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비료수입 의존도 50% 육박
- 농산물 수출 증가로 비료 수입수요 확대 -
- 자국 생산능력 부족에 따른 수입비료 의존 -
보고일자 : 2007.10.15.
박동욱 하노이무역관
shanepak@yahoo.com
□ 베트남 농산물 수출 확대에 따른 비료 수입수요 크게 확대
○ 베트남 농림부에 따르면 2007년 주요 농산물의 가격경쟁력이 향상에 따라 쌀을 제외한 커피·카카오·차·고무 등 주요 농산물 수출량이 올해 최고치를 전망함.
- 커피의 경우 올 7월 기준 전년동기비 물량기준 56% 이상 증가했으며, 카카오 또한 30%에 가까운 수출물량 증가를 기록함.
○ 베트남 수입비료시장 확대 지속
- 베트남 비료협회에 따르면, 올 8월까지 비료 수입규모가 총 230만 톤, 5억6000만 달러로 전년동기비 물량기준 8%, 금액 기준으로 2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발표함.
- 베트남의 주요 비료 수입국은 중국·일본·러시아·필리핀·대만·한국으로, 중국은 2007년 7월 기준 117만 톤의 비료를 수출, 베트남 시장의 약 50%를 차지했으며 한국은 대베트남 비료 수출국 6위로 약 7만5000톤을 수출, 3.3%를 차지함.
- 베트남내 주요 수입비료는 Super phosphate fertilizer(고밀도 인산 비료), Fused magnesium phosphate fertilizer(혼합 마그네슘 인산 비료) Urea fertilizer(요소 비료), NPK fertilizer 등으로 그 중 수요가 가장 많은 것은 Urea비료임.
○ 베트남 비료시장 현황
- 베트남의 최근 경제성장에도 아직까지 인구의 80%가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구조로 당분간 1차 상품 수출에 의존하는 베트남 산업구조상 비료생산과 수요 확대는 불가피할 전망임. 특히 주요 비료인 UREA 비료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할 전망
- 이에 베트남 정부는 비료의 충분한 공급과 가격 안정을 위해 베트남 내 기업의 비료생산을 적극 장려하고 있는 상황이나 실제 공급량 부족과 함께 가격인상으로 농산물 생산비용이 크게 높아지는 상황임.
- 현재 베트남 UREA비료 연간 소비량은 약 640만 톤이며, 이 중 국내 생산량은 약 330만 톤으로 PHU MY 공장에서 약 70만 톤, HA BAC 공장에서 40만 톤을 생산하고 있으며, 이외의 약 30개 중·소규모 공장에서 나머지 생산량을 생산하나 생산설비 부족에 따른 수요량 50% 이상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임.
□ 베트남 비료시장 가격 불안 확대
○ 베트남 비료가격 상승의 주요인은 세계 비료시장가격의 연평균 3~5%에 달하는 지속적인 상승세에 기인하며 베트남내 정부와 공급기업의 정확한 수요량 및 공급량 예측능력 부재로 적절한 비료시장 가격조절 기능이 제한적인 상태임.
- 베트남 비료기업 또한 불안정한 시장가격 변동으로 생산량 확대 및 수입량 확대에 적극 대응하기 어려운 상황이며, 수입비료의 50% 이상 차지하는 중국산 비료 또한 국내생산 비료보다 저가로 수입되고 있어 국내 비료생산기업에 가격경쟁 부담으로 작용함.
○ 향후 베트남 비료 시장에 대한 전망
- 베트남 정부는 1차 상품의 해외수출 확대와 내수 충족을 위해 매년 약 490만 톤의 비료가 필요하며 2010년까지 1940만 톤의 비료 수입 전망
- 이같은 비료수입수요 충족을 위해 국내기업의 신규 공장건설 및 생산량 확대를 유도할 예정이며, 외국기업과의 합작을 통한 국내 비료산업 선진화 프로그램도 지원할 예정임.
□ 해결책과 전망
○ 가격안정 및 공급에 대한 해결책
- 가장 시급한 문제는 비료 가격의 안정이며, 이를 위해 현재 수입제품과 국내생산 제품에 부가되고 있는 비료에 대한 5%의 VAT를 0% 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곧 시행할 예정에 있음.
- 국내 비료가격의 상승 억제와 원활한 비료 공급을 위해 베트남 정부는 2011년까지 Ninh Binh 공장(capacity 56만 ton/year) 과 Bac Giang 공장(capacity 30만 ton/year) 등 두 곳의 Urea 비료공장을 건설할 계획을 진행 중임.
- 두 공장이 모두 가동된다면 베트남 국내 비료생산량은 연간 약 270만 톤 이상이 돼 베트남 농업 육성에 필요한 Urea비료에 대한 수요를 충족 기반 마련 예상
○ 향후 베트남 비료 시장에 대한 전망
- 베트남 정부는 1차 상품의 해외수출 확대와 내수 충족을 위해 매년 약 490만 톤의 비료가 필요하며 2010년까지 1940만 톤의 비료 수입 전망
- 이 같은 비료수입수요 충족을 위해 국내기업의 신규 공장건설 및 생산량 확대를 유도할 예정이며, 외국기업과의 합작을 통한 국내 비료산업 선진화 프로그램도 지원할 예정임.
□ 시사점
○ 현재 베트남은 화학비료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상황으로 향후 토양환경 오염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토양환경에 무해한 생물학 비료생산 기술을 보유한 한국 업체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음.
자료원 : 베트남 통계청, 무역관 자료 종합
| 번호 | 분류 | 제목 | 날짜 |
|---|---|---|---|
| 687 | [호치민무역] 베트남, COVID-19 관련 기업 지원정책 주요 내용 | 2021.10.25 | |
| 686 | 2020년 베트남 경제, 2분기 부진을 4분기가 하드캐리 | 2020.12.28 | |
| 685 | 베트남 단기출장자 특별입국 절차 | 2020.12.28 | |
| 684 |
베트남 비료 시장동향
|
2019.12.28 | |
| 683 | [kotra 정보] 2017년 베트남 소비시장 핫트렌드 6 | 2017.11.05 | |
| 682 | [유망] 베트남 철강 시장동향(KOTRA 자료) | 2017.08.20 | |
| 681 |
세계에서 가장 매력적인 소매 시장에서 베트남 6위로 부상, 미국 A.T 커니 조사
|
2017.06.17 | |
| 680 | [유망] 베트남 소형가전 시장동향 | 2017.06.14 | |
| 679 | 베트남 시장 공략의 핵심 키워드는 프리미엄 | 2017.04.02 | |
| 678 | 베트남 젊은이들의 최신 소비 트렌드 따라잡기 | 2016.12.20 | |
| 677 |
중국발 통화 전쟁 우려 속에 베트남 동화의 앞날은?
|
2015.09.15 | |
| 676 | ‘생계형’에서 ‘자기만족형’ 소비로 이행하는 베트남 +1 | 2015.01.11 | |
| 675 |
떠오르는 베트남 온라인 쇼핑 및 전자상거래시장
+1 |
2014.12.27 | |
| 674 |
베트남 수산물 산업동향
|
2014.12.27 | |
| 673 | 베트남 국내 운송시장의 현황과 전망 | 2014.12.01 | |
| 672 |
베트남 식음료 소비패턴 변화, 한국 기업의 새로운 기회
|
2014.11.09 | |
| 671 |
버찌 팔아 2억 달러, 베트남과 중국의 국경무역 현주소
|
2014.07.30 | |
| 670 | 베트남, 원부자재 수입공급선 다변화 모색 | 2014.07.30 | |
| 669 | 하반기 베트남 경제, 중국과의 관계가 변수로 부상 | 2014.06.30 | |
| 668 |
베트남 섬유·의류산업 동향과 전망
|
2014.06.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