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여전히 매력도 높은 투자처로 평가
- 투자 진출 외에 소비시장으로서 주목 -
2012-09-18
하노이무역관
권경덕( kotra@hn.vnn.vn )
□ 베트남 투자 매력도 높아
○ 최근 미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에 의하면, 베트남이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처로서 평가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유럽 국가들도 베트남이 미래의 소비시장으로서 부상하고 있음을 주목하고 최근의 경기침체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세계 경제 회복시 베트남 경기도 빠르게 회복될 것으로 전망함.
- 특히 한국과 FTA, 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참여 등 개방을 추진하고 있어 시장 진출 기회가 더욱 확대될 것이나 부정부패는 여전히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음.
□ 미국 기업 설문 조사 결과
○ AmCham Singapore, US Chamber of Commerce 그리고 Wall Street Journal이 동남아 지역 투자기업 350개 CEO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동남아 국가들의 투자 매력도가 점차 상승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베트남으로 생산 설비 이전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가 약 57%를 차지함.
- 기타 투자 대상지로서 태국 11%, 싱가포르 8%,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이 각각 7%로 응답하여, 베트남의 투자 매력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분석됨.
- 베트남에서 활동하고 있는 미국계 기업들의 약 82%는 내년에 수익이 증가할 것이며, 절반 이상이 내년도에 고용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답함.
- 최근 베트남 경제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물가와 임금 상승 그리고 환율 불안 등 경제 불안 양상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 결과가 주목됨.
○ 미국 기업들은 투자환경 외에도 인구 9,000만의 거대 시장이 점차 구매력이 높아지고 있음에 매력을 느끼고 있음.
- 지난해 긴축 정책과 물가 억제 정책으로 인해 소비 심리가 위축되었으나 세계 경제 회복 시 베트남의 소비 시장도 빠르게 회복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함.
○ 지난해 이후 주목받고 있는 미얀마에 대한 투자진출 가능성에 대해 다소 회의적임.
- 미얀마는 오랜 동안 경제제제로 인해 경제 시스템이 붕괴되었고, 정확한 정보 획득이 어려워 대다수의 미국기업들이 투자를 주저하고 있음.
- 그러나 응답 기업의 53%는 장기적으로 미얀마에 수출을, 52%는 미얀마에 투자를 모색할 것이라고 응답함.
- 또한 응답 기업의 3/4는 당장 미얀마에 대한 진출이 어렵더라도 경제제재 완화 조치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
○ 그러나 응답 기업들은 베트남 정부가 해결해야하는 과제로서 지속적인 외자 유치와 매력적인 투자유치국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경제 개혁이 필요하다고 응답함.
- 응답 기업 중 77%는 뇌물 수수 등 부정부패 문제를 가장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음.
□ 미국 ASEAN 투자 사절단 베트남 방문
- 지난 7월말 21명으로 구성된 미국의 ASEAN 투자사절단이 베트남을 방문하여 투자 환경에 대한 조사활동을 벌임. - 同 사절단은 최근 미국 기업들이 베트남 투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을 주목 하고 미국 기업의 베트남 투자 증가 현상을 지속될 것이라 예상함. - 특히 사절단은 미국이 주도하고 있는 환태평양동반자 협정(TPP)에 베트남이 적극적 으로 참여하고 있어, 협상이 성공적으로 종료되면 베트남은 투자뿐만 아니라 거대 시장으로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을 것으로 평가함. |
□ 프랑스 기업의 베트남 진출 증가
○ 최근 베트남에 투자를 모색하고 있는 프랑스계 기업이 증가하고 있음.
- 하노이 주재 프랑스 대사관에 의하면, 베트남은 거대 소비시장으로서 잠재성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프랑스의 주요 교역 대상국으로 부상할 것이며, 베트남 진출에 관심 있는 기업은 소비재 제품 생산 기업과 물류 기업이라고 밝힘.
- 동아시아 국가들이 베트남을 임가공 생산 기지로 평가하는 것과 달리 프랑스 기업들은 베트남의 관광, 보건, 통신 및 프랜차이즈 사업에 관심이 높음.
○ 금년 상반기 프랑스는 베트남에 352개 프로젝트, 총 30억 달러를 투자하여 제15위 투자국임.
- 주요 투자 분야는 의료, 에너지, 소비재 등으로 베트남 소비시장 진출에 비중이 높음.
- 베트남 진출 프랑스 기업들은 베트남 정부가 인프라 개선 노력이 지속되어야 하고 더욱 투명한 투자 환경을 서방 국가에 보여주어야 할 것이라고 평가함.
- 지난해 프랑스-베트남간 교역규모는 약 27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약 25% 증가하였는데, 베트남은 프랑스에 의류, 목재 품 등 약 19억 달러 규모를 수출하였음.
자료 : Wall Street Journal(8월 31일), Saigon Times 및 하노이 무역관 종합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2020-06-22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국회 6월 8일 EVFTA 비준 완료 - - 2012년 6월 협상 개시 이...
포스트 코로나를 대처하는 베트남의 자세 2020-06-19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EVFTA로 수출과 투자 활로 확대 기대 - - IT 인프라 및 노동자 양성,...
최근 한국의 베트남 투자 동향 2020-01-28 유상철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유통, 서비스 등 투자분야 다각화 - - 10만 달러 미만 소규모 투자 프로젝트 증가 - (참...
베트남 수입 통관 시 까다로운 FTA 적용 절차 2020-01-23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세계 주요 시장과 FTA 협정 체결로 FTA 활용 허브로 역할 증대 기...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KOTRA]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2019-02-15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CPTPP 조항 따라 법ㆍ제도 선진화 및 글로벌 공급망 참여 기대 - - 원산지 포탈 ...
베트남에서 잘 나가는 스타트업 10 2018-01-19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IT, 모바일 기술 기반으로 외식·전자상거래·핀테크·관광·교육·농업 분야 창업 활발 ...
최근 베트남 인프라 건설 시장동향 및 이슈 2018-03-06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인프라 건설시장, 2025년까지 연평균 10.4% 성장할 것 - - PPP, BOT...
[KOTRA] 베트남, 내년부터 자동차 수입 더욱 까다로워진다
베트남, 내년부터 자동차 수입 더욱 까다로워진다 2017-11-02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2018년 아세안 역내 자동차 무관세 수입 발효 대비해 수입 자격요건 ...
[유망] 베트남 섬유·의류 시장동향 2017-09-05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원단∙직물 생산 취약… 수입의존도 높은 특징 지녀 - - 단순수출 외에도 고품...
베트남 투자진출 최신 3대 이슈 2017-06-08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사회보험료 의무납부, 산재보험률 감소, 대표사무소 현지 명의 은행계좌 개설 불가 - -...
베트남 가구시장 진출 시 유의할 점 2017-06-28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건설 경기 상승에 따라 가구·인테리어 시장 수요 확대될 것 - - 진출 시 내수시장 ...
베트남, SNS를 보면 비즈니스가 보인다 2017-05-26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소셜 미디어(SNS) 파급 효과는Facebook, Youtube에 집중 - - 공식 집계...
2017년 4월 지역별 수출입 동향 [코트라 제공 자료]
2017년 4월 수출입 동향을 주요 지역별로 분석한 자료로 KOTRA 호치민무역관에서 제공하는 자료입니다. 베트남 내용은 첩부파일 10페이지에 있습니다. (KOTRA) 20...
[KOTRA자료] 2017년 3월 지역별 수출입 동향(베트남 10페이지)
2017년 3월 지역별 수출입 동향 베트남 내용은 10페이지에 있습니다 [KOTRA] 2017년 3월 권역별 수출입 동향2.pdf
하이테크 농업으로 재도약 꿈꾸는 베트남 농업 2017-03-2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월드뱅크, 베트남 농업 GDP 비중 2030년 8%대로 감소 전망 - - 베트남 ...
베트남 PCI를 통해 본 베트남 비즈니스 환경 2017-03-21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다낭시, 2016 지역경쟁력지수 1위 차지 - - FDI 기업 "베트남 진입 비용 ...
베트남 프랜차이즈 카페가 스타벅스보다 잘 나가는 이유 2017-03-14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매년 꾸준히 성장하는 카페 산업, 현지 프랜차이즈 카페가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