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도로 인프라 공사 증가로 아스팔트 수입 증가
- 전월 대비 6%, 전년 동월 대비 266% 증가 –
- 전월 대비 수입가격은 10.2% 증가, 전년 동월 대비 16.9% 감소 –
□ 베트남 9개월 동안 아스팔트 수입현황
○ 베트남의 아스팔트 수입은 인프라 건설이 급증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증가추세를 보임.
- 싱가포르, 태국, 대만 등이 주요 수출국가임.
○ 베트남 9월의 아스팔트 수입은 4만6000톤, 2160만 달러로 전월 대비 수량에선 6%, 금액면에선 16.5% 증가함.
- 전년 동월 대비 수량과 금액에서 각각 266%, 203% 크게 증가함.
- 60·70급 아스팔트 평균 수입가격은 470달러/톤으로 전월 대비 10.2% 증가, 전년 동월 대비 16.9% 감소함.
○ 올 1~9월 베트남 아스팔트 수입은 38만9200톤, 1억508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량에선 43%, 금액에선 20.6% 증가함. 9개월간 평균 수입가격은 387달러/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8% 감소함.
연도별 아스팔트 수입동향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수입금액 |
51.1 |
42.0 |
39.6 |
46.0 |
56.6 |
증감률 |
-20.6 |
-17.9 |
-5.8 |
16.1 |
23 |
자료원 : 연감통계자료
□ 국가별 수입동향
○ 9월의 대 베트남 아스팔트 주요 수출국가는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로 주변 ASEAN 국가임. 그 중 말레이시아에서 수입은 117.2% 증가했으며, 싱가포르에서도 113.4% 증가함. 그러나 태국과 이란은 각각 43.2%, 72.9% 감소함.
○ 9월 중 60·70급 아스팔트 수입가격은 전월 대비 1~18% 증가함. 그 중 말레이시아에서의 수입가격은 497달러/톤으로 18.7% 증가했고 싱가포르는 466달러/톤으로 8.4% 증가했으며, 이란은 424달러/톤으로 1.4% 소폭 증가함.
올 9월, 9개월간 대 베트남 아스팔트 주요 수출국가
(단위 : 달러, %)
수입 국가 |
2009년 9개월 |
증감률 |
2009년 9월 |
증감률 |
싱가포르 |
58,611,867 |
25.7 |
8,028,311 |
131.3 |
태국 |
40,650,334 |
-25 |
6,289,312 |
-39.3 |
말레이시아 |
20,541,534 |
|
5,855,095 |
157.7 |
대만 |
15,505,686 |
2.5 |
|
|
이란 |
6,145,763 |
80 |
253,862 |
-72.6 |
한국 |
5,576,874 |
237.3 |
868,580 |
|
일본 |
2,401,099 |
356.5 |
|
|
사우디아라비아 |
907,598 |
783 |
|
|
우크라이나 |
217,720 |
|
217,720 |
|
중국 |
137,284 |
28 |
|
|
미국 |
129,824 |
447 |
129,824 |
|
□ 품목별 동향
○ 액상(Liquid) 아스팔트는 3개월간 지속적인 증가 후 9월 수입은 2만5300톤, 1170만 달러로 전월 대비 수량에서 -25%, 금액에서 -17.3% 감소함. 그러나 전년 동기 대비 수량에서 322%, 금액에서 236% 증가함. 액상 아스팔트의 9월 평균 수입단가는 461달러/톤으로 전월 대비 9.6% 증가, 전년 동월 대비 20.2% 감소함.
- 액상 아스팔트의 9개월간 수입은 22만1000톤, 845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량에서 85%, 금액에서 45.6% 증가함. 9개월간 평균수입가격은 382달러/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2% 감소함.
○ 반고체(Semi-solid) 아스팔트의 9월 수입은 5100톤, 280만 달러로 전월 대비 수량에서 112%, 금액에서 156% 증가했고 전년 동월 대비 수량에서 14%, 금액에서 12.2% 증가함. 9월의 수입가격은 550달러/톤으로 전월 대비 20.9% 증가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 1.6% 감소했음.
- 올 9개월간 반고체 아스팔트 수입은 5만7500톤, 227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량에서 60%, 금액에서 42.6% 증가함. 9개월간 평균수입가격은 394달러/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6% 감소함.
○ 벌크(Bulk) 아스팔트는 8월에는 수입되지 않았으며, 9월에도 말레이시아와 태국에서 소량 수입함. 수입은 4300톤, 19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량에서 114%, 금액에서 76.2% 증가함. 벌크 아스팔트 평균수입가격은 447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7.8% 감소함.
- 9개월간 벌크 아스팔트 수입은 3만8800톤, 14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량에서 40%, 금액에서 23.8% 증가함. 9개월간 벌크 아스팔트 평균수입가격은 362달러/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5% 감소함.
□ 시사점 및 전망
○ 최근 몇 년간 베트남의 도로 인프라 공사 증가로 아스팔트 수입이 전년 대비 크게 증가추세를 보임.
○ 지난해 하반기 글로벌 공급위기로 다수의 대형공사가 중단됐으나, 올해 중반 이후 베트남 경제가 회복세를 보임에 따라 도로, 교량 등 인프라 건설이 다시 활기를 띰.
자료원 : 베트남 산업무역정보센터, 코트라 호치민KBC 자체조사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2020-06-22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국회 6월 8일 EVFTA 비준 완료 - - 2012년 6월 협상 개시 이...
포스트 코로나를 대처하는 베트남의 자세 2020-06-19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EVFTA로 수출과 투자 활로 확대 기대 - - IT 인프라 및 노동자 양성,...
최근 한국의 베트남 투자 동향 2020-01-28 유상철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유통, 서비스 등 투자분야 다각화 - - 10만 달러 미만 소규모 투자 프로젝트 증가 - (참...
베트남 수입 통관 시 까다로운 FTA 적용 절차 2020-01-23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세계 주요 시장과 FTA 협정 체결로 FTA 활용 허브로 역할 증대 기...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KOTRA]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2019-02-15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CPTPP 조항 따라 법ㆍ제도 선진화 및 글로벌 공급망 참여 기대 - - 원산지 포탈 ...
베트남에서 잘 나가는 스타트업 10 2018-01-19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IT, 모바일 기술 기반으로 외식·전자상거래·핀테크·관광·교육·농업 분야 창업 활발 ...
최근 베트남 인프라 건설 시장동향 및 이슈 2018-03-06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인프라 건설시장, 2025년까지 연평균 10.4% 성장할 것 - - PPP, BOT...
[KOTRA] 베트남, 내년부터 자동차 수입 더욱 까다로워진다
베트남, 내년부터 자동차 수입 더욱 까다로워진다 2017-11-02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2018년 아세안 역내 자동차 무관세 수입 발효 대비해 수입 자격요건 ...
[유망] 베트남 섬유·의류 시장동향 2017-09-05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원단∙직물 생산 취약… 수입의존도 높은 특징 지녀 - - 단순수출 외에도 고품...
베트남 투자진출 최신 3대 이슈 2017-06-08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사회보험료 의무납부, 산재보험률 감소, 대표사무소 현지 명의 은행계좌 개설 불가 - -...
베트남 가구시장 진출 시 유의할 점 2017-06-28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건설 경기 상승에 따라 가구·인테리어 시장 수요 확대될 것 - - 진출 시 내수시장 ...
베트남, SNS를 보면 비즈니스가 보인다 2017-05-26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소셜 미디어(SNS) 파급 효과는Facebook, Youtube에 집중 - - 공식 집계...
2017년 4월 지역별 수출입 동향 [코트라 제공 자료]
2017년 4월 수출입 동향을 주요 지역별로 분석한 자료로 KOTRA 호치민무역관에서 제공하는 자료입니다. 베트남 내용은 첩부파일 10페이지에 있습니다. (KOTRA) 20...
[KOTRA자료] 2017년 3월 지역별 수출입 동향(베트남 10페이지)
2017년 3월 지역별 수출입 동향 베트남 내용은 10페이지에 있습니다 [KOTRA] 2017년 3월 권역별 수출입 동향2.pdf
하이테크 농업으로 재도약 꿈꾸는 베트남 농업 2017-03-2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월드뱅크, 베트남 농업 GDP 비중 2030년 8%대로 감소 전망 - - 베트남 ...
베트남 PCI를 통해 본 베트남 비즈니스 환경 2017-03-21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다낭시, 2016 지역경쟁력지수 1위 차지 - - FDI 기업 "베트남 진입 비용 ...
베트남 프랜차이즈 카페가 스타벅스보다 잘 나가는 이유 2017-03-14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매년 꾸준히 성장하는 카페 산업, 현지 프랜차이즈 카페가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