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베트남 뉴스 / Vietnam NEWS

동향전망
관리자 2008.07.07 11:57:15
140

2008.6.28 - 7.4 간 주재국 언론에 보도된 베트남 주요경제동향을 아래 보고하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경제현황 및 전망

 

 1. 경제전문가, 인플레 억제위한 베트남 정부의 전략 효과적(VN News, 7.3)

 

   ㅇ 7.2 ADB(아시아개발은행) Kuroda총재는 인플레 억제를 위해 베트남이 현재 시행하고 있는 여러 대책들이 지속적으로 유지된다면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것이라고 말함.

 

      - 그리고 보다 효과적인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현행 통화긴축 정책과 정부예산지출을 긴밀히 연동하여 실행해야 한다고 제안함.

   ㅇ 한편 7.2 개최된 정례 국무회의에서 Dung 총리는 인플레 억제, 거시경제 안정화, 사회복지 확립, 지속적인 성장 노력들이 모두 중요한 과제임을 강조하면서도, 정부의 최우선 과제는 인플레 억제라고 언급함.

      - Dung 총리는 융통성을 겸비한 긴축 통화정책의 필요성에 동의하며, 중앙은행은 시장수요에 따라서 유연한 환율정책을 지속해야 한다고 언급

   ㅇ 또한, 전국의 성ㆍ시 당국들은 공공지출 감소노력을 지속하도록 당부함.

 

      - 기획투자부(MPI) 관계자에 따르면, 약 1,736개 공공 프로젝트들이 정부의 지출감축 요청에 의거한 연기조치로 약 3.37억불이 절약되었으며, 더 많은 공공 프로젝트들이 연기될 것으로 예상됨.

 

 2. 주재국 근로자들의 사직사유 조사관련 보고서들(VN News, 7.4)

 

   ㅇ 호치민시 인민위원회의 보고서에 따르면, 낮은 임금, 제한적인 승진기회 및 불완전 고용이 직원들이 사직하는 주요 원인으로 조사되었으며, 2003.7-2007.7 동안 6,422명의 국영기업 직원들이 사직하였다고 보고함.

   ㅇ 그리고 최근 온라인(VietnamWorks.com) 집계결과에는 46%가 현재 급료가 불만족스러우면 사직을 할 것이라고 대답하였으며, 베트남 직원들은 직업을 고려함에 있어서 급료를 가장 우선으로 선택한다고 언급함.

   ㅇ Navigos Group‘Vietnam Salary Survey 2008'의 관계자는 “2007년 말 기준 노동이동률이 거의 15%였으며, 2008년도는 높은 인플레로 인해 더 심각할 것으로 예상 된다”라고 전함.

 

      - 고용주 입장에선 효과적인 인력보유 및 채용을 하면서 사업균형을 유지해야하는 어려운 처지에 놓여있음.

 

 3. 노동보훈사회부, 대형 국영기업 CEO 급여 한도 폐지 예상(VIR, 6.30)

 

   ㅇ 주재국 대형 국영기업 CEO(최고경영자)의 급료제한 한도($1,500)가 폐지될 예정이며, 해당 국영기업과 CEO 후보자들은 양측의 능력과 노동시장 상황에 따라 급여협상이 완전히 자율적으로 운영될 것으로 예상됨.

   ㅇ 노동사회보훈부(MOLISA)는 국영기업들의 CEO 채용관련 가이드라인(지침서)을 제공하고, 올해 마지막 분기에 총리승인을 신청할 예정임.

 

   ㅇ 이에 해당되는 대형 국영기업들은 베트남전력공사(EVN), 베트남석유공사(Petro Vietnam), 베트남조선공사(Vietnam Shipbuilding Industry Group), 베트남직물의류공사(Vietnam National Textile and Garment Group), 베트남우정통신공사(Vietnam Post and Telecommunication Group), 베트남고무공사(Vietnam Rubber Group), 베트남석탄광물공사(Vietnam National Coal-Mineral Industries Group) 등임.

 

 4. 상반기 외국관광객 2.5백만명 이상, 중국관광객 급증(경제시보, 6.30)

 

   ㅇ 주재국 기획투자부(MPI)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6개월 동안 2.5백만 명이상의 외국관광객이 베트남을 방문하였으며, 관광수입액이 작년 동기대비 60.7% 증가될 것으로 예상함.

 

       - 6월 한 달 간 45만 명이 방문하였으며, 작년 동기대비 34% 증가

 

   ㅇ 올해 베트남을 찾은 외국관광객의 주요 국가로는 홍콩, 대만, 스웨덴, 핀란드, 필리핀, 태국, 상기포르, 라오스, 말레이시아, 노르웨이, 독일, 영국 등이며, 이중 중국관광객의 방문이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임.

 

 

 5. 주가 및 환율

 

   o 2008.7.3 주식시장 호치민 거래소(VN-INDEX)에서 430.05 포인트로 마감, 지난주 대비 43.57 포인트(11.27%) 상승

 

 

      *출처: http://www.tas.com.vn(7.4일자 온라인 자료)

 

 

   o 2008.7.3 현재 달러대비 VND 기준환율은 16,518VND

 

 

. 투자

 

 1. 베트남 외국인투자 유치 현황(VIR, 6.30)                           

 

 가. 2008. 6.22 현재 국가별 외국인투자 총 누계 순위

 

     (총투자수 : 9,171건, 등록총액 : 1,167.58억불, 집행총액 : 449.43억불)

 

                                                        (단위: 백만 불)



 

순 위



 

국 명



 

투자건수



 

승인액



 

자본금




 

 

1



 

대만



 

1,866



 

18,994.11



 

7,465.98




 

 

2



 

일본



 

983



 

16,706.03



 

4,743.39




 

 

3



 

한국



 

1,970



 

15,046.20



 

5,534.91




 

 

4



 

싱가포르



 

581



 

14,721.11



 

5,112.42




 

 

5



 

버진아일랜드



 

364



 

10,573.85



 

3,616.94




 

 

6



 

홍콩



 

480



 

6,190.49



 

2,300.42




 

 

7



 

캐나다



 

67



 

4,723.25



 

996.18




 

 

8



 

말레이시아



 

265



 

4,421.18



 

2,247.92




 

 

9



 

미국



 

404



 

4,154.47



 

1,956.89




 

 

10



 

네덜란드



 

89



 

2,594.24



 

1,476.48





 

 

 * 이밖에 프랑스(11위), 영국(12위), 중국(13위), 태국(14위), 호주(17위)

 

 

   o 2008.1.1~6.22 간 국가별 외국인투자 순위

 

                                                         (단위: 백만 불)



 

순 위



 

국 명



 

투자건수



 

승인액



 

자본금




 

 

1



 

대만



 

64



 

8,171.19



 

2,844.37




 

 

2



 

일본



 

47



 

7,108.88



 

527.21




 

 

3



 

캐나다



 

3



 

4,233.50



 

798.50




 

 

4



 

싱가포르



 

33



 

3,563.04



 

1,201.23




 

 

5



 

버진아일랜드



 

21



 

2,710.52



 

994.58




 

 

6



 

말레이시아



 

21



 

1,569.42



 

440.98




 

 

7



 

미국



 

26



 

1,353.73



 

496.65




 

 

8



 

한국



 

113



 

614.52



 

349.80




 

 

9



 

영국



 

9



 

537.45



 

534.45




 

 

10



 

태국



 

9



 

200.08



 

109.42




 

 

11



 

홍콩



 

20



 

188.03



 

93.73




 

 

12



 

사모아



 

9



 

146.90



 

45.56





 

 

 나. 2008. 6.22 현재 지역별 투자유치 총 누계 순위

 

                                                          (단위: 백만 불)



 

순 위



 

지역명



 

투자건수



 

승인액



 

자본금




 

 

1



 

호치민시



 

2,472



 

20,535.69



 

7,930.40




 

 

2



 

동나이성



 

960



 

13,535.85



 

6,414.89




 

 

3



 

하노이시



 

1,104



 

13,355.78



 

5,863.98




 

 

4



 

바리아붕따우성



 

160



 

11,786.78



 

3,736.66




 

 

5



 

빈즈엉성



 

1,647



 

9,127.02



 

3,687.85




 

 

6



 

하띵성



 

11



 

7,920.76



 

2,718.46




 

 

7



 

탄화성



 

35



 

6,956.63



 

446.15




 

 

8



 

하이퐁시



 

284



 

2,879.45



 

1,204.16




 

 

9



 

롱안성



 

220



 

2,257.86



 

857.26




 

 

10



 

빈푹성



 

168



 

2,188.53



 

751.18




 

 

11



 

하이증성



 

304



 

2,180.28



 

775.28




 

 

12



 

끼엔장성



 

13



 

2,116.73



 

539.17





 

 

   o 2008.1.1~6.22 간 지역별 투자유치 순위

 

                                                     (단위: 백만 불)



 

순 위



 

지역명



 

투자건수



 

승인액



 

자본금




 

 

1



 

하띵성



 

1



 

7,879.06



 

2,700.00




 

 

2



 

탄화성



 

3



 

6,201.70



 

201.52




 

 

3



 

바리아붕따우성



 

3



 

5,579.00



 

1,311.00




 

 

4



 

호치민시



 

67



 

3,411.72



 

722.63




 

 

5



 

동나이성



 

47



 

1,786.86



 

1,753.58




 

 

6



 

끼엔장성



 

1



 

1,648.00



 

330.00




 

 

7



 

박닝성



 

26



 

1,029.55



 

146.60




 

 

8



 

하노이



 

87



 

661.51



 

181.13




 

 

9



 

껀터시



 

4



 

539.20



 

539.20




 

 

10



 

빈즈엉성



 

66



 

485.05



 

164.00




 

 

11



 

후에시



 

6



 

427.34



 

61.16




 

 

12



 

롱안성



 

32



 

363.42



 

165.11





 

 

 

 다. 2008.6.22 현재 분야별 투자유치 총 누계  순위

 

                                                         (단위: 백만 불)



 

순 위



 

분야



 

투자건수



 

승인액



 

자본금




 

 

1



 

공 업



 

6,113



 

69,081.38



 

25,836.77




 

 

2



 

서비스



 

2,105



 

43,071.85



 

16,884.66




 

 

3



 

농림수산업



 

953



 

4,604.70



 

2,222.47





 

 

  <공업>

                                                        (단위: 백만 불)



 

순 위



 

분야



 

투자건수



 

승인액



 

자본금




 

 

1



 

중공업



 

2,542



 

33,375.23



 

12,436.93




 

 

2



 

경공업



 

2,702



 

15,042.92



 

6,489.27




 

 

3



 

석유ㆍ가스



 

44



 

10,692.46



 

3,135.46




 

 

4



 

건설



 

491



 

6,072.12



 

2,010.07




 

 

5



 

식품산업



 

334



 

3,898.64



 

1,765.03





 

  <서비스>

                                                         (단위: 백만불)



 

순 위



 

분야



 

투자건수



 

승인액



 

자본금




 

 

1



 

오피스ㆍ아파트



 

170



 

17,403.89



 

5,224.01




 

 

2



 

호텔ㆍ관광



 

246



 

10,058.79



 

3,542.12




 

 

3



 

신도시



 

11



 

4,746.51



 

2,196.17




 

 

4



 

운송/우편/통신



 

217



 

4,435.94



 

2,799.59




 

 

5



 

기타



 

1,081



 

2,435.84



 

1,071.67




 

 

6



 

공단 인프라건설



 

35



 

1,774.38



 

556.19




 

 

7



 

문화/건강/교육



 

278



 

1,247.68



 

572.51




 

 

8



 

은행ㆍ금융



 

67



 

968.83



 

922.40





 

  <농림수산업>

                                                         (단위: 백만 불)



 

순 위



 

분야



 

투자건수



 

승인액



 

자본금




 

 

1



 

농림업



 

821



 

4,150.39



 

1,970.45




 

 

2



 

수산업



 

132



 

454.31



 

252.02





 

 

   o 2008.1.1~6.22 간 분야별 투자누계 순위

                                                        (단위: 백만 불)



 

순 위



 

분야



 

투자건수



 

승인액



 

자본금




 

 

1



 

  업



 

298



 

17,152.82



 

4,499.05




 

 

2



 

서비스



 

155



 

13,626.81



 

4,109.92




 

 

3



 

농림수산업



 

25



 

167.28



 

101.16





 

 

  <공업>

                                                           (단위: 백만 불)



 

순 위



 

분야



 

투자건수



 

승인액



 

자본금




 

 

1



 

중공업



 

113



 

8,620.98



 

3,057.47




 

 

2



 

석유ㆍ가스



 

4



 

6,789.50



 

789.50




 

 

3



 

경공업



 

127



 

1,313.78



 

440.64




 

 

4



 

식품산업



 

21



 

240.41



 

134.83




 

 

5



 

건설



 

33



 

188.15



 

76.62





 

  <서비스>

                                                          (단위: 백만 불)



 

순 위



 

분야



 

투자건수



 

승인액



 

자본금




 

 

1



 

공단 인프라건설



 

16



 

7,975.87



 

1,723.96




 

 

2



 

호텔ㆍ관광



 

18



 

3,915.33



 

954.16




 

 

3



 

오피스ㆍ아파트



 

2



 

1,268.75



 

1,268.75




 

 

4



 

기타



 

102



 

265.22



 

112.55




 

 

5



 

신도시



 

5



 

163.58



 

39.67




 

 

6



 

운송/우편/통신



 

5



 

36.08



 

8.86




 

 

7



 

문화/건강/교육



 

7



 

1.98



 

1.98





 

 

<농림수산업>

                                                        (단위: 백만 불)

 



 

순 위



 

분야



 

투자건수



 

승인액



 

자본금




 

 

1



 

농림업



 

24



 

167.08



 

100.96




 

 

2



 

수산업



 

1



 

0.20



 

0.20





 

 

 2. 호치민시, 35억불 규모의 국제대학단지 투자 승인(투자, 6.30, VN News 7.2)

 

   ㅇ 7.1 호치민시 인민위원회는 총투자규모가 35억불에 달하는 ‘국제대학ㆍ도시단지’ 개발프로젝트관련 말레이시아 Berjaya Berhad 그룹 소속의 Berjaya Land Berhad사에 공식적으로 투자허가서를 전달함.

 

   ㅇ 동 B.L.Berhad사 대표에 따르면, 교육대학, 주변 도시단지, 종합서비스센터, 녹지공원지역, 공공복지시설 등의 구역으로 나누어 총면적 925ha에 건설할 계획이며, 2008년 말에 착공하여 공기 10년에 걸쳐 완공될 예정임.

 

      - 호치민시 Hoc Mon 군 Tan Thoi Nhi 지역에 위치할 동 대학단지는 19,000 가구 이상의 주거공간을 갖추어, 76,000명의 주민을 수용할 계획

 

   ㅇ 또한, 동 B-Land 사는 호치민시에 ‘베트남 파이넨셜 센터’프로젝트 19억불, 동나이성에 ‘Bien Hoa City Square' 프로젝트 2.3억불, 하노이에 'Thach Ban New City' 프로젝트 5억불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3. Quang Ngai성, 26억불 규모의 Dung Quat 화력발전소 건설 예정(VN News, 7.3)

 

   ㅇ Quang Ngai성 인민위원회는 Dung Quat 경제특구지역에 25.9억불 규모의 2,400MW급 화력발전소 건설관련 산업무역부(MoIT)에 승인을 신청함.

 

   ㅇ 동 Dung Quat 화력발전소는 4개의 터빈을 갖출 예정이며, 1개 터빈은 2015년, 4개 터빈 모두는 2019년에 운영될 계획임.

      - 발전소 운영에 사용될 석유 및 석탄은 호주 및 인도네시아로부터 수입 예정

 

 4. 미국, Cai Lan 항에 컨테이너 부두건설 투자허가서 취득(투자, 7.2)

 

   ㅇ 미국의 SSA Marine과 베트남 Cai Lan 항만회사는 Quang Ninh성 Cai Lan 항에 3개의 컨테이너 부두 건설ㆍ운영을 위한 합작투자사 설립관련 공식적인 투자허가서를 취득함.

   ㅇ 동 합작투자 허가서는 지난 주 Dung 총리의 미국 방문 시, 두 합작기업 대표들에게 전달하였음.

      - 총투자자본은 약 1억불로 예측되며, 50,000 DWT급 선박까지 허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 DWT: 순수 수화물 적재량(단위 톤)

 

 

 5. 3번째 민영항공사 ‘Mekong Air' 탄생 예상(경제시보, 7.3)

 

   ㅇ 베트남 항공총국은 민영항공사로는 3번째로써 Kien Giang성 Ha Long 투자개발회사에 의한 “Mekong Air" 항공사 설립신청서를 접수하였음.

 

   ㅇ 동 Mekong Air는 베트남 항공 산업 개발계획 제안에 포함되어 정부가 3번째 민간항공사로 지목한 ‘Phu Quoc Air' 항공사의 새로운 이름임.

   ㅇ 동 Mekong Air 설립의 법정자본금은 주재국 항공법에 규정된 최소자본(약 18백만불) 보다 2배인 36백만불 가량이며, 항공총국에 제출한 제안서에는 캐나다의 Bombadier 항공기를 사용할 예정임을 밝힘.

 

      - 호치민시, 껀터시, Kien Giang 성의 Rach Gia, Phu Quoc 등의 노선을 2009년도 2분기에 운행할 것으로 예상

 

. 무역

 

 1. 베트남ㆍ일본 경제연합협정(EPA), 마지막 중대 협상 돌입(VIR, 6.30)

 

 

 

   ㅇ 베ㆍ일 경제연합협정(EPA)의 협상이 가장 중대한 마지막 단계에 돌입함.

 

      - 주 베트남 일본대사(Mitsuo Sakaba)는 “이제 양측은 의류, 관세인하, 인적자원 이동관련 민감한 사안들을 협상해야한다”라고 전함.

 

   ㅇ 일본의 EPA는 무역ㆍ투자 자유화, 지적재산권(IPR)보호, 비즈니스 환경개선, 원산지 상품규정 확립, 인적자원 이동, 에너지, 식품 등으로부터 광범위한 범위에 걸쳐 적용됨.

 

   ㅇ 동 EPA 협상은 18개월 간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당초 계획보다 1년이 지연된 올해 말에 최종 협상타결을 바라보고 있음.

 

 

 

 2. 국제시장 및 환율변동으로 국내 가스 및 종이 가격 인상(VN News, 6.30ㆍ7.2)

 

   ㅇ 7.1 국내 몇몇 가스회사들이 다시 한 번 소매가격을 인상함으로써 국내시장의 가스가격이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며, 이번 가스가격 인상은 최근 2개월 간 3번째 인상조치임.

 

      - 관련전문가들은 국제시장 및 환율변동(미국달러 대비 동화환율 증가)으로 기격이 인상되었다고 밝힘.

 

   ㅇ 한 관계자는 “최근 가스수입액이 20불 인상되어 톤당 927.5불로 구입하며, 이는 작년 7월 대비 340불이 인상된 가격이고, 여기에 높은 운송비를 더하게 되면 톤당 1,100불까지 오른다“라고 전함.

 

   ㅇ 또한 산업무역부는 동화/달러(VND/USD) 환율변동(동화환율 증가)으로 6.30부터 신문, 복사 및 노트용지 등의 종이가격을 4%-21% 범위로 인상한다고 전함. 끝.

 

하노이 동아인 현 6개 지역 개발에 참여할 투자자 모집

하노이시는 동시의 행정구 중 하나, 동아인(Đông Anh)현의 6개의 에리어에서 진행하는 개발 사업에 투자할 투자자를 모집하고 있다. 동시는 2025년까지 인프라에 ...

투자뉴스

베트남 호텔 숙박 시장 동향 전망, 호치민시 요금 인상

2022년 말 호치민 시내 호텔 숙박 요금은 1박 평균 180만VND로 2022년 3분기 대비 9%, 2021년 대비 21% 상승했다. 세빌스 베트남사의 호텔 시장 조사 보고서에 의...

시장현황

중국보다 베트남을 선택하는 유럽 기업들 증가

지정학적 긴장과 함께 비용 상승으로 세계의 대기업들은 대체 생산 거점을 찾아야 하고, 베트남 호조의 경제 상황이 유럽 기업들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베트남...

투자뉴스

외국과의 직업훈련 제휴에 관한 새로운 시행령, 정치나 종교를 포함한 커리큘럼 금지

베트남 정부는 6일 직업훈련 분야에서의 투자·활동 조건에 관한 규정을 개정·보충하는 시행령 제24호/2022/ND-CP를 공포했다. 동시행령은 6월 1일에 시행된다. 시...

행정법률

베트남의 주변산업에 대한 관심 높아지는 일본 기업들

코로나에 의한 부품 공급망 차단 등으로.. 일본 기업이 최근 베트남의 주변산업이 가진 기술과 제품에 주목하고 있다. 신형 코로나바이러스의 세계적 감염 확대로...

투자뉴스

베트남 외국인 투자 규제 및 제한 사업 명확하게 작성 리스트 공표

베트남 정부는 3월 말 2021년 1월 1일부로 시행 된 투자법(2020 년판)의 일부에 대해 안내하는 시행령 제 31 호 / 2021 / ND-CP를 공포하여 동 시행령은 즉시 시...

행정법률

베트남 개발 서두르는 6개 도시의 '스마트 시티' 계획

과학 기술에 의해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039;인더스트리 4.0&#039; 시대의 세계적인 추세가 되고있다. 사진 ㊤ = 최신 스마트 시티 기술 전시회를 시찰하는 Nguyễn X...

투자뉴스

EVFTA 1 일부로 발효, 유럽 시장 진출의 과제는 규정 준수

지난 1일 유럽 연합(EU)과 베트남 간의 자유 무역 협정(EVFTA)이 발효되었다. 관세 인하 등의 혜택을 받는 베트남 기업들은 새로운 제품 수출의 큰 기회가 될 수 ...

투자뉴스

해외 기업들 베트남 유통 시장 진출 모색, EVFTA 등에 힘입어

1800억 달러 규모를 자랑하며, 매년 두 자리 성장률을 자랑하는 베트남 소매 시장의 호조에 주목하고 투자 및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는 해외 기업들이 늘고있다. ...

동향전망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2020-06-22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국회 6월 8일 EVFTA 비준 완료 - - 2012년 6월 협상 개시 이...

공기관정보

[KOTRA] 포스트 코로나를 대처하는 베트남의 자세

포스트 코로나를 대처하는 베트남의 자세 2020-06-19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EVFTA로 수출과 투자 활로 확대 기대 - - IT 인프라 및 노동자 양성,...

공기관정보

베트남 국회, 베트남 EU 자유 무역 협정 비준

제14기 (2016 ~ 2021년) 제9회 국회는 8일 오전 베트남 EU 자유 무역 협정 (EVFTA)의 비준에 관한 결의를 94.62 %의 찬성 다수로 채택했다. 또한, 베트남 EU 투자...

참고자료

최근 한국의 베트남 투자 동향

최근 한국의 베트남 투자 동향 2020-01-28 유상철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유통, 서비스 등 투자분야 다각화 - - 10만 달러 미만 소규모 투자 프로젝트 증가 - (참...

공기관정보

베트남 수입 통관 시 까다로운 FTA 적용 절차

베트남 수입 통관 시 까다로운 FTA 적용 절차 2020-01-23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세계 주요 시장과 FTA 협정 체결로 FTA 활용 허브로 역할 증대 기...

공기관정보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공기관정보

2019년에 개정된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공기관정보

베트남 : 전자 상거래, 2020 년까지 100 억 달러의 수익 전망

2020 년까지 베트남의 전자 상거래는 100 억 달러의 수익에 도달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전자 상거래는 소규모의 베트남 기업도 소액 자금으로 모든 국가에 제...

동향전망

[KOTRA]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2019-02-15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CPTPP 조항 따라 법ㆍ제도 선진화 및 글로벌 공급망 참여 기대 - - 원산지 포탈 ...

공기관정보

베트남의 전자 지갑 시장에 모이는 해외 기업의 뜨거운 시선, 소비자들도 편리성에 주목

베트남 정부는 2020년까지 현금 결제를 전 결제 거래의 약 10%이하까지 줄이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성장의 여지가 크다고 예측되는 전자 대금 결제와 계좌인 ...

동향전망

다낭시 제1분기 외국인 관광객 59%증가 FDI도 약진 , 다낭 시장이 밝혀

다낭시 인민 위원회 Huỳnh Đức Thơ 시장은 최근 기자 회견을 갖고(사진 ㊤) 동시의 제1분기의 관광객 수가 169만 700명 (전년 동기 대비 34.7%증가)으로, 2018년 ...

참고자료


카톡 상담문의
Factory_tran.png

바로 문의/상담 등록

베트남 투자진출 관련 간단한 문의는 아래에 등록해 주시면 체크 후 회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법인설립, 공장설립 문의의 경우에는 기본 정보를 알아야 원하시는 답변을 드릴 수 있으니
'여기 클릭'  하여 등록해 주시면 이메일로 회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타 업체에서 진행한 결과에 대한 검증이나 후속 조치 등에 따른 문의 등, 업무 내용과 무관하거나 문의 내용에 따라 회신이 거부될 수도 있으며, 회신이 늦어질 경우에는
E-mail 주소 viethoasong@gmail.com
또는 카톡 무료 통화(ID: vinahanin)이나
전화 0909 194 181(베트남 +84)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각 항의 공백 부분을 한 번 클릭한 후 입력

간단한 문의 내용 보내기
Message
제목
이름(회사명)
이메일
전화번호
분류
비밀번호
내용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1.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문의에 답변을 위한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습니다.

 2. 수집하려는 개인정보의 항목
  -업체명(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본 '문의등록'의 경우 개인 정보 수집 이용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 됩니다.

Copyright VINAHANIN.com All rights reserved. Since 2006, E-MAIL: viethoasong@gmail.com. VINAHANIN CO.,LTD

Add: 3F, VIETPHONE BUILDING 64 Nguyen Dinh Chieu, Da Kao, Quan 1, Ho Chi Minh, VIETNAM.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