점유율은 40%에 달한다고 함.
ㅇ 관련 전문가들에 따르면, MobiFone은 인적 자원이 풍부하고 금융 및 서비스 제공 능력이 뛰어나며 효과적인 사업계획을 보유하고 있어, 3G 라이선스 획득 경쟁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함.
ㅇ 또한 노키아, 지멘스, Frence Telecom 등 세계 유수의 3G 기술 제공업체들이 베트남의 3G 기술 발전 잠재력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음.
□ 외국계 통신업체들, 베트남 투자 적극 희망
ㅇ 외국계 통신업체들이 베트남 통신업체 지분 인수를 통한 베트남 진출을 적극적으로 희망하고 있으나, 주식 공급이 제한돼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음.
- VNPT 관계자에 따르면, 현 제도하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은 현지 이동통신 업체 지분을 49%까지만 취득할 수 있다고 함.
ㅇ VNPT 관계자에 따르면, 지금까지 많은 해외 통신업체들이 베트남 내에 대표 사무소를 개설하고 이동통신 업체에 대한 투자 기회를 모색 중이라고 함.
- 외국계 통신회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현지 3대 이동통신 업체는 MobiFone, VinaPhone, Viettel임.
ㅇ 베트남 시장진출을 일찍부터 서둘러 온 Frence Telecom은 현지 통신시장 진출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 일본의 NTT-DoCoMo사도 세계 진출 전략의 일환으로 베트남 통신시장 진출을 위해 노력 중임.
- 노르웨이의 Telenor사는 아직 현지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기는 하나 베트남에 대표 사무소를 개설하고 현지 진출 노력을 가시화하고 있음.
□ 시사점
ㅇ 베트남 이동통신시장이 고성장세를 보일 전망임에 따라 한국 대형 통신업체의 현지 진출이 더욱 활발해질 전망임.
ㅇ 이와 함께, 관련 제품인 휴대폰 시장 진출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ㅇ 현재까지는 노키아 제품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나, 한국과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져감에 따라 한국산의 시장점유율이 점점 더 높아질 것임.
자료원 : 베트남 뉴스, VNPT, 무역관 조사자료 종합
번호 | 분류 | 제목 | 날짜 |
---|---|---|---|
687 | [호치민무역] 베트남, COVID-19 관련 기업 지원정책 주요 내용 | 2021.10.25 | |
686 | 2020년 베트남 경제, 2분기 부진을 4분기가 하드캐리 | 2020.12.28 | |
685 | 베트남 단기출장자 특별입국 절차 | 2020.12.28 | |
684 |
베트남 비료 시장동향
![]() |
2019.12.28 | |
683 | [kotra 정보] 2017년 베트남 소비시장 핫트렌드 6 | 2017.11.05 | |
682 | [유망] 베트남 철강 시장동향(KOTRA 자료) | 2017.08.20 | |
681 |
세계에서 가장 매력적인 소매 시장에서 베트남 6위로 부상, 미국 A.T 커니 조사
![]() |
2017.06.17 | |
680 | [유망] 베트남 소형가전 시장동향 | 2017.06.14 | |
679 | 베트남 시장 공략의 핵심 키워드는 프리미엄 | 2017.04.02 | |
678 | 베트남 젊은이들의 최신 소비 트렌드 따라잡기 | 2016.12.20 | |
677 |
중국발 통화 전쟁 우려 속에 베트남 동화의 앞날은?
![]() |
2015.09.15 | |
676 | ‘생계형’에서 ‘자기만족형’ 소비로 이행하는 베트남 +1 | 2015.01.11 | |
675 |
떠오르는 베트남 온라인 쇼핑 및 전자상거래시장
+1 ![]() |
2014.12.27 | |
674 |
베트남 수산물 산업동향
![]() |
2014.12.27 | |
673 | 베트남 국내 운송시장의 현황과 전망 | 2014.12.01 | |
672 |
베트남 식음료 소비패턴 변화, 한국 기업의 새로운 기회
![]() |
2014.11.09 | |
671 |
버찌 팔아 2억 달러, 베트남과 중국의 국경무역 현주소
![]() |
2014.07.30 | |
670 | 베트남, 원부자재 수입공급선 다변화 모색 | 2014.07.30 | |
669 | 하반기 베트남 경제, 중국과의 관계가 변수로 부상 | 2014.06.30 | |
668 |
베트남 섬유·의류산업 동향과 전망
![]() |
2014.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