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승용차 수입관세 10% 인상
- 3월 말부터 적용예정, 중고 승용차 수입관세도 평균 10% 인상 -
보고일자 : 2008.3.13.
김동현 호치민무역관
□ 1년간 지속된 인하추세 중단
○ 베트남 정부는 3월 12일 승용차 수입 관세를 기존 60%에서 70%로 10% 인상한다고 발표했으며, 이달 말부터 효력을 발생할 예정임.
- 절대관세를 적용하고 있는 중고승용차 수입관세도 평균 10% 인상
○ WTO 가입 후 2007년 한 해 동안 승용차 수입관세를 3차례나 인하했던 베트남 정부가 다시 관세를 인상한 이유는 수입차 가격하락에 따른 차량증가로 교통혼잡이 가중되고 있으며 만성적인 무역적자가 더욱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함.
- WTO 가입에 따라 베트남은 작년 초부터 신차 승용차 수입관세를 기존 90%에서 80%로 인하
- 작년 8월부터는 70%로 인하했으며 이어 11월에는 60%로 인하
○ 2007년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관세 인하조치의 주된 목적은 현지 생산차량 가격의 인하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었던 것으로 알려짐.
- 베트남 정부는 그동안의 보호정책 아래서 지나치게 높은 가격에 판매되고 있는 현지 조립생산 차량들의 가격인하를 요구했으나 현지업계가 이런저런 이유를 들어 이를 수용하지 않았음.
- 이에 베트남정부가 수입차 가격인하를 통한 가격경쟁 유발로 현지 생산차량 가격을 낮추려는 강경책을 편 것임.
- 또한 정부는 자동차 부품 및 부분품의 수입관세도 인하해 현지 자동차 생산단가를 낮춤으로써 궁극적으로 차량 가격인하를 유도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었음.
○ 한편 그동안의 인하 추세가 상승으로 바뀜에 따라 향후 승용차 수입관세 추이를 전망하기가 어렵게 됨.
올해 3월 말부터 적용될 베트남 신차 승용차 수입관련 제세금표
차종 |
수입관세 |
특소세 |
VAT |
관련세금 총계(%) |
5인승 이하 6~15인승 16~23인승 |
70 70 70 |
50 30 15 |
10 10 10 |
180.50 143.10 115.05 |
주 : 관련 세금총계는 차 가격(car value)에 대한 비율(%)임.
자료원 : 베트남 재무부, 통계청
□ 2월 상용차 판매, 작년 2월 대비 485% 증가
○ VAMA(Vietnam Auto Manufacturers Association ; 베트남 자동차 제조업체협회)에 따르면 올 2월 베트남의 자동차 판매량은 8920대로 작년 2월 대비 198% 증가함.
- VAMA에 따르면 작년 3월 이후 자동차 판매가 지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버스·트럭·밴 등 상용차가 전체 자동차 판매량 증가를 주도함.
- 2월 상용차 판매량은 5838대로, 작년 2월 대비 485% 증가
- 2월 승용차 판매량은 1296대로 작년 2월 대비 92% 증가했으며, MVP/SUV 차량 판매는 1786대로 36%의 증가세를 보임.
- 1~2월 자동차 판매누계는 2만1000대로 전년동기대비 172%의 증가세를 보임.
○ 지속성장세에 힘입어 2007년 VAMA 회원사 자동차 판매량은 8만392대로 전년대비 96.8%의 성장세를 보임.
VAMA 회원사 연도별 차량 판매 추이
(단위 : 대)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12,468 |
19,097 |
26,800 |
43,000 |
40,141 |
39,876 |
40,853 |
80,392 |
자료원 : VAMA
□ 1~2월 CBUs(complete-built units) 수입, 전년동기대비 328% 증가
○ 베트남 통계청에 따르면 1~2월 CBUs 수입은 1만 대(1억87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28% 증가
- 현지 조립생산이 활발해 차량수요 증가에 따라 CBUs 수입도 지속증가세를 보일 전망임.
○ 2007년 베트남의 CBUs 수입은 2만8000대(5억2300만 달러)로 전년대비 223%의 증가세를 보임.
○ 특히 최근에는 고가차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항공수송도 증가세를 보임.
- 1~2월 중 항공으로 수송된 CBUs 차량은 80대인데, 주로 롤스로이스·렉서스·BMW·벤츠 등의 고가차량임.
□ 승용차 구매력을 가진 현지인들 증가
○ 베트남의 자동차 수요증가 주요 원인은 소득수준 증가에 따라 승용차 구매력을 가진 현지인들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임.
- 또한 국내 승용차 가격인하를 유도하려는 중앙정부의 수입관세 인하 노력도 수요증가에 일조했음.
- 현지 조립생산 업체들이 수요증가를 미리 예측하지 못해 최근에는 공급이 부족한 상황임.
○ 자동차 쇼룸에 진열돼 있는 차량들 중 깜리·시빅·캡티바 등 인기 모델은 대부분 판매됐기 때문에 신규구매를 희망하는 사람들은 보증금을 예치하고서도 비교적 장기간을 기다려야 차량을 인도받을 수 있음.
□ 시사점
○ 지속적인 관세인하에 따라 꾸준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던 한국의 대 베트남 자동차 수출은 이번 관세 인상조치로 어느 정도 타격을 받을 전망임.
- 베트남은 자동차의 현지 조립생산이 활발해 관세인상 시 수입품의 가격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됨.
○ 그럼에도 급격한 경제성장과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베트남인들의 구매력은 해마다 상승하고 있으며, 고가품 수요층의 수도 지속증가세를 보임.
○ 일시적인 어려움이 있더라도 장기적인 안목으로 베트남 자동차시장의 미래발전 가능성에 주목해야 할 것임.
- 한 시장전문가에 따르면, 베트남의 연간 신차 수요량이 조만간 20만~30만 대에 달할 전망이라고 함.
자료원 : 베트남 뉴스, 통계청,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번호 | 분류 | 제목 | 날짜 |
---|---|---|---|
687 | [호치민무역] 베트남, COVID-19 관련 기업 지원정책 주요 내용 | 2021.10.25 | |
686 | 2020년 베트남 경제, 2분기 부진을 4분기가 하드캐리 | 2020.12.28 | |
685 | 베트남 단기출장자 특별입국 절차 | 2020.12.28 | |
684 |
베트남 비료 시장동향
![]() |
2019.12.28 | |
683 | [kotra 정보] 2017년 베트남 소비시장 핫트렌드 6 | 2017.11.05 | |
682 | [유망] 베트남 철강 시장동향(KOTRA 자료) | 2017.08.20 | |
681 |
세계에서 가장 매력적인 소매 시장에서 베트남 6위로 부상, 미국 A.T 커니 조사
![]() |
2017.06.17 | |
680 | [유망] 베트남 소형가전 시장동향 | 2017.06.14 | |
679 | 베트남 시장 공략의 핵심 키워드는 프리미엄 | 2017.04.02 | |
678 | 베트남 젊은이들의 최신 소비 트렌드 따라잡기 | 2016.12.20 | |
677 |
중국발 통화 전쟁 우려 속에 베트남 동화의 앞날은?
![]() |
2015.09.15 | |
676 | ‘생계형’에서 ‘자기만족형’ 소비로 이행하는 베트남 +1 | 2015.01.11 | |
675 |
떠오르는 베트남 온라인 쇼핑 및 전자상거래시장
+1 ![]() |
2014.12.27 | |
674 |
베트남 수산물 산업동향
![]() |
2014.12.27 | |
673 | 베트남 국내 운송시장의 현황과 전망 | 2014.12.01 | |
672 |
베트남 식음료 소비패턴 변화, 한국 기업의 새로운 기회
![]() |
2014.11.09 | |
671 |
버찌 팔아 2억 달러, 베트남과 중국의 국경무역 현주소
![]() |
2014.07.30 | |
670 | 베트남, 원부자재 수입공급선 다변화 모색 | 2014.07.30 | |
669 | 하반기 베트남 경제, 중국과의 관계가 변수로 부상 | 2014.06.30 | |
668 |
베트남 섬유·의류산업 동향과 전망
![]() |
2014.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