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 |
베트남, 포크리프트시장 확대 | |||
작성일 | ![]() |
2009-10-01 | 작성자 | ![]() |
박동욱 ( kotra@hn.vnn.vn ) |
국가 | ![]() |
베트남 | 비즈니스센터 | ![]() |
하노이KBC |
베트남, 포크리프트시장 확대 - 베트남 건설경기 확대로 시장성장 필연적 - - 최근 산업용 수요 확대로 중고제품 수입 확대 -
□ 베트남 포크리프트시장 확대
○ 베트남 포크리프트시장은 2007년 전년 대비 2.5배 이상 증가해 5500대를 수입, 전체 수입시장이 1억2000만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하는 상승세를 기록함. 베트남 건설경기 호황세와 맞물리면서 포크리프트의 건설용 수요가 증가한 것은 물론 기업의 투자설비 확대에 따른 산업용 수요 또한 크게 증가하는 추세임.
○ 2008년 3분기까지 포크리프트의 수입실적은 4000대, 8600만 달러 규모로 전년과 유사한 시장규모를 유지하고 있으나 최근 베트남정부의 긴축정책 및 세계경기침체로 전년 대비 소폭 시장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지만 회복세를 보임.
○ KOTRA 자체조사 결과에 따르면, 베트남 포크리프트 전체시장에서 중고 수입용 포크리프트시장이 7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되며 베트남 건설 및 관련 기업의 규모가 영세해 신제품의 30~40% 수준인 중고제품 수요가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됨.
베트남 포크리프트 연도별 수입현황
수입금액
수입대수 자료원 : 베트남 관세청
○ 이 같은 중고 중심의 포크리프트시장 특성상 외국기업의 현지 단독 에이전트 중심의 판매가 불가한 상태로 현지 건설업계에 네트워크와 판매 및 AS가 강점인 베트남 자국기업 중심으로 판매시장이 형성됨.
□ 현지제품 경쟁 및 수입 동향
○ 베트남 관세청에 따르면, 일본산 포크리프트 수입이 전체의 35%로 1위이며 독일산이 13%, 싱가포르 12%, 중국 8%, 대만 8%, 한국 3%의 시장점유를 기록함. 일본제품은 베트남시장에서 최고의 경쟁력을 가진 제품으로 인식되며 높은 품질과 강한 내구성으로 사용연한이 길어 수요처에서 큰 인기를 끌지만 영세기업의 대부분은 중국산의 저렴한 중장비에 대한 수요가 더 큰 상태임.
○ 한국산 포크리프트는 현지에서 주로 판매되는 3톤 이하 규모의 소형중심으로 판매되며, 수성중공업 및 현대제품이 2년 전부터 현지에 진출해 서서히 브랜드인지도를 높여가고 있으나 주력제품이 전동식 포크리프트로 시장점유율은 아직 3%대의 낮은 상태임.
○ 베트남 내 주로 수요가 많은 포크리프트는 3톤 이하 용량으로 대부분 수입은 관련 중장비 수요업체가 직접 또는 수입업체를 통해 외국 건설중장비 제조기업에 접촉, 관련 필요한 사양에 따라 맞춤수입을 하는 것이 일반적임.
○ 베트남 중고산 건설중장비 수입 시 대부분의 바이어가 중고제품 품질을 신형제품의 80% 이상 유지할 것을 요청하며, 크레인트럭은 1990년대 이후 모델, 굴착기 및 덤프트럭은 1994년 이후 모델을 선호함.
○ 베트남 내 포크리프트 가격은 신형이 구형에 비해 2~3배 이상 높은 상황이며, 대부분의 수요처인 건설 관련 기업이 영세한 중소기업임. 가격은 브랜드 및 수입국가에 따라 차이가 나며, 유럽 및 미국산 제품은 일본제품에 비해 10~15% 높은 가격대를 형성함. 한국제품은 일본산에 비해 15% 저가인 반면 중국산에 비해서는 15% 이상 고가격을 유지함.
신형
자료원 : www.vatgia.com
중고모델
자료원 : www.xecchuyendung.com
□ 전망 및 시사점
○ 베트남은 1인당 국민소득이 1024달러에 불과한 저소득 국가로 제조업 기반도 취약해 국내 중장비 관련 제조기업이 전무한 상황임. 따라서 향후 포크리프트의 수입확대가 필연적이며, 최근 베트남정부의 인프라 건설확대와 대규모 공장 건설로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임.
○ 한국산 제품은 현지에서 제품 인지도 및 품질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어 마케팅 노력 전개 시 한국제품의 현지진출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특히 한국 건설기업의 현지 프로젝트 진행 시 하청기업의 중고 건설중장비 반입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최근 활발한 한국 건설사의 현지 시공프로젝트 증가로 인한 동반성장이 전망됨.
자료원 : 베트남 관세청 및 코트라 하노이KBC 자체종합 |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2020-06-22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국회 6월 8일 EVFTA 비준 완료 - - 2012년 6월 협상 개시 이...
포스트 코로나를 대처하는 베트남의 자세 2020-06-19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EVFTA로 수출과 투자 활로 확대 기대 - - IT 인프라 및 노동자 양성,...
최근 한국의 베트남 투자 동향 2020-01-28 유상철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유통, 서비스 등 투자분야 다각화 - - 10만 달러 미만 소규모 투자 프로젝트 증가 - (참...
베트남 수입 통관 시 까다로운 FTA 적용 절차 2020-01-23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세계 주요 시장과 FTA 협정 체결로 FTA 활용 허브로 역할 증대 기...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KOTRA]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2019-02-15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CPTPP 조항 따라 법ㆍ제도 선진화 및 글로벌 공급망 참여 기대 - - 원산지 포탈 ...
베트남에서 잘 나가는 스타트업 10 2018-01-19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IT, 모바일 기술 기반으로 외식·전자상거래·핀테크·관광·교육·농업 분야 창업 활발 ...
최근 베트남 인프라 건설 시장동향 및 이슈 2018-03-06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인프라 건설시장, 2025년까지 연평균 10.4% 성장할 것 - - PPP, BOT...
[KOTRA] 베트남, 내년부터 자동차 수입 더욱 까다로워진다
베트남, 내년부터 자동차 수입 더욱 까다로워진다 2017-11-02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2018년 아세안 역내 자동차 무관세 수입 발효 대비해 수입 자격요건 ...
[유망] 베트남 섬유·의류 시장동향 2017-09-05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원단∙직물 생산 취약… 수입의존도 높은 특징 지녀 - - 단순수출 외에도 고품...
베트남 투자진출 최신 3대 이슈 2017-06-08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사회보험료 의무납부, 산재보험률 감소, 대표사무소 현지 명의 은행계좌 개설 불가 - -...
베트남 가구시장 진출 시 유의할 점 2017-06-28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건설 경기 상승에 따라 가구·인테리어 시장 수요 확대될 것 - - 진출 시 내수시장 ...
베트남, SNS를 보면 비즈니스가 보인다 2017-05-26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소셜 미디어(SNS) 파급 효과는Facebook, Youtube에 집중 - - 공식 집계...
2017년 4월 지역별 수출입 동향 [코트라 제공 자료]
2017년 4월 수출입 동향을 주요 지역별로 분석한 자료로 KOTRA 호치민무역관에서 제공하는 자료입니다. 베트남 내용은 첩부파일 10페이지에 있습니다. (KOTRA) 20...
[KOTRA자료] 2017년 3월 지역별 수출입 동향(베트남 10페이지)
2017년 3월 지역별 수출입 동향 베트남 내용은 10페이지에 있습니다 [KOTRA] 2017년 3월 권역별 수출입 동향2.pdf
하이테크 농업으로 재도약 꿈꾸는 베트남 농업 2017-03-2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월드뱅크, 베트남 농업 GDP 비중 2030년 8%대로 감소 전망 - - 베트남 ...
베트남 PCI를 통해 본 베트남 비즈니스 환경 2017-03-21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다낭시, 2016 지역경쟁력지수 1위 차지 - - FDI 기업 "베트남 진입 비용 ...
베트남 프랜차이즈 카페가 스타벅스보다 잘 나가는 이유 2017-03-14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매년 꾸준히 성장하는 카페 산업, 현지 프랜차이즈 카페가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