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 및 전기 설비, 베트남을 통한 제3시장 개척 유망
- 발전사업 및 전기 관련 사업 투자 확대, 인근 국가로의 2차 수출 가능 -
□ 베트남 전기설비 및 자재시장 전망
○ 베트남 정부의 국내 발전설비 및 전기 자재 생산 관련 투자 확대 예상
- 2015~2025년까지 전기설비와 관련된 전선로 및 변압기의 경우 국내 수요의 70%를 국산화할 계획임.
- 전기모터와 발전기는 55%, 110-220㎸ 변압기는 50~60%를 국내에서 생산해 내수를 충당할 계획이며, 발전기 자재 등은 60~70%까지 국내 생산을 목표로 함.
- 고지대 및 시골, 섬 같은 상대적으로 개발이 많이 필요한 지역 또한 잠재시장으로 보고 있음.
- 실제 베트남 정부는 과학 및 기술지원 기금, 국가 기술혁신 기금, 베트남 개발은행 등의 정부 기금으로 미개발 지역에 꾸준한 관심을 나타내고 있음.
○ 2015년까지 국내 전기설비 관련 총생산지수의 30~35%를 해외시장에 확대 공급할 계획임.
- 베트남의 인접 국가인 라오스 수력발전 가능용량은 2만3300㎿이나 현재 1826㎿만 개발돼 있어 전문가들은 향후 투자가치가 높다고 전함. 라오스 정부에서는 2020년까지 모든 지역에 90%까지 전기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음.
- 캄보디아의 경우 전기 공급을 받는 가구 비율이 22.47%로 전기 보급률이 아주 낮은 상황이며 그중 대부분이 도시지역(82.53%)에 집중돼 있음. 향후 지방의 전기 보급률을 70%까지 확대할 계획을 갖고 있음.
- 라오스, 캄보디아와 지리적으로 인접한 베트남은 전기 공급 관련 MOU까지 체결해 다른 경쟁국에 비해 좀 더 유리한 위치에 차지함.
□ 외국인 투자자, 베트남 전기산업에 관심 표명
○ 베트남 주요 뉴스에 따르면(The Saigon Times 10/2013) Semb Corp, Tata Power, Graham Bell and Associates Limited 같은 대형 외국 기업뿐 아니라 Samsung, Sumitomo도 베트남 발전사업 투자를 계획함.
○ 한 예로 2013년 9월 기획투자부와 Samsung C &T 간의 투자 및 인프라 개발 MOU가 체결돼 한국의 베트남 내 사업 투자가 더 확대됨.
- 2013년 9월 삼성은 Dong Hoi 산업단지 내 Quynh Lap 2 화력발전사업의 정책, 체계, 투자 기회 탐색을 위해 Nghe An성을 방문함.
- Quynh Lap 화력 발전사업 2는 중남부에서 삼성이 최상위로 관심을 갖는 유일한 5개 발전사업 중 하나임. 4개의 다른 사업들은 Vung Ang3 Power Plant (Ha Tinh), Quang Trach 2 Power Plant(Quang Binh), Song Hau 3 Power Plant(Hau Giang), Kien Luong Power Plant(KienGiang)임.
□ 베트남 변압기시장, 외국 투자협력사업 유망
○ 전 세계 변압기시장의 판매 수익은 2011년 125억 달러임. 이중 아시아·태평양과 중동 지역에서 크게 수요가 증가함.
- 2011년 중국, 인도가 변압기시장 총 수입의 36%를 차지했고 이 비율은 2020년에 45.6%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 이러한 전망 및 계획을 근거로 베트남에서도 큰 수요가 생겨날 것으로 전망됨.
○ 베트남 내 35㎸A 이상의 변압기 제조사는 13개이고 10개사는 북부지역, 3개사는 남부에 위치함.
- 베트남 발전회사들은 제조 및 유통에 오랜 경험을 가지고 있고 대부분이 Vietnam Electricity Group (EVN), Vietnam Electrical Equipment Joint Stock Corporation(Gelex Emic), Vietnam Nation Coal- Mineral Industries Holding Corporation Limited와 같은 공기업이거나 자회사들임.
- Hanaka Group은 발전 부문 중에서 사기업임.
○ 주요 제품은 배전 변압기, 발전 변압기, IF 변압기(중 주파수 변압기), 특수 변압기임.
- 그 중 발전 변압기와 IF변압기에 대해서는 EVN와 Hanaka Group이 큰 우위를 가지고 있어 수입 제품을 대체할 수 있을 것임.
- 남부 4개사와 북부 2개사 또한 배전 변압기를 생산 하지만 베트남 제조사들은 자재를 구하기 어려워 알루미늄, 아연, 철 등은 외국에서 수입함.
주요 기업 순수익
(단위: 백만 달러, %)
| 기업 | 2010년 | 2011년 | 성장률 | ||
2010년 | 2011년 | |||||
1 | Dong Anh EEMC JSC | 845 | 906 | 7.4 | 7.2 | |
2 | Thu Duc Electrical JSC | 307 | 323 | 6.6 | 5.2 | |
3 | THIBIDI Company | 1012 | 1221 | 18.2 | 20.7 | |
4 | Hanoi Electrical Manufacturing JSC | 408 | 483 | 123.0 | 18.4 | |
5 | Hanoi Transformer Manufacturing JSC | 90 | 55 | 13.9 | -38.9 | |
| 총 | 2662 | 2988 | 21.4 | 12.2 |
자료원: CafeF Vietnam
○ Dong Anh EEMC JSC 부사장 Ho DucThanh에 따르면 베트남 자체 브랜드는 중국, 인도네시아, 타이, 일본, 독일과 고압 볼트 수입 제품 품목에서 열띤 경쟁을 벌임.
- 중저 볼트에서는 베트남 브랜드가 높은 비중을 점유함. 중소 외국인 투자자와 제조사가 정부나 공기업과 좋은 관계에 있지 않다면 전기 담당자와 접촉하기 어려움.
- 따라서 기술 교류 방식으로 베트남 변압기 제조사와 협력해 OEM 생산을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전함.
자료원: Vietnam News, 코트라 호찌민 무역관 종합
번호 | 분류 | 제목 | 날짜 |
---|---|---|---|
687 | [호치민무역] 베트남, COVID-19 관련 기업 지원정책 주요 내용 | 2021.10.25 | |
686 | 2020년 베트남 경제, 2분기 부진을 4분기가 하드캐리 | 2020.12.28 | |
685 | 베트남 단기출장자 특별입국 절차 | 2020.12.28 | |
684 |
베트남 비료 시장동향
![]() |
2019.12.28 | |
683 | [kotra 정보] 2017년 베트남 소비시장 핫트렌드 6 | 2017.11.05 | |
682 | [유망] 베트남 철강 시장동향(KOTRA 자료) | 2017.08.20 | |
681 |
세계에서 가장 매력적인 소매 시장에서 베트남 6위로 부상, 미국 A.T 커니 조사
![]() |
2017.06.17 | |
680 | [유망] 베트남 소형가전 시장동향 | 2017.06.14 | |
679 | 베트남 시장 공략의 핵심 키워드는 프리미엄 | 2017.04.02 | |
678 | 베트남 젊은이들의 최신 소비 트렌드 따라잡기 | 2016.12.20 | |
677 |
중국발 통화 전쟁 우려 속에 베트남 동화의 앞날은?
![]() |
2015.09.15 | |
676 | ‘생계형’에서 ‘자기만족형’ 소비로 이행하는 베트남 +1 | 2015.01.11 | |
675 |
떠오르는 베트남 온라인 쇼핑 및 전자상거래시장
+1 ![]() |
2014.12.27 | |
674 |
베트남 수산물 산업동향
![]() |
2014.12.27 | |
673 | 베트남 국내 운송시장의 현황과 전망 | 2014.12.01 | |
672 |
베트남 식음료 소비패턴 변화, 한국 기업의 새로운 기회
![]() |
2014.11.09 | |
671 |
버찌 팔아 2억 달러, 베트남과 중국의 국경무역 현주소
![]() |
2014.07.30 | |
670 | 베트남, 원부자재 수입공급선 다변화 모색 | 2014.07.30 | |
669 | 하반기 베트남 경제, 중국과의 관계가 변수로 부상 | 2014.06.30 | |
668 |
베트남 섬유·의류산업 동향과 전망
![]() |
2014.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