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투자 일본 기업, 최근 중국 내 반일감정으로 베트남에 관심
- 중국에서 영업실적 악화로 베트남 생산거점 이전 검토 -
2012-10-17
하노이무역관
권경덕( kotra@hn.vnn.vn )
□ 개요
○ 최근 영토분쟁 심화로 중국에 투자한 일본 기업들의 피해가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베트남에서 일본 기업의 투자 성과는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지난해 일본 기업의 투자진출이 급증하였던 베트남 남부 지역의 공단은 최근 행정절차 간소화, 인프라 개선, 일본기업 전용 창구 설치 등을 통해 더 많은 일본 기업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 지난해 일본 대지진, 태국 홍수 등으로 인해 생산기지를 베트남으로 이전한 일본기업 다수는 베트남에서의 투자성과에 만족하고 있어 향후 투자확대, 관련 기업의 베트남 진출이 더욱 증가할 전망임.
- 특히 중국과 일본의 영토 분쟁 과정에서 중국에서 진행되는 反日 감정은 일본계 기업의 실적 악화로 이어져 베트남에 대한 이전 투자 관심도 증가하고 있음.
- 이에 베트남 정부는 중국과 일본으로부터 더 많은 일본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 주목됨.
□ 베트남 정부의 일본 투자 유치 확대를 위한 노력
○ JETRO 하노이 사무소 관계자에 따르면, 금년 1~9월간 일본의 對베트남 투자가 전년 대비 5배 이상 증가하였고, 현재 일본 내에서 베트남 투자에 관심이 높은 기업이 많아 일본계 자본 유입 현상은 지속될 것이라고 언급함.
- 베트남 일본 상공인 협회도 이에 동의하고, 특히 최근 중·일 간 긴장이 고조되면서 중국 내 일본 제품 불매 운동이 확산되자 투자 대안지로서 베트남과 태국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함.
○ 베트남 투자에 관심이 높아진 일본 기업이 증가하자, 일본은 베트남 정부에 대해 투자환경 개선을 적극적으로 요청하고 있음.
- 베트남 일본 상공인 협회는 현재 베트남 정부는 투자유치에만 관심이 있고 기업들의 원활한 투자활동을 지원하는 제도가 부족하다고 지적함. “투자 진출 이후” 서비스를 위한 주요 요청 사항은 다음과 같음.
- 베트남 공기업의 효율성과 투명성 제고 : 향후 일본 투자기업의 잠재 파트너로서 활용 방안 모색
- 인프라 개선 및 규제 완화, 중소기업 지원 확대를 위한 금융 시스템 개선
- 장기적으로 베트남에서 일본 기업의 부품 조달 비율 확대를 위해 부품 산업 육성
- 일본 기업들은 현재 베트남이 회원으로 있는 ASEAN은 2015년 단일 시장 출범을 앞두고 있는데, 베트남은 이러한 호기를 활용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고 주장함.
- 이들은 ASEAN 단일 시장에서 베트남에 이익을 창출하는 부문은 단연 외국인 투자기업의 투자활동과 수출이라고 주장하고, 투자 이후에도 경쟁력과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투자 진출 이후 서비스의 필요성을 강조함.
○ 일본 측의 이러한 요구에 대해 베트남 정부도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음.
- 호치민 인민위원회 기획투자국은 일본의 부품 산업 투자 유치를 위한 전용 공단 계획을 수립했음.
- 위 전용 공단은 호치민 시내 Le Minh Xuan 2, 3, Vinh Loc 3, Xuan Thoi Thuong, Hoa Phu, Phuoc Hiep 등의 지역임.
- 인근 Dong Nai省도 기존의 공단인 Long Duc 공단 내 주거 공단, 사무실 등 복합 편의시설을 신축하여 일본 기업 전용 공단으로 추진 중임.
- Long An에서 개발되고 있는 Duc Hoa 3 공단(Silico 공단)의 공정율은 90%이며, 공단 대표자를 일본인으로 임명하여 일본 기업 유치를 위해 적극 나서고 있음.
□ 시사점
○ 지난해 엔고, 대지진, 법인세 등의 이유로 급증했던 일본의 對베트남 투자는 현재에도 지속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국내 투자환경 악화로 생산거점의 베트남 이전에 관심은 지속될 것임.
- 현재 중국에서 일본 기업에 대한 투자 리스크가 증대와 수익성 악화는 베트남에 우호적인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음.
- 그러나 중국 내 투자 기업들은 현지에서 조달할 수 있는 부품 비중이 높은 반면, 베트남은 부품 산업 발달이 여전히 미약하여 생산거점 이전의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음.
- 즉,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생산거점을 이전하더라도 부품 조달의 중국 의존도가 높아 투자활동에 대한 효과는 미지수임. 이러한 이유로 당장 이전 투자를 실행하는 기업은 제한적이며, 기업들은 사태 추이를 관망하는 자세를 견지할 것임.
- 베트남에 투자한 일본 기업 중 부품 생산 기업은 협력업체 혹은 일본 내 수요를 위한 투자 형태로써, 중국으로부터 생산 거점 이전 투자는 노동 투입 비중이 높은 산업이 우선될 것임.
자료 : Vietnam Investment Review, JETRO 자료 및 하노이 무역관 종합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2020-06-22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국회 6월 8일 EVFTA 비준 완료 - - 2012년 6월 협상 개시 이...
포스트 코로나를 대처하는 베트남의 자세 2020-06-19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EVFTA로 수출과 투자 활로 확대 기대 - - IT 인프라 및 노동자 양성,...
최근 한국의 베트남 투자 동향 2020-01-28 유상철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유통, 서비스 등 투자분야 다각화 - - 10만 달러 미만 소규모 투자 프로젝트 증가 - (참...
베트남 수입 통관 시 까다로운 FTA 적용 절차 2020-01-23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세계 주요 시장과 FTA 협정 체결로 FTA 활용 허브로 역할 증대 기...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KOTRA]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2019-02-15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CPTPP 조항 따라 법ㆍ제도 선진화 및 글로벌 공급망 참여 기대 - - 원산지 포탈 ...
베트남에서 잘 나가는 스타트업 10 2018-01-19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IT, 모바일 기술 기반으로 외식·전자상거래·핀테크·관광·교육·농업 분야 창업 활발 ...
최근 베트남 인프라 건설 시장동향 및 이슈 2018-03-06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인프라 건설시장, 2025년까지 연평균 10.4% 성장할 것 - - PPP, BOT...
[KOTRA] 베트남, 내년부터 자동차 수입 더욱 까다로워진다
베트남, 내년부터 자동차 수입 더욱 까다로워진다 2017-11-02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2018년 아세안 역내 자동차 무관세 수입 발효 대비해 수입 자격요건 ...
[유망] 베트남 섬유·의류 시장동향 2017-09-05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원단∙직물 생산 취약… 수입의존도 높은 특징 지녀 - - 단순수출 외에도 고품...
베트남 투자진출 최신 3대 이슈 2017-06-08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사회보험료 의무납부, 산재보험률 감소, 대표사무소 현지 명의 은행계좌 개설 불가 - -...
베트남 가구시장 진출 시 유의할 점 2017-06-28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건설 경기 상승에 따라 가구·인테리어 시장 수요 확대될 것 - - 진출 시 내수시장 ...
베트남, SNS를 보면 비즈니스가 보인다 2017-05-26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소셜 미디어(SNS) 파급 효과는Facebook, Youtube에 집중 - - 공식 집계...
2017년 4월 지역별 수출입 동향 [코트라 제공 자료]
2017년 4월 수출입 동향을 주요 지역별로 분석한 자료로 KOTRA 호치민무역관에서 제공하는 자료입니다. 베트남 내용은 첩부파일 10페이지에 있습니다. (KOTRA) 20...
[KOTRA자료] 2017년 3월 지역별 수출입 동향(베트남 10페이지)
2017년 3월 지역별 수출입 동향 베트남 내용은 10페이지에 있습니다 [KOTRA] 2017년 3월 권역별 수출입 동향2.pdf
하이테크 농업으로 재도약 꿈꾸는 베트남 농업 2017-03-2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월드뱅크, 베트남 농업 GDP 비중 2030년 8%대로 감소 전망 - - 베트남 ...
베트남 PCI를 통해 본 베트남 비즈니스 환경 2017-03-21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다낭시, 2016 지역경쟁력지수 1위 차지 - - FDI 기업 "베트남 진입 비용 ...
베트남 프랜차이즈 카페가 스타벅스보다 잘 나가는 이유 2017-03-14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매년 꾸준히 성장하는 카페 산업, 현지 프랜차이즈 카페가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