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 |
베트남, 광물자원산업 현황 | |||
작성일 | ![]() |
2009-10-05 | 작성자 | ![]() |
박동욱 ( kotra@hn.vnn.vn ) |
국가 | ![]() |
베트남 | 비즈니스센터 | ![]() |
하노이KBC |
베트남, 광물자원산업 현황 - 아시아 6대 석유생산국, 보크사이트, 티타늄 다량 보유 - - 광물자원산업의 국가경제 차지비중 매우 높아 -
□ 베트남 광물자원 전략산업 지위
○ 베트남 내 광물자원산업은 전체 GDP 비중이 9.79%, 연간수출액의 17.5%를 차지하는 매우 중요한 산업임. 에너지·광물 자원이 다양하게 분포된 편이나, 부존량이 아시아 및 세계자원대국과 비교 시 적은 규모임. - 베트남은 총 60여 개의 광물자원과 5000여 개의 광산이 소재함. - 베트남 석유 생산량은 아시아의 6대 생산국이며 석탄(대부분 무연탄임.), 석회석이 풍부한 편이고 보크사이트, 철광, 주석, 크롬, 동, 아연, 흑연, 운모, 티탄철석, 니켈, 망간, 티타늄, 금, 인회석 등이 존재하나 부존량은 소량임.
○ 탐사 및 개발은 초기단계로 광물자원 대부분은 상업성 부족과 개발여력 부족으로 초기단계 미개발 상태임. - 자원개발산업이 부진한 이유는 기술 및 자금 부족과 사업추진에 필수적인 도로, 운송수단, 설비 등 기본적 인프라 부족이 주요인이며 광물 생산 시 구식장비와 낙후기술로 생산성이 매우 낮기 때문임.
○ 주요 광물자원 부존현황
자료원 : 베트남 통계청
□ 자원개발 정부정책 방향
○ 베트남정부는 최근 세계적으로 자원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중장기적으로 광물자원개발에 인적·재정 자원을 동원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예정임. - 하지만 베트남 정부예산의 부족으로 경제적 효율성과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있으며, 산업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함.
○ 베트남정부는 1986년 경제개방정책이 시행된 후 석유법(1987년), 외국인투자법 및 개정석유법(2000년) 등을 통해 석유·대륙붕 개발을 활성화시켰으며 광물자원법령(2005년)의 개정을 통해 광물자원에 대한 투자절차, 규정에 대해 명확한 정의를 내림.
○ 베트남정부의 자원개발에 대한 기본입장을 보면, - 석탄, 원유와 같은 주요광물은 정부주도로 개발 - 기타 다른 광업부문은 비정부기관 및 개인에 의해 개발 - 부족한 정부재정으로 광업부문 전반에 대한 정부투자 제한
○ 광업부문의 해외 및 국내 투자는 여전히 적은 상태로 영역별 투자 자본은 5~9%이며, 해외직접투자(FDI) 또한 1988~2007년 총 FDI 프로젝트 8753건 중 1.2%를 차지
□ 민간 및 외국인 투자동향
○ 베트남 내 광물자원 개발은 주로 국가주도로 추진이 돼 민간 및 외국인의 투자가 상대적으로 제한됐으며, 전체 투자건수의 10%에 미치지 못하는 투자만이 이뤄짐. - 주요 투자국은 뉴질랜드, 호주, 일본 순으로 금과 석회석에 대한 투자가 주를 이룸.
○ 외국인투자의 경우 탐사분야에 대한 투자가 대부분을 이루며, 특히 베트남 내 매장량이 풍부한 모래석재 등 건설기자재분야에 대한 투자가 진행되고 있음.
□ 인근국과의 자원개발 관련 마찰 혹은 관계
○ 베트남의 경우 인근국과의 자원개발 관련 마찰은 크지 않은 편이나 해저 석유·가스 매장이 풍부한 Hoang Sa와 Truong Sa 군도에 대한 점유권 문제로 중국과 오랜기간 마찰이 있음.
□ 주요 부존자원 현황
1) 석유, 가스
○ 베트남은 아시아 6대 석유생산국으로 전체 매장량은 45억㎥ 규모로 추정되며, 이 중 가스가 55%를 차지함. 추가 매장량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 미래 석유·가스 자원강국으로 부상함.
○ 2001~04년 15개의 탐사공구에서 222MCM이 매장 확인됐고 2005년에는 4개의 신규매장공구에서 전체 매장량의 20%가 신규로 확인돼 향후 개발가능성이 매우 높음. - 주요 유전 매장지역 : Song Hong(11억㎥), Cuu Long(8억2000만㎥), Phu Khanh(3억7000만㎥), Nam Con Son(9억7000만㎥), Malay(3억7000만㎥)
2) 석탄
○ 베트남의 석탄매장량은 ’07년 기준, 35억5000만 톤으로 전체 66.7%의 매장량이 베트남 북부인 Quang Ninh지역에 분포돼 있으며 무연탄이 전체의 68.5%를 차지함. - 정확한 탐사는 불가하나 북부 홍강델타지역과 내륙지역 지하 250~1200m 아래 3500㎢에 달하는 지역에서 2100억 톤의 추가 석탄매장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함. - 베트남 석탄광산은 200여 개로 주요 산지인 Quang Ninh지역에 소재하며, 이 지역 내 석탄채집센터가 3개소를 설치운영함. · Cua Ong(Cam Pha), Nam Cau Trang(Ha Long City), Vang Danh(Uong Bi)
3) 철
○ 베트남 내 철광산은 총 220여 개로 대부분은 베트남 북부지역에 소재함. - 주요 산지 : Thai Nguyen, Bac Can, Cao Bang, Ha Giang 등 - 베트남 내 매장 철광석은 대부분 C1, 2급이 주요 등급이며 2006년 기준, 전체 매장량은 11억 톤으로 추정됨.(A, B, C1급 : 5억6800만 톤, C2급 : 1억9300만 톤) - 베트남 철광석은 아연의 함유가 높은 편으로 일반 제조공법 활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음.
4) 구리
○ 베트남 내 구리 매장은 베트남 북부지역 중심으로 홍강델타 서부유역과 중국과 국경선을 마주한 Lao Cai지역에 대표적으로 분포됨.
○ 베트남 내 구리 매장량은 ’07년 기준, 7600만 톤임. - 주요산지 : Ban Phuc(300만 톤), Shin Quyen(55억1000톤)
5) 아연
○ 베트남 내 아연 매장량은 베트남 북부지역 중심으로 Tuyen Quyen, Bac Can, Ngan Son 지역 사이에 소재하며 최근에는 Bo Vat지역에 17만5000톤과 Cao Bang, Ha Giang 지역에 26만6000톤의 아연 매장이 추가로 확인됨.
○ 베트남 내 아연 매장량은 ’07년 기준, 100만 톤임. - 베트남 내 아연 매장량은 전 세계 1%에 해당하는 소량이나 아연 매장 가능성이 높은 지형으로 향후 일부 전문가의 견해에 따르면 Bac Can지역에 400만 톤을 포함한 총 1300만 톤의 매장 추정가능성도 제기됨.
6) 보크사이트
○ 베트남 매장 광물자원 중 가장 많은 부존량을 가진 광물로 확인된 매장량은 55억 톤이며 베트남 남부지역에 대부분인 54억 톤이 소재, 북부지역에 1억 톤이 매장돼 있음.
7) 티타늄
○ 베트남은 세계 티타늄 매장량의 5%를 차지하는 매우 중요한 광물자원지역으로 캐나다, 미국, 노르웨이, 인도, 호주 다음으로 6위의 매장량을 기록함. - 티타늄은 주로 Ha Tinh, Quang Tri, Hue, Binh Dinh, Phu Yen, Binh Thuan 등 해안선을 따라 매장돼 있으며 21개의 주요 채집광이 소재함.
○ 베트남 내 티타늄 매장량은 ’07년 기준, 3450만 톤임.
주요자원 보유현황
자료원 : 베트남 통계청
베트남 광물자원 분포도
□ 유의사항 및 시사점
○ 베트남 광물자원 개발 물류 및 인력 인프라 미흡 - 베트남은 자원개발을 위한 전반적인 인프라가 매우 취약한 상태이며, 자원개발 시 현지 고급 및 중간 관리인력의 인건비가 높고 매장자원 대부분이 산악지대에 소재해 채굴된 광물자원 이동 시 제한된 철도와 도로는 물론 항만설비 부족으로 인해 전체 사업추진 비용이 높아지는 상황임. 따라서 이것을 감안해 사업타당성 분석 시 세밀한 비용검토가 선행돼야 함.
○ 베트남정부의 자원개발 관련 인허가절차 복잡 - 베트남정부는 주요광물의 채광 및 채굴을 국영기업을 통해 독점하고 있으며 원유, 천연가스, 석탄 등 주요분야는 거의 정부관리가 매우 엄격해 인허가 절차 및 소요기간이 매우 복잡하고 길어질 가능성이 있음. - 또한 베트남 인허가 당국의 경우 불명확한 규정과 현지 행정처리 시 불합리한 행정처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바 진출 시 유의해야 함.
자료원 : 베트남 통계청 및 코트라 하노이KBC 자체종합 |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2020-06-22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국회 6월 8일 EVFTA 비준 완료 - - 2012년 6월 협상 개시 이...
포스트 코로나를 대처하는 베트남의 자세 2020-06-19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EVFTA로 수출과 투자 활로 확대 기대 - - IT 인프라 및 노동자 양성,...
최근 한국의 베트남 투자 동향 2020-01-28 유상철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유통, 서비스 등 투자분야 다각화 - - 10만 달러 미만 소규모 투자 프로젝트 증가 - (참...
베트남 수입 통관 시 까다로운 FTA 적용 절차 2020-01-23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세계 주요 시장과 FTA 협정 체결로 FTA 활용 허브로 역할 증대 기...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KOTRA]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2019-02-15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CPTPP 조항 따라 법ㆍ제도 선진화 및 글로벌 공급망 참여 기대 - - 원산지 포탈 ...
베트남에서 잘 나가는 스타트업 10 2018-01-19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IT, 모바일 기술 기반으로 외식·전자상거래·핀테크·관광·교육·농업 분야 창업 활발 ...
최근 베트남 인프라 건설 시장동향 및 이슈 2018-03-06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인프라 건설시장, 2025년까지 연평균 10.4% 성장할 것 - - PPP, BOT...
[KOTRA] 베트남, 내년부터 자동차 수입 더욱 까다로워진다
베트남, 내년부터 자동차 수입 더욱 까다로워진다 2017-11-02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2018년 아세안 역내 자동차 무관세 수입 발효 대비해 수입 자격요건 ...
[유망] 베트남 섬유·의류 시장동향 2017-09-05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원단∙직물 생산 취약… 수입의존도 높은 특징 지녀 - - 단순수출 외에도 고품...
베트남 투자진출 최신 3대 이슈 2017-06-08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사회보험료 의무납부, 산재보험률 감소, 대표사무소 현지 명의 은행계좌 개설 불가 - -...
베트남 가구시장 진출 시 유의할 점 2017-06-28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건설 경기 상승에 따라 가구·인테리어 시장 수요 확대될 것 - - 진출 시 내수시장 ...
베트남, SNS를 보면 비즈니스가 보인다 2017-05-26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소셜 미디어(SNS) 파급 효과는Facebook, Youtube에 집중 - - 공식 집계...
2017년 4월 지역별 수출입 동향 [코트라 제공 자료]
2017년 4월 수출입 동향을 주요 지역별로 분석한 자료로 KOTRA 호치민무역관에서 제공하는 자료입니다. 베트남 내용은 첩부파일 10페이지에 있습니다. (KOTRA) 20...
[KOTRA자료] 2017년 3월 지역별 수출입 동향(베트남 10페이지)
2017년 3월 지역별 수출입 동향 베트남 내용은 10페이지에 있습니다 [KOTRA] 2017년 3월 권역별 수출입 동향2.pdf
하이테크 농업으로 재도약 꿈꾸는 베트남 농업 2017-03-2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월드뱅크, 베트남 농업 GDP 비중 2030년 8%대로 감소 전망 - - 베트남 ...
베트남 PCI를 통해 본 베트남 비즈니스 환경 2017-03-21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다낭시, 2016 지역경쟁력지수 1위 차지 - - FDI 기업 "베트남 진입 비용 ...
베트남 프랜차이즈 카페가 스타벅스보다 잘 나가는 이유 2017-03-14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매년 꾸준히 성장하는 카페 산업, 현지 프랜차이즈 카페가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