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유통업 시장 개방 동향 및 외국기업 취급 금지품목
보고일자 : 2007.3 .14
□ 실시 배경
Ο 베트남 정부는 2007년 1월 WTO 회원자격획득에 따라 유통업 시장개방 일정을 약속한 바 있음.
Ο 유통업은 도소매업, 커미션 에이전트 서비스업, 프랜차이즈 서비스업으로 구분되며 분야별로 외국투자기업 설립조건과 취급 금지 품목과 해제 시기를 명시하고 있음.
Ο 이 서비스 분야 시장 개방시기와 품목별 개방 여부는 베트남 무역부(MOT) 에서 결정하고 있으며 당관이 베트남 무역부(MOT)를 접촉, 확인한 결과 세부 개방일정 및 개방 예외 품목 등은 다음과 같음.
□ 실시 내용
Ο 유통업(도소매업, 커미션 에이전트 업, 프랜차이즈 업) 전문 외국기업 설립 조건(개방일정)
- 현재(WTO 가입 직후) 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 외국 유통기업이 베트남 진출을 희망할 경우 베트남 기업과 합작투자 형태로만 가능하며 외국기업 지분율은 49%를 넘을 수 없음.
- 2008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 베트남 기업과 합작투자 형태로만 가능하나 외국기업의 49% 지분율 제한이 없어져 51% 이상 보유 가능
- 2009년 1월 1일부터 : 외국기업 100% 단독 투자진출이 가능
Ο 유통업 분야 외국기업 취급 금지 품목(완전 금지품목 및 일시 금지 품목)
- 외국기업 완전 취급 금지품목 : 권련 및 시가, 서적, 신문, 잡지, 비디오 및 영상물, 귀금속, 의약품( 건강보조식품 제외), 폭약 및 화약류, 원유 및 가공품, 쌀, 사탕수수, 사탕무
- 현재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취급 금지 품목 : 상기 완전 취급 금지 품목과 시멘트 및 클링커, 타이어(비행기용 타이어 제외), 종이, 트랙터, 자동차, 오토바이, 철강제품, 음향기기, 포도주 및 주류, 비료
- 2009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지 : 상기 완전 취급 금지 품목과 시멘트 및 클링커, 타이어(비행기용 타이어 제외), 종이, 철강제품, 음향기기, 포도주 및 주류, 비료(트랙터, 자동차, 오토바이는 해제)
- 2010년 1월 1일부터 : 상기 완전 취급 금지 품목을 제외한 전 품목 해제
베트남 정부의 외국인 유통업분야 시장개방계획 및 취급 금지품목
구 분 |
2007.1.1~12.31 |
2008.1.1~12.31 |
2009.1.1~12.31 |
2010.1.1 ~12.31 |
비고 | ||
회사 설립 조건 |
- 베트남기업과 합작만 허용 - 외국인 지분 49% 이하 |
- 베트남기업과 합작만 허용 - 외국인 지분 제한 없음. |
외국인 100% 단독회사설립 가능 |
좌동 |
프랜차이즈업 2010년부터 지점설치 (Branching) 허용 | ||
취금 금지 품목 |
완전 금지 품목 |
- 권련 및 시가 - 서적, 신문, 잡지 - 비디오 및 영상물 - 귀금속 - 의약품(건강보 조식품 제외) - 폭약 및 화약류 - 원유 및 가공품 - 쌀 - 사탕수수 - 사탕무 |
좌 동 |
좌 동 |
좌 동 |
- 일부 품목 수출입 업무 허가 예정(무역 부 추후 결정계획) - 2011년부터 쌀 수출업무 가능 |
|
일시 금지 품목 |
- 시멘트 및 클링커 - 타이어(비행기용 타이어 제외) - 종이 - 트랙터 - 자동차 - 오토바이 - 철강제품 - 음향기기 - 포도주 및 주류 - 비료 |
좌 동 |
- 시멘트 및 클링커 - 타이어(비행기 용 타이어제외) - 종이 - 철강제품 - 음향기기 - 포도주 및 주류 - 비료 |
금지품목 해제 |
2009년부터 트랙터, 자동차, 오토바이 취급 금지 조기 해제 |
정보원 : 무역관 정리
□ 시사점
Ο 베트남 정부는 상기 개방일정과는 별도로 완전 금지 품목 중 담배 등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외국기업의 진출을 조기 허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시장개방이 가속화될 것으로 판단됨.
Ο 따라서 우리기업들은 베트남 서비스 시장의 환경변화 내용을 숙지해 경쟁국 대비 조기 진출을 통해 시장기반을 확고히 구축해야 될 것으로 판단됨.
정보원 : 베트남 무역부(MOT) 방문조사
번호 | 분류 | 제목 | 날짜 |
---|---|---|---|
687 | [호치민무역] 베트남, COVID-19 관련 기업 지원정책 주요 내용 | 2021.10.25 | |
686 | 2020년 베트남 경제, 2분기 부진을 4분기가 하드캐리 | 2020.12.28 | |
685 | 베트남 단기출장자 특별입국 절차 | 2020.12.28 | |
684 |
베트남 비료 시장동향
![]() |
2019.12.28 | |
683 | [kotra 정보] 2017년 베트남 소비시장 핫트렌드 6 | 2017.11.05 | |
682 | [유망] 베트남 철강 시장동향(KOTRA 자료) | 2017.08.20 | |
681 |
세계에서 가장 매력적인 소매 시장에서 베트남 6위로 부상, 미국 A.T 커니 조사
![]() |
2017.06.17 | |
680 | [유망] 베트남 소형가전 시장동향 | 2017.06.14 | |
679 | 베트남 시장 공략의 핵심 키워드는 프리미엄 | 2017.04.02 | |
678 | 베트남 젊은이들의 최신 소비 트렌드 따라잡기 | 2016.12.20 | |
677 |
중국발 통화 전쟁 우려 속에 베트남 동화의 앞날은?
![]() |
2015.09.15 | |
676 | ‘생계형’에서 ‘자기만족형’ 소비로 이행하는 베트남 +1 | 2015.01.11 | |
675 |
떠오르는 베트남 온라인 쇼핑 및 전자상거래시장
+1 ![]() |
2014.12.27 | |
674 |
베트남 수산물 산업동향
![]() |
2014.12.27 | |
673 | 베트남 국내 운송시장의 현황과 전망 | 2014.12.01 | |
672 |
베트남 식음료 소비패턴 변화, 한국 기업의 새로운 기회
![]() |
2014.11.09 | |
671 |
버찌 팔아 2억 달러, 베트남과 중국의 국경무역 현주소
![]() |
2014.07.30 | |
670 | 베트남, 원부자재 수입공급선 다변화 모색 | 2014.07.30 | |
669 | 하반기 베트남 경제, 중국과의 관계가 변수로 부상 | 2014.06.30 | |
668 |
베트남 섬유·의류산업 동향과 전망
![]() |
2014.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