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림] 이곳 자료들은 베트남 주재 KOTRA 및 하노이대사관,호치민 영사관에서 제공하는 것들을 의외로 잘 몰라서 소중한 자료 정보들을 접하지 못하시는 분들이 많아 이러한 분들을 위해 원문 링크 주소와 함께 올려 놓는 것임을 알려 드립니다.- 원 발제처에서 공개를 원치 않아 연락 주시면 즉시 원문 삭제와 함께 결과를 통보하여 드리겠습니다.e-viethoa운영자
베트남 교통 인프라 현황
- 전 세계 131개국 중 68위 -
- 연간 GDP의 6% 교통인프라 개발에 투자 -
보고일자 : 2008.7.30.
안유석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교통 인프라 현황
○ 베트남의 전반적인 교통인프라는 매우 열악한 상황이며, 베트남 정부는 연간 GDP의 8~9%를 인프라 개발에 투자
○ World Economic Forum이 발간한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07~08’에 따르면, 베트남은 교통 인프라 관련 전 세계 131개국 중 68위에 랭크. 특히 항구 품질은 106위, 도로 품질은 97위 등으로 기본 교통인프라가 매우 취약
한국, ASEAN국가들과 비교한 베트남의 교통인프라 수준(2007~08)
베트남 |
한국 |
캄보디아 |
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 |
필리핀 |
싱가포르 |
태국 |
Overall Ranking | |||||||
68 |
11 |
109 |
54 |
21 |
71 |
7 |
28 |
Infrastructure Ranking | |||||||
89 |
16 |
96 |
91 |
23 |
94 |
3 |
27 |
Quality of Overall Infrastructure Ranking | |||||||
90 |
19 |
83 |
102 |
18 |
101 |
3 |
28 |
Quality of Road Ranking | |||||||
97 |
20 |
80 |
113 |
14 |
91 |
2 |
26 |
Quality of Railroad Infrastructure Ranking | |||||||
73 |
12 |
96 |
62 |
17 |
90 |
9 |
38 |
Quality of Port Infrastructure Ranking | |||||||
106 |
20 |
84 |
113 |
13 |
102 |
1 |
42 |
Quality of Air Transport Infrastructure Ranking | |||||||
90 |
26 |
83 |
85 |
15 |
82 |
1 |
28 |
Available Seat Kilometers Ranking | |||||||
39 |
19 |
87 |
24 |
22 |
30 |
16 |
15 |
자료원 :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07-2008 – World Economic Forum (www.gcr.webforum.org)
□ 도로
○ 아시아개발은행(ADB), 세계은행(WB), 일본국제협력은행(JBIC)가 조사한 ‘Connecting East Asia – A New Framework for Infrastructure(2003)’에 따르면, 베트남에는 총 2만1840㎞의 도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도로 관련 행정기관이 분산되어 있는데, 국도에 대해서는 투자재원 관련은 계획투자부, 도로 건설은 교통부 산하 Project Management Unit(PMU), 유지관리는 교통부 산하 Vietnam Road Administration(VRA)가 담당. 지방도로에 대해서는 지방정부 교통국이 주관
베트남 도로 교통 인프라 현황
구분 |
연장(㎞) |
포장율(%) |
총 도로 |
229,488 |
19.0 |
국도 |
17,295 |
83.5 |
지방도 |
21,840 |
53.6 |
시내도로 |
60,353 |
25.4 |
시골도로 |
130,000 |
2.2 |
자료원 : Connecting East Asia – A New Framework for Infrastructure – ADB, JBIC, WB
□ 철도
○ 베트남 철도의 총 연장은 3146㎞로, 7개의 주 노선과 몇몇 세부 노선으로 구분됨. 모든 노선은 단선으로 궤간은 주로 1000㎜이며, 일부는 1435㎜임.
○ 최대 속도는 70㎞/h이나, 철로의 안정성이 떨어져 최대속도를 내지 못함.
○ 철도 관련 행정기관은 건설부 산하 Vietnam Railway Administration(VNRA)이 정책·규제·안전문제 등을 책임지며, Vietnam Railway Corporation(VR)이 운송을 담당
○ 승객수의 경우 1995년 880만 명에서 2000년 980만 명, 2007년 1150만 명으로 꾸준히 증가세에 있으며, 화물운송도 1995년 450만 톤, 2000년 626만 톤, 2007년 910만 톤으로 증가하고 있음.
○ 호치민-하노이 노선의 경우 가장 빠른 기차의 경우 29시간 30분이 소요되며, 가장 느린 기차의 경우 41시간 24분 소요. 가격은 42만~115만 동(약 25~70달러) 사이임.
□ 내륙 수로
○ 베트남은 총 4만2000㎞ 길이의 강이 있는데, 이 중 3만7312㎞가 내륙수로로 이용이 가능하며, 9849㎞는 100톤 이상의 배가 접안할 수 있음.
○ 8505㎞는 중앙정부가 교통부 산하 Vietnam Inland Waterway Administration(VIWA)를 통해 관리하며, 나머지 2만8807㎞는 지방정부가 관리
○ 내륙수로를 통한 화물운송은 1995~2006년간 연평균 11.6%가 증가했는데, 1995년 3765만 톤에서 2000년 5740만 톤, 2006년 1억2300만 톤으로 증가함. 한편, 승객수도 1995년 1억1190만 명, 2000년 1억3030만 명, 2005년 1억5690만 명, 2007년 1억4390만 명으로 나타남.
베트남 내륙수로 교통 현황
(단위 : ㎞)
구분 |
중앙정부 관리 |
지방정부 관리 |
Manageable inland waterways |
8,505 |
28,807 |
For vessels under 50 tons |
1,081 |
20,182 |
For vessels from 51 to 100 tons |
1,526 |
4,674 |
For vessels from 101 to 500 tons |
3,081 |
3,476 |
For vessels from 501 to 1000 tons |
1,417 |
345 |
For vessels from 1001 tons up |
1,400 |
130 |
자료원 : Vietnam Statistical Yearbook 2007 – General Statistical Office
□ 항만
○ 3300㎞에 이르는 해안을 끼고 있는 베트남은 현재 266개 항구가 있으나, 이 중 9개만이 4만~5만 DWT 이상의 배가 접안할 수 있음. 하역물량의 연평균 증가율은 12%이며, 2004년 1억2770만 톤, 2005년 1억3900만 톤, 2006년 1억5550만 톤, 2007년 1억8000만 톤(추정)인 것으로 나타남. 최근 10년간 항만개발에 투자된 금액은 40% 증가한 반면, 하역물량은 300% 이상 증가
○ 대형 선박(4만 DWT 또는 1200 TEUs 이상)이 접안할 수 있는 항구가 적기 때문에 베트남으로의 항만 비용이 전 세계 평균보다 높음.
○ 항만관련 행정기관은 건설부 산하의 Vietnam Maritime Administration(VINAMARINE)임.
□ 교통 인프라 투자재원
○ 베트남 교통부가 2002년 작성한 교통인프라 개발에 필요한 투자액은 아래와 같음.
교통인프라 개발에 필요한 투자금액
(단위 : 10억 동)
연번 |
구분 |
2002~10년 총액 |
2011~20 총액 |
2002~20 총액 |
2002~20 연평균 금액 |
1. |
Roadways: + Express ways + National roads + Provincial roads |
245,990 56,570 139,420 50,000 |
328,530 158,530 125,000 45,000 |
574,520 215,100 264,420 95,000 |
31,918 11,950 14,690 5,278 |
2. |
Railways + Express railways + Normal railways |
218,661 204,000 14,661 |
393,576 361,500 32,076 |
612,237 565,500 46,737 |
34,013 31,417 2,596 |
3. |
Seaways |
20,378 |
65,000 |
85,378 |
4,744 |
4. |
Inland Waterways |
4,673 |
4,507 |
9,180 |
510 |
5. |
Urban transport (Hanoi & HCMC) + Roadways + Railways + Supporting public trans |
195,886
129,385 56,510 10,000 |
423,595
221,448 193,147 9,000 |
619,481
350,833 249,648 19,000 |
34,416
19,491 13,869 1,056 |
6. |
Rural transport |
86,500 |
77,850 |
164,350 |
9,131 |
|
TOTAL : In VND Bil. |
772,088 |
1,293,058 |
2,065,146 |
114,732 |
|
In US$ Bil. |
50.56 |
84.67 |
135.23 |
7.51 |
자료원 : 베트남 교통부
주 : 2002년 평균 환율 : US$ 1 = VND 15,272
○ World Bank에 따르면, 베트남의 현재 인프라 투자는 GDP의 9~10%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2010~20년간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 교통·통신 인프라 투자는 GDP의 6% 정도인 것으로 나타남.
○ 베트남 인프라 투자의 40%가 해외원조자금에 의해 이뤄지며, 2001~05년간 전체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의 25%가 교통인프라 개발에 집행됨.
베트남 연평균 인프라개발 집행액 비중(2003)
(단위: % of GDP)
베트남 |
캄보디아 |
중국 |
인도네시아 |
라오스 |
몽고 |
필리핀 |
태국 |
Total Annual Expenditure on Infrastructure | |||||||
9.9 |
2.3 |
7.3 |
2.7 |
4.7 |
4.0 |
3.6 |
15.4 |
Annual Expenditure on Transport & 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 | |||||||
6.0 |
1.4 |
4.4 |
2.2 |
1.6 |
2.1 |
1.8 |
5.9 |
자료원 : Connecting East Asia – A New Framework for Infrastructure – ADB, JBIC, WB
베트남 ODA 자금 산업별 집행 내역(2001~05)
(단위 : 백만 달러, %)
산업 |
ODA 약속액 |
ODA 집행액 |
|||
Value |
% |
Value |
% |
||
Agricultural & rural development + poverty alleviation |
1,818 |
16 |
1,641 |
21 |
|
Energy and industry |
1,802 |
16 |
1,375 |
17 |
|
Transport & communications |
2,753 |
25 |
2,040 |
25 |
|
Water supply & drainage and urban de-velopment |
1,048 |
9 |
519 |
7 |
|
Health & education |
1,171 |
11 |
554 |
7 |
|
Environments and science & technology |
351 |
3 |
361 |
5 |
|
Others |
2,263 |
20 |
1,417 |
18 |
|
Total |
11,206 |
100 |
7,907 |
100 |
자료원 : Decision 290/2006/QD-TTg of the Prime Minister dated Dec. 29, 2006 on the orientations of attraction and disbursement of ODA in the 2006-2010 period
□ 시사점
○ 현재까지 대부분의 인프라 개발 관련 투자 재원은 ODA(해외원조), 정부자금이었으며 민간부분 투자는 전체 인프라 투자의 약 15% 정도에 불과
○ 기존 ODA 자금, 정부자금은 인프라 개발 투자재원으로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며, 현재와 같은 열악한 인프라를 바로잡지 못할 경우 베트남 경제성장에 큰 걸림돌이 될 것이란 점에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으며, 민간투자를 늘려야 할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됨.
○ 최근, 한국의 GS 건설이 호치민시에 13.6㎞의 도로를 건설해 주고, 공사비용만큼의 토지(102만s/m)를 대토 받아 개발하는 BT(Build/Transfer) 방식의 투자는 외국인 부동산개발 투자허가를 일종의 특혜라고 보는 정부내 부정적인 시각에 인프라 개발이라는 명분을 줄 수 있고, 투자자 입장에서는 요지의 부지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Win-Win 할 수 있는 형태의 투자방식임.
○ 또한 순수 BOT 방식의 인프라 투자도 베트남 정부차원의 수익 보장제도가 갖춰진다면 충분한 투자가치가 있고, 과거에 비해 외국인 투자를 포함한 민간부분의 인프라 투자에 대한 정부의 인식이 바뀌고 있는 바, 관련 한국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한 시점임.
자료원 : 무역관 자체 조사
하노이 동아인 현 6개 지역 개발에 참여할 투자자 모집
하노이시는 동시의 행정구 중 하나, 동아인(Đông Anh)현의 6개의 에리어에서 진행하는 개발 사업에 투자할 투자자를 모집하고 있다. 동시는 2025년까지 인프라에 ...
베트남 호텔 숙박 시장 동향 전망, 호치민시 요금 인상
2022년 말 호치민 시내 호텔 숙박 요금은 1박 평균 180만VND로 2022년 3분기 대비 9%, 2021년 대비 21% 상승했다. 세빌스 베트남사의 호텔 시장 조사 보고서에 의...
지정학적 긴장과 함께 비용 상승으로 세계의 대기업들은 대체 생산 거점을 찾아야 하고, 베트남 호조의 경제 상황이 유럽 기업들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베트남...
외국과의 직업훈련 제휴에 관한 새로운 시행령, 정치나 종교를 포함한 커리큘럼 금지
베트남 정부는 6일 직업훈련 분야에서의 투자·활동 조건에 관한 규정을 개정·보충하는 시행령 제24호/2022/ND-CP를 공포했다. 동시행령은 6월 1일에 시행된다. 시...
코로나에 의한 부품 공급망 차단 등으로.. 일본 기업이 최근 베트남의 주변산업이 가진 기술과 제품에 주목하고 있다. 신형 코로나바이러스의 세계적 감염 확대로...
베트남 외국인 투자 규제 및 제한 사업 명확하게 작성 리스트 공표
베트남 정부는 3월 말 2021년 1월 1일부로 시행 된 투자법(2020 년판)의 일부에 대해 안내하는 시행령 제 31 호 / 2021 / ND-CP를 공포하여 동 시행령은 즉시 시...
베트남 개발 서두르는 6개 도시의 '스마트 시티' 계획
과학 기술에 의해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인더스트리 4.0' 시대의 세계적인 추세가 되고있다. 사진 ㊤ = 최신 스마트 시티 기술 전시회를 시찰하는 Nguyễn X...
EVFTA 1 일부로 발효, 유럽 시장 진출의 과제는 규정 준수
지난 1일 유럽 연합(EU)과 베트남 간의 자유 무역 협정(EVFTA)이 발효되었다. 관세 인하 등의 혜택을 받는 베트남 기업들은 새로운 제품 수출의 큰 기회가 될 수 ...
해외 기업들 베트남 유통 시장 진출 모색, EVFTA 등에 힘입어
1800억 달러 규모를 자랑하며, 매년 두 자리 성장률을 자랑하는 베트남 소매 시장의 호조에 주목하고 투자 및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는 해외 기업들이 늘고있다. ...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2020-06-22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국회 6월 8일 EVFTA 비준 완료 - - 2012년 6월 협상 개시 이...
포스트 코로나를 대처하는 베트남의 자세 2020-06-19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EVFTA로 수출과 투자 활로 확대 기대 - - IT 인프라 및 노동자 양성,...
제14기 (2016 ~ 2021년) 제9회 국회는 8일 오전 베트남 EU 자유 무역 협정 (EVFTA)의 비준에 관한 결의를 94.62 %의 찬성 다수로 채택했다. 또한, 베트남 EU 투자...
최근 한국의 베트남 투자 동향 2020-01-28 유상철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유통, 서비스 등 투자분야 다각화 - - 10만 달러 미만 소규모 투자 프로젝트 증가 - (참...
베트남 수입 통관 시 까다로운 FTA 적용 절차 2020-01-23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세계 주요 시장과 FTA 협정 체결로 FTA 활용 허브로 역할 증대 기...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 전자 상거래, 2020 년까지 100 억 달러의 수익 전망
2020 년까지 베트남의 전자 상거래는 100 억 달러의 수익에 도달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전자 상거래는 소규모의 베트남 기업도 소액 자금으로 모든 국가에 제...
[KOTRA]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2019-02-15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CPTPP 조항 따라 법ㆍ제도 선진화 및 글로벌 공급망 참여 기대 - - 원산지 포탈 ...
베트남의 전자 지갑 시장에 모이는 해외 기업의 뜨거운 시선, 소비자들도 편리성에 주목
베트남 정부는 2020년까지 현금 결제를 전 결제 거래의 약 10%이하까지 줄이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성장의 여지가 크다고 예측되는 전자 대금 결제와 계좌인 ...
다낭시 제1분기 외국인 관광객 59%증가 FDI도 약진 , 다낭 시장이 밝혀
다낭시 인민 위원회 Huỳnh Đức Thơ 시장은 최근 기자 회견을 갖고(사진 ㊤) 동시의 제1분기의 관광객 수가 169만 700명 (전년 동기 대비 34.7%증가)으로, 2018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