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베트남 의료기기 수입 매년 증가추세
- 현지 단순 의료기기 생산으로 최첨단설비에 대한 수입 높아 –
- 소득 향상에 따른 의료서비스 품격 향상 -
□ 베트남 의료기기 산업현황
○ 베트남 의료기기산업은 아직 기초단계로 현지 의료기기 생산제품은 단순의료기기가 대부분임. 이에 정밀기기, 최첨단 의료기기의 경우,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해 베트남의 의료기기 수입은 최근 높은 증가추세를 보임.
- 현지 생산 의료기기는 베트남 전체 수요의 약 20% 정도에 상응함.
○ 베트남은 약 1000여 곳의 소,대규모의 병원이 있으며, 다양한 기능의 의료설비에 대한 수요도가 높으며, 기기의 안정성과 정밀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남.
- 소득 증가에 따른 향상된 품질의 의료서비스 수요가 증가하며, 이에 대해 선호하는 의료기기에 대한 기준 또한 높아짐.
- 이에 하노이, 호찌민 등 도심지역의 큰 병원에서 이용하는 MRI, 내시경 수술장비, CT촬영기 등의 의료장비, 설비는 많은 비용을 들여 수입에 의존하는 실정임.
○ 세계적으로 2만 종류의 의료기기 유통되나, 베트남 국내 생산되는 의료기기는 약 600여 종류로 주요 생산품목은 단순 의료 용구임.
- 베트남 현지에 50여 곳의 현지 의료기기 생산업체가 있으나, 생산품목은 손도구, 환자용 침대, 의료장갑, 살균기, 주사기, 링거 줄 등의 일반적 단순 의료용구가 다수임.
- 최근 몇몇 업체에서, 레이저치료기, 의료용 소각로, 체외 결석파쇄기, 고주파메스, 초음파기 등 생산하기 시작했으나, 제품 품질이 낮고, 특히, 베트남 의료기기 기준에 준하는 제품 생산은 역부족임.
○ 베트남의 전반적인 의료기기 현황은 아직 설비, 기기가 많이 부족한 실정으로,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며, 낙후된 곳이 많은 것으로 나타남.
- 현재 사용된 의료기기 또한 각 의료부처에서 정기검사, 보수를 하지 못하며, 경비가 없어 시설을 변경하지 못하고, 많은 지방에서 소비물품에 대한 구매 경비가 부족한 실정임.
□ 베트남 의료기기 수입동향
○ 2010년 연초부터 7월까지 베트남 의료기기 수입은 1억6860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19.5% 증가됨. 그 중 의료기계에 대한 수입은 수량과 금액에서 높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남.
- 2010년 1~ 6월까지 수입은 전년 동기대비 안정적인 수입증가 추세를 보임.
- 올 7월 베트남 의료기기 수입은 2000만 달러로 전월대비 15% 감소됐지만, 이는 전년 동월대비 16% 증가를 나타냄.
자료원 : 베트남 산업무역정보센터
□ 품목별 수입동향
○ 베트남 의료기기 수입은 크게 의료용구와 의료장비 2가지로 구분됨. 2010년 1~7월의 의료용구와 의료장비 수입 모두 전년동기 대비 증가를 나타냄.
- 의료용구의 수입은 7030만 달러이고, 의료장비 수입은 500만개, 9240만 달러로 수량과 금액에서 모두 증가추세를 보임
○ 올 7개월간의 의료용구 수입은 전년동기 대비 소폭의 증가를 나타냄. 주요 수입품목으로는 혈소판 채혈장비, 호흡장비, 0.5ml 주사기, 멸균기, 주사바늘, 이비인후과 내시경 장비 등이 높은 수입금액을 나타냄.
- 1~7월간의 베트남 의료용구 수입가격의 경우 0~5% 변동으로 안정적인 가격대를 유지함.
○ 베트남 올 의료장비 수입은 전반적으로 대부분 품목이 전년동기 대비 큰 폭의 증가를 보임. 그 중 영상진단기군 수입이 가장 높으며, 이어 응급치료설비와 임상설비 등의 수입이 높게 나타남.
- 올 연초 7개월간 응급치료설비 수입은 489만개, 2044만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수량에서 큰 폭으로 증가함.
2010년 1~7월 의료기기 수입 동향
(단위 : 달러, % )
구분 |
2010년 1~7월 누계 |
비중 |
증감률 | ||
수량 |
금액 |
금액 |
수량 |
금액 | |
의료용구 |
* |
70,360,009 |
43.2 |
* |
12 |
영상진단설비 |
1,894 |
33,931,606 |
20.8 |
69 |
63 |
응급 치료설비 |
4,891,360 |
20,444,114 |
12.6 |
67,321 |
117 |
임상설비 |
2,915 |
15,768,130 |
9.7 |
15 |
14 |
기능검사설비 |
151,178 |
13,837,862 |
8.5 |
24 |
96 |
치과설비 |
1,891 |
1,053,116 |
0.6 |
-1 |
53 |
기타기계 |
11,695 |
7,426,288 |
4.6 |
28 |
11 |
합계 |
* |
162,821,125 |
100.0 |
* |
34 |
자료원 : 베트남 산업무역정보센터
□ 주요 의료장비 수입동향
○ 베트남 올 1~7월간 의료장비 수입은 총 17개 품목으로, 수입금액 중 100만 달러를 넘어서는 품목으로는 초음파 기계 2490만 달러, 환자감시장치 950만 달러, 분석기와 검사기 600만 달러, 혈액투석장치 410만 달러, 마취기계 320만 달러 등으로 나타남.
- 올 연초 7개월 의료장비 수입가격은 전반적으로 큰 변동은 없고, 혈압, 혈당측정기, 의료용 흡입기, 전해질 측정기 품목에서 0~10% 가격 상승을 나타남.
○ 초음파기계는 베트남 의료장비 수입업체들이 가장 많은 관심을 가지는 품목으로, 지난 여러 달 수입은 지속적으로 이뤄짐. 그러나 수입량에서는 다소 높지 않게 나타남.
- 기계의 내구성 및 사용과정에 있어, 큰 성능 변화를 필요로 하지 않은 장비임.
- 베트남 초음파기계 공급 국가는 22개국에서 수출을 했으며, 그 중 일본 1000만 달러, 한국 450만 달러, 싱가포르 360만 달러로 높은 수입금액을 보임. 수량 면에선 중국, 북한과 미국에서의 수입이 증가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중국은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 인지도를 얻음.
○ 2010년 1~7월 베트남 환자감시장치 수입은 950만 달러로 의료장비 중 2번째로 많이 수입됐으며, 전체 의료기계수입 비중의 6%를 차지함.
- 총 12개국에서 베트남으로 수입이 됐으며, 일본, 미국, 싱가포르가 주요 수출 국가임.
○ 올 연초 7개월간 베트남 의료 분석기 수입은 891개, 650만 달러로 22개국에서 수입이 이뤄짐.
- 독일 일본, 미국, 중국이 4대 주요 공급국가이며, 다양한 종류의 분석장비를 공급함.
- 품목별로는 면역분석기, 소변분석기, 생화학 분석기, 혈액학 분석기, 전해질 분석기, 혈액가스 분석 등임.
2010년 1~7월 100만 달러 이상 의료기계 수입품목
(단위 : 대, 달러)
순위 |
품목 |
수량 |
금액 |
1 |
초음파기 |
1,304 |
24,986,488 |
2 |
환자감시장치 |
1,572 |
9,595,095 |
3 |
분석기 |
891 |
6,563,858 |
4 |
실험기 |
651 |
6,275,894 |
5 |
혈액투석기 |
283 |
4,127,174 |
6 |
MRI 촬영기 |
6 |
3,881,517 |
7 |
마취기 |
163 |
3,276,715 |
8 |
호흡기 |
188 |
3,143,581 |
9 |
수술기 |
48 |
2,615,953 |
10 |
혈압측정기 |
134,595 |
2,415,664 |
11 |
ECG 기계 |
954 |
1,411,209 |
12 |
내시경기 |
67 |
1,237,008 |
13 |
의료용 흡입기 |
3,436 |
1,164,018 |
14 |
X레이 |
33 |
1,073,479 |
15 |
레이저 |
38 |
1,041,792 |
자료원 : 베트남 산업무역정보센터
□ 대 베트남 국가별 수출 동향
○ 2010년 1~7월간 대 베트남 의료기기 주요 수출국가는 일본과 싱가포르이며, 총 19개국에서 100만 달러 이상의 의료기기를 베트남으로 수출함.
- 7개 공급국가에서 전년동기 대비 증가를 보였음.
2010년 1~7월 대 베트남 100만 수출 국가
(단위 : 달러, %)
국가 |
2010년 1~7월 누계 |
2010년 7월 | ||
금액 |
증감률 |
비중 |
금액 | |
일본 |
36,107,809 |
13.04 |
21.41 |
9,226,256 |
싱가포르 |
29,886,184 |
9.55 |
17.72 |
3,389,255 |
독일 |
23,973,327 |
19.4 |
14.21 |
2,834,095 |
미국 |
16,393,936 |
23.16 |
9.72 |
2,552,027 |
중국 |
12,024,652 |
16.03 |
7.13 |
1,451,750 |
한국 |
9,474,148 |
42.69 |
5.62 |
1,216,673 |
말레이시아 |
7,032,489 |
-4.3 |
4.17 |
1,072,045 |
핀란드 |
3,712,441 |
819.23 |
2.2 |
41,825 |
이탈리아 |
3,655,717 |
25.6 |
2.17 |
567,514 |
프랑스 |
3,311,791 |
10.42 |
1.96 |
813,066 |
홍콩 |
2,786,785 |
-13.83 |
1.65 |
537,599 |
대만 |
2,474,812 |
34.66 |
1.47 |
367,099 |
스페인 |
2,139,485 |
* |
1.27 |
39,999 |
북한 |
1,907,553 |
* |
1.13 |
308,000 |
스위스 |
1,460,465 |
69.07 |
0.87 |
126,648 |
태국 |
1,437,573 |
60.98 |
0.85 |
119,114 |
인도 |
1,430,239 |
100.28 |
0.85 |
223,097 |
네덜란드 |
1,307,470 |
30.18 |
0.78 |
64,292 |
영국 |
1,170,833 |
29.72 |
0.69 |
64,372 |
자료원 : 베트남 산업무역정보 센터
□ 시사점 및 전망
○ 의료산업은 베트남 정부에서 많은 관심을 갖는 분야로 애초 정부 계획을 수립해 국내 생산증진에 노력했지만 실현 어려운 것으로 직시됨.
- 이와 함께 의료서비스 수요 향상에 따라, 베트남 의료기기에 대한 수입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예년 베트남 수입업체 연말 수입증가를 감안하면, 8, 9월 수입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10월 이후부터 연말까지,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함.
○ 한국의료기기 수입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고 또한 현지시장에서 전반적으로 한국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실정으로 소비자 인식과 제품 인지도 향상을 위한 홍보가 필요할 것임.
- 다만 가격 중시 시장으로 베트남 시장진출에 있어 유동성 있는 가격정책이 필요하며, 꾸준한 관심이 중요함.
자료원 : 베트남 뉴스, 산업무역정보센터, 코트라 호찌민KBC 종합
하노이 동아인 현 6개 지역 개발에 참여할 투자자 모집
하노이시는 동시의 행정구 중 하나, 동아인(Đông Anh)현의 6개의 에리어에서 진행하는 개발 사업에 투자할 투자자를 모집하고 있다. 동시는 2025년까지 인프라에 ...
베트남 호텔 숙박 시장 동향 전망, 호치민시 요금 인상
2022년 말 호치민 시내 호텔 숙박 요금은 1박 평균 180만VND로 2022년 3분기 대비 9%, 2021년 대비 21% 상승했다. 세빌스 베트남사의 호텔 시장 조사 보고서에 의...
지정학적 긴장과 함께 비용 상승으로 세계의 대기업들은 대체 생산 거점을 찾아야 하고, 베트남 호조의 경제 상황이 유럽 기업들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베트남...
외국과의 직업훈련 제휴에 관한 새로운 시행령, 정치나 종교를 포함한 커리큘럼 금지
베트남 정부는 6일 직업훈련 분야에서의 투자·활동 조건에 관한 규정을 개정·보충하는 시행령 제24호/2022/ND-CP를 공포했다. 동시행령은 6월 1일에 시행된다. 시...
코로나에 의한 부품 공급망 차단 등으로.. 일본 기업이 최근 베트남의 주변산업이 가진 기술과 제품에 주목하고 있다. 신형 코로나바이러스의 세계적 감염 확대로...
베트남 외국인 투자 규제 및 제한 사업 명확하게 작성 리스트 공표
베트남 정부는 3월 말 2021년 1월 1일부로 시행 된 투자법(2020 년판)의 일부에 대해 안내하는 시행령 제 31 호 / 2021 / ND-CP를 공포하여 동 시행령은 즉시 시...
베트남 개발 서두르는 6개 도시의 '스마트 시티' 계획
과학 기술에 의해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인더스트리 4.0' 시대의 세계적인 추세가 되고있다. 사진 ㊤ = 최신 스마트 시티 기술 전시회를 시찰하는 Nguyễn X...
EVFTA 1 일부로 발효, 유럽 시장 진출의 과제는 규정 준수
지난 1일 유럽 연합(EU)과 베트남 간의 자유 무역 협정(EVFTA)이 발효되었다. 관세 인하 등의 혜택을 받는 베트남 기업들은 새로운 제품 수출의 큰 기회가 될 수 ...
해외 기업들 베트남 유통 시장 진출 모색, EVFTA 등에 힘입어
1800억 달러 규모를 자랑하며, 매년 두 자리 성장률을 자랑하는 베트남 소매 시장의 호조에 주목하고 투자 및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는 해외 기업들이 늘고있다. ...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2020-06-22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국회 6월 8일 EVFTA 비준 완료 - - 2012년 6월 협상 개시 이...
포스트 코로나를 대처하는 베트남의 자세 2020-06-19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EVFTA로 수출과 투자 활로 확대 기대 - - IT 인프라 및 노동자 양성,...
제14기 (2016 ~ 2021년) 제9회 국회는 8일 오전 베트남 EU 자유 무역 협정 (EVFTA)의 비준에 관한 결의를 94.62 %의 찬성 다수로 채택했다. 또한, 베트남 EU 투자...
최근 한국의 베트남 투자 동향 2020-01-28 유상철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유통, 서비스 등 투자분야 다각화 - - 10만 달러 미만 소규모 투자 프로젝트 증가 - (참...
베트남 수입 통관 시 까다로운 FTA 적용 절차 2020-01-23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세계 주요 시장과 FTA 협정 체결로 FTA 활용 허브로 역할 증대 기...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 전자 상거래, 2020 년까지 100 억 달러의 수익 전망
2020 년까지 베트남의 전자 상거래는 100 억 달러의 수익에 도달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전자 상거래는 소규모의 베트남 기업도 소액 자금으로 모든 국가에 제...
[KOTRA]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2019-02-15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CPTPP 조항 따라 법ㆍ제도 선진화 및 글로벌 공급망 참여 기대 - - 원산지 포탈 ...
베트남의 전자 지갑 시장에 모이는 해외 기업의 뜨거운 시선, 소비자들도 편리성에 주목
베트남 정부는 2020년까지 현금 결제를 전 결제 거래의 약 10%이하까지 줄이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성장의 여지가 크다고 예측되는 전자 대금 결제와 계좌인 ...
다낭시 제1분기 외국인 관광객 59%증가 FDI도 약진 , 다낭 시장이 밝혀
다낭시 인민 위원회 Huỳnh Đức Thơ 시장은 최근 기자 회견을 갖고(사진 ㊤) 동시의 제1분기의 관광객 수가 169만 700명 (전년 동기 대비 34.7%증가)으로, 2018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