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으로 진출하는 일본의 첨단기술
- 엔고, 대지진 이후 일본 기업들의 베트남 투자 관심 높아져 -
□ 최근 일본 첨단기술 기업의 베트남 진출 개요
ㅇ 2011년 이후 베트남의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와 전자상거래 시장은 전자통신, 정보기술, 전자결제 기술을 보유한 일본계 거대 정보통신 기업 NTT(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가 주도함.
- 지난해 8월, 일본 최대 모바일 서비스 공급업체이자 NTT의 자회사인 NTT DoCoMo사는 베트남 휴대전화 콘텐츠 서비스 공급업체인 VMG Media Group(VMG)에 대한 14억 엔(3700억 베트남동)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한 바 있음.
- 이로 인해 이 회사는 VMG 지분의 25%를 확보한 반면 Vietnam Posts and Telecommunications Group(VNPT)의 지분은 36%에서 29%로, 기타 주주들의 지분은 64%에서 46%로 감소함.
- NTT DoCoMo는 이번 지분 획득을 계기로 對아시아·태평양지역 시장 확대 기회로 삼으며 올해 지불 솔루션과 전자상거래, 고객 서비스 등 새로운 3G 기반 모바일 서비스 부문 개발에 주력할 것임.
ㅇ NTT의 또 다른 자회사인 NTT Data사는 베트남의 전자결제시장 진출을 모색하기 위해 VietUnion Online Services사에 대한 투자 계획을 발표함.
- 이에 따라 NTT Data는 VietUnion 지분의 40%를 차지함과 동시에 Saigon Invest Group에 이어 2대 주주로 부상함.
- 또한 NTT Data는 VietUnion이 베트남 전자결제 시장점유율 확대를 위해 자본과 기술을 지원하기로 함.
- NTT Data의 투자로 VietUnion에 인가된 자본은 600억 동에서 1500억 동으로 증가했고 VietUnion은 이번 기술 지원을 통해 은행 계좌 비보유 고객뿐만 아니라 Point of Sale POS)결제 시스템, 뱅킹 시스템과 서비스 공급자를 연결하는 중간 결제모델을 개발할 예정임.
ㅇ 일본의 투자 기업들은 베트남에서 결제 부문 외에도 디지털 콘텐츠분야의 새로운 투자 활로를 모색함.
- 지난해 11월, DeNA Japan은 일본 시장에서 DeNA와 Yahoo! Japan이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 소셜 네트워크 게임들을 수출하기 위해 VNG사와 계약을 체결한 바 있음.
- DeNA는 Yahoo! Mobage 서비스의 일본 사용자들을 위해 우선 VNG가 개발한 컴퓨터용 게임인 Pig Farm과 Sky Garden을 소개할 것임.
- 비슷한 시기에 일본의 TD Mobile은 현지 모바일 업체인 Vien Thong A사의 지분 30%를 획득하고, 이와 더불어 양사는 베트남 소비자들의 성향에 맞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 휴대전화 부가서비스 등을 조사·제공하기 위해 협력을 확대할 계획임.
□ 일본의 對베트남 투자 패턴 기술집약형으로 변화
ㅇ 지난해 11월 호치민 시에서 개최된 일본 투자업체들의 자본 흐름에 관한 세미나에서, JETRO는 일본의 해외직접투자에서 베트남의 비중이 확대됨을 밝힘.
- JETRO에 의하면, 과거 일본 기업들은 중국을 투자 종착지로 선정했으나 중국의 생산비용 상승과 일본의 엔고, 인건비 상승과 대지진으로 국가경제가 위기에 처했음. 이를 극복하기 위한 투자 대안지로 베트남의 관심이 높아짐을 언급함.
ㅇ 전문가들은 일본의 기술이 베트남에 유입되면 시장에서 공생이라는 트렌드를 창조하며 소프트웨어와 전기통신, 디지털 콘텐츠 회사들의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함.
- DeNA Aisia는 베트남 진출에 대해, 베트남의 디지털 콘텐츠 시장은 인적 요소와 문화적 유사성으로 볼 때 매우 매력적이었다고 평가하고, 향후 베트남 기술자들은 더욱 숙련될 것이며 콘텐츠가 풍부해 일본 파트너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함.
- VNG와의 협력 외에 DeNA는 베트남에서 장기적 투자활동 확대를 위해 하노이의 Punch Entertainment사를 인수하고 DeNA Asia-Pacific과 싱가포르에 있는 자회사의 혁신 기술을 제공해 DeNA는 베트남 기업들이 세계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임.
- VNG측은 투자 대상국을 물색해 왔던 일본 자본의 흐름이 매우 양호한 조건으로 베트남으로 유입된다고 밝히고 향후 DeNA와의 협력을 통해 VNG는 인적자원, 인프라·연구개발 확대 등을 과제로 제시함.
- 또한 VNG는 베트남 기업의 품질 향상 노력은 일본 기업들과의 협력이 성공하는데 결정적인 요소라 평가하고 2012년에 DeNA에 8개의 새로운 게임을 출시해 1000만 달러 수준의 수익을 기대함.
□ 전망
ㅇ 베트남의 전자결제시장은 여전히 낙후됐으나 베트남이 카드결제 프로젝트가 개발되는 미래에는 중요한 사업 기반이 될 것이며 현재의 투자는 베트남의 전자결제 네트워크의 구축과 개발에 결정적 역할을 할 것임.
- 향후 NTT Data는 VietUnion의 고객, 파트너 네트워크를 통해 청구 계산 서비스 시스템과 지불거래과정 시스템에도 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해 중간 결제서비스를 개발할 것임.
- 전문가들은 최근 전자지갑 서비스는 투자자들에게 수익을 보장할 수 없으나 베트남의 휴대전화와 인터넷·ATM사용자 커뮤니티의 발전에 따라 베트남의 결제시스템이 성장하는 향후 5년 이후에는 이윤이 발생할 것으로 평가함.
ㅇ 이처럼 일본 기술기업들의 對베트남 투자는 미래 시장 개척을 위한 장기 투자로 TD Mobile은 현재 구체적인 수익목표를 수립하지 않으며 오직 콘텐츠 솔루션부터 인적자원까지 충성도 높은 고객들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함.
- 일본의 투자를 유치한 베트남 기업들은 일본기업의 고객 관리와 휴대전화용 디지털 콘텐츠 개발 경험을 습득할 수 있을 것임.
- 지난 한해 동안 일본의 對베트남 투자 규모는 약 24억 달러로 홍콩 31억 달러에 이어 제2위 수준이며 누적기준으로 236억 달러를 기록, 싱가포르와 한국에 이어 제3위 투자국으로 부상함.
- 과거 일본의 對베트남 투자패턴은 Canon, Toshiba, Fusitsu 주도로 하드웨어 생산방식이었으나 최근 디지털 콘텐츠, 전자상거래·전자제품 판매기업들이 하드웨어 제조업체들을 따라 시장에 진입하면서 베트남 기업들은 지금 'non-factory' 투자 패턴으로 전환함.
자료원: Saigon Times(2012년 2월) 및 코트라 하노이 무역관 종합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2020-06-22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국회 6월 8일 EVFTA 비준 완료 - - 2012년 6월 협상 개시 이...
포스트 코로나를 대처하는 베트남의 자세 2020-06-19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EVFTA로 수출과 투자 활로 확대 기대 - - IT 인프라 및 노동자 양성,...
최근 한국의 베트남 투자 동향 2020-01-28 유상철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유통, 서비스 등 투자분야 다각화 - - 10만 달러 미만 소규모 투자 프로젝트 증가 - (참...
베트남 수입 통관 시 까다로운 FTA 적용 절차 2020-01-23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세계 주요 시장과 FTA 협정 체결로 FTA 활용 허브로 역할 증대 기...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KOTRA]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2019-02-15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CPTPP 조항 따라 법ㆍ제도 선진화 및 글로벌 공급망 참여 기대 - - 원산지 포탈 ...
베트남에서 잘 나가는 스타트업 10 2018-01-19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IT, 모바일 기술 기반으로 외식·전자상거래·핀테크·관광·교육·농업 분야 창업 활발 ...
최근 베트남 인프라 건설 시장동향 및 이슈 2018-03-06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인프라 건설시장, 2025년까지 연평균 10.4% 성장할 것 - - PPP, BOT...
[KOTRA] 베트남, 내년부터 자동차 수입 더욱 까다로워진다
베트남, 내년부터 자동차 수입 더욱 까다로워진다 2017-11-02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2018년 아세안 역내 자동차 무관세 수입 발효 대비해 수입 자격요건 ...
[유망] 베트남 섬유·의류 시장동향 2017-09-05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원단∙직물 생산 취약… 수입의존도 높은 특징 지녀 - - 단순수출 외에도 고품...
베트남 투자진출 최신 3대 이슈 2017-06-08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사회보험료 의무납부, 산재보험률 감소, 대표사무소 현지 명의 은행계좌 개설 불가 - -...
베트남 가구시장 진출 시 유의할 점 2017-06-28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건설 경기 상승에 따라 가구·인테리어 시장 수요 확대될 것 - - 진출 시 내수시장 ...
베트남, SNS를 보면 비즈니스가 보인다 2017-05-26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소셜 미디어(SNS) 파급 효과는Facebook, Youtube에 집중 - - 공식 집계...
2017년 4월 지역별 수출입 동향 [코트라 제공 자료]
2017년 4월 수출입 동향을 주요 지역별로 분석한 자료로 KOTRA 호치민무역관에서 제공하는 자료입니다. 베트남 내용은 첩부파일 10페이지에 있습니다. (KOTRA) 20...
[KOTRA자료] 2017년 3월 지역별 수출입 동향(베트남 10페이지)
2017년 3월 지역별 수출입 동향 베트남 내용은 10페이지에 있습니다 [KOTRA] 2017년 3월 권역별 수출입 동향2.pdf
하이테크 농업으로 재도약 꿈꾸는 베트남 농업 2017-03-2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월드뱅크, 베트남 농업 GDP 비중 2030년 8%대로 감소 전망 - - 베트남 ...
베트남 PCI를 통해 본 베트남 비즈니스 환경 2017-03-21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다낭시, 2016 지역경쟁력지수 1위 차지 - - FDI 기업 "베트남 진입 비용 ...
베트남 프랜차이즈 카페가 스타벅스보다 잘 나가는 이유 2017-03-14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매년 꾸준히 성장하는 카페 산업, 현지 프랜차이즈 카페가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