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국내의 패스트 푸드 시장에선 지금 치열한 레이스가 전개되고 있지만, 이 레이스에 베트남 국내 기업은 등장하지 않고 있다.
호치민시에서 11월 말 미국의 유명 도넛츠 체인인 "던킨 도너츠(Dunkin'Donuts)"의 베트남 1호점이 오픈했다. 그 이전에 미국의 세계적 햄버거 브랜드 "버거킹(Burger King)"이 베트남에서 사업을 시작하고 있으며, 몇 개월 뒤에는 "패스트 푸드 업계의 거인 "맥도날드(McDonald's)도 베트남에 등장할 것이다. 세계적 패스트 푸드 기업들이 속속 베트남에 진출해 오고 있다.

외국 브랜드들의 레이스 경쟁
유로 모니터 인터내셔널(Euromonitor International)은 최근 조사에서 베트남의 패스트 푸드 시장에 대해 "낙관적인 발전"을 예상했다. 2014년에는 15%의 비율로 성장할 전망이다고 한다.
베트남 시장에서 지금까지 사업을 전개 발전해 오고 있는 외국 패스트 푸드 브랜드는 대체로 다음과 같다. KFC, Lotteria, Burger King, Subway그리고 Jollibee, Pizza Hut또한 Domino's Piza. 그 중에서도 Lotteria는 베트남 국내에서 가장 매장 수가 많은 약 160개 점포가 있다. 다음은 미국의 KFC로 140점포, 셋 번째는 필리핀의 Jollibee에 30개 점포이다.
베트남 상공성 통계에 따르면 매년, 패스트 푸드의 매출은 20%이상 증가하고 있다. 유명 브랜드가 인기를 끌고 있으며 특히 KFC, Lotteria, Jollibee의 성장이 현저하다고 한다.
라이벌을 쫓아가야 하는 입장의 Burger King은 2012년 말 베트남에 출자(진출)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하노이, 호치민시와 다낭에서 약 20개의 레스토랑을 오픈하고 있다. 평균적으로 1개월에 1개씩 오픈하는 셈이다. 베트남에서 Burger King의 프랜차이즈를 구입한 기업인 Canh Dieu Xanh사의 Le Hong Thuy Tien사장은 "우선 중심이 되는 장소에서 발전하면서 여러 지방에서 전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Burger King과 마찬가지로 성장을 지향하는 Subway도 적극적으로 레스토랑에 투자했고 "신선한 Sandwich"의 브랜드 확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Dunkin'Donuts도 2번째 레스토랑을 호찌민 District2에 연내 오픈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통계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외국 패스트 푸드 기업은 각각의 시장 유지와 동시에 확대 전략을 취한다고 보여져 2014년은 경쟁이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치열해 베트남의 패스트 푸드 시장 ② 국내 기업은 투자할 수 있나
외국 패스트 푸드 기업에 원자재 제공, 국내 기업에 기회는 있는가

많은 외국 기업이 패스트 푸드 시장에 투자하고 있으나 국내 기업은 하나도 없는 상황이다.
"포 24"브랜드를 개발한 Ly Qui Trung씨는 "베트남 토종 패스트 푸드"를 최초로 만들었다. 그리고 베트남은 근대적인 패스트 푸드가 빠른 속도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 기업은 패스트 푸드 시장의 성장에 대비하지 않으면 외국 기업이 독점해 버릴 거다. 라는 이 예상은 현실이 됐다. "포 24"브랜드는 Highland Coffee에 권리를 할양했다.
"킨트(Kinh Đô) 케익·제과 회사"는 K-do브랜드인 베트남 스타일의 패스트 푸드 체인 개발을 기대대로 실시하지 못 했다. Vietmac의 삼각김밥 브랜드도 베트남의 '가정 요리'를 패스트 푸드로 시도에 도전하였지만, 확대 예정은 아직 미정인 것 같다.
패스트 푸드 시장에 참가하지 못하는 국내 기업은 외국 패스트 푸드 기업에 원자재를 제공할 기회도 없는 것일까.
외국 패스트 푸드 기업들이 베트남에 출자(진출)해 봤을 때, (베트남)국내 기업에 제품·재료 등을 제공할 기회를 열릴 것이다.라는 예상이 있었다. 하지만 기업들에 있어서 "원자재 제공 서플라이어"가 되는 것은 아주 어려운 일이었다.

"왜냐하면 파트너(외국 패스트 푸드 기업)로부터 높은 요구 조건에 응하기가 매우 어렵다. 안정적인 제품의 품질, 크기, 수 등을 유지하고 이러한 것은 간단해 보이지만, 패스트 푸드 기업들들의 파트너가 되기 위해서는 「큰 도전」이다". 미국의 패스트 푸드 기업에 닭고기를 납품한 경험이 있는 한 사업가는 이렇게 말했다.
독자적인 공급망 구축을 지원하거나 원료의 대부분을 수입으로 충당하거나 하는 기업도 있어.
이러한 가운데, 제과 메이커 아챠우(ABC)의 오너에 따르면 내년, 베트남의 McDonald's에 빵을 제공하기 위해 현재 연구 중이라고 한다. ABC는 패스트 푸드에 빵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 시장은 닭이 '황금 알'을 낳는 것 같다.라고 비유했다. 패스트 푸드 기업에 빵을 제공하는 매출은 ABC 총 매출의 약 2%이었다. 그러나 올해는 30%이상으로 예상하고 있다.
내년, 소매시장이 외국 투자가들에게 확대된다. 외국의 소매업자들이 대형 패스트 푸드 프랜차이즈에 원자재를 제공하는 공급자도 될 수 있다. 이러한 큰 시장에서 베트남 국내 기업은 무엇을 잡을 수 있을 것인지..
- 발췌 번역 / 정리 - ⓒ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
번호 | 분류 | 제목 | 날짜 |
---|---|---|---|
687 | [호치민무역] 베트남, COVID-19 관련 기업 지원정책 주요 내용 | 2021.10.25 | |
686 | 2020년 베트남 경제, 2분기 부진을 4분기가 하드캐리 | 2020.12.28 | |
685 | 베트남 단기출장자 특별입국 절차 | 2020.12.28 | |
684 |
베트남 비료 시장동향
![]() |
2019.12.28 | |
683 | [kotra 정보] 2017년 베트남 소비시장 핫트렌드 6 | 2017.11.05 | |
682 | [유망] 베트남 철강 시장동향(KOTRA 자료) | 2017.08.20 | |
681 |
세계에서 가장 매력적인 소매 시장에서 베트남 6위로 부상, 미국 A.T 커니 조사
![]() |
2017.06.17 | |
680 | [유망] 베트남 소형가전 시장동향 | 2017.06.14 | |
679 | 베트남 시장 공략의 핵심 키워드는 프리미엄 | 2017.04.02 | |
678 | 베트남 젊은이들의 최신 소비 트렌드 따라잡기 | 2016.12.20 | |
677 |
중국발 통화 전쟁 우려 속에 베트남 동화의 앞날은?
![]() |
2015.09.15 | |
676 | ‘생계형’에서 ‘자기만족형’ 소비로 이행하는 베트남 +1 | 2015.01.11 | |
675 |
떠오르는 베트남 온라인 쇼핑 및 전자상거래시장
+1 ![]() |
2014.12.27 | |
674 |
베트남 수산물 산업동향
![]() |
2014.12.27 | |
673 | 베트남 국내 운송시장의 현황과 전망 | 2014.12.01 | |
672 |
베트남 식음료 소비패턴 변화, 한국 기업의 새로운 기회
![]() |
2014.11.09 | |
671 |
버찌 팔아 2억 달러, 베트남과 중국의 국경무역 현주소
![]() |
2014.07.30 | |
670 | 베트남, 원부자재 수입공급선 다변화 모색 | 2014.07.30 | |
669 | 하반기 베트남 경제, 중국과의 관계가 변수로 부상 | 2014.06.30 | |
668 |
베트남 섬유·의류산업 동향과 전망
![]() |
2014.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