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송·배전 장비 수요 확대 전망
- 베트남 전력손실률 10.4%로 매우 높은 상황에서 대용량 송전망 설비 시급 -
- 2015년까지 정부 주도의 전력망 및 변압기 투자 확대 전망 -
□ 베트남 송·배전 설비 및 시스템 노후화
○ 베트남 전력공급망의 전력 손실률은 2000년 14.5%에서 2007년까지 10.4%를 상회하고 있어 송·배전 설비 및 시스템이 매우 열악한 상태임. 베트남의 송·배전 설비는 대부분 지역별, 관리 회사별로 종류, 원산지 등의 표준이 통일되지 못한 상태이며, 구소련에서 수입·사용해 오던 설비의 노후화가 진행돼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상황임.
○ 최근 설치된 장비들은 ABB, Siemens, Alstomes, GE 등과 같은 다국적 기업의 제품도 일부 설치되고 있으나 베트남 전력공사의 예산부족으로 중국 및 ASEAN에서 수입된 저가의 설비도 다수 설치돼 제품 표준화에 역행하는 것은 물론 운영, 수리, 관리에 큰 애로점이 발생함.
○ 베트남 전력공사는 2010년까지 매년 16~17%정도의 전력수요 증가를 전망하면서 총 338억㎾h의 부족 예상량을 발표함. 연도별 부족량은 2008년에는 86억㎾h로 예상되며, 전력 부족현상이 정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2009년 부족량은 103억㎾h로 예측됨.
○ 베트남의 2015년까지 전력발전계획에 따르면 전력수요가 매년 17% 증가할 경우 매년 4만9044㎿의 발전설비가 추가로 필요하며, 매년 20% 증가의 경우 5만9444㎿의 발전설비가 추가로 필요한 상황임. 따라서 베트남정부는 이 같은 구조적 전력부족현상과 높은 전력손실률을 낮추기 위해 지속적인 투자확대를 추진 중임.
□ 베트남 전력 송·배전망 현황
○ 베트남의 전력망은 500㎸, 220㎸, 110㎸급으로 구성됨. 500㎸의 송전선 길이는 3286㎞, 변전용량 6600MVA이며, 220㎸의 송전선은 5650㎞, 변전용량은 1만5923MVA 이다. 또한 110kV의 송전선 연장길이는 1만1053㎞, 변전용량은 2만656MVA임.
송전선로 및 변전설비
구분 |
500kV |
220kV |
110kV |
송전선로(km) |
3,286 |
5,650 |
11,053 |
변전설비(MVA) |
6,600 |
15,923 |
20,656 |
자료원 : 베트남전력공사(EVN)
베트남 배전설비 현황
구분 |
6kV-10kV-15kV-22kV-35kV |
220V |
배전선로(km) |
116,660 |
109,000 |
배전설비(MVA) |
3,662 |
32,061 |
자료원 : 베트남전력공사(EVN)
베트남 배전선로 용량별 세부현황
구분 |
765㎸ |
500 kV |
345㎸ |
220 kV |
110 kV |
66 kV |
35㎸ |
합계 | ||
전선(㎞) |
1998 |
N/A |
1,488 |
N/A |
2,270 |
312 |
6,213 |
N/A |
10,283 |
|
1999 |
N/A |
1,528 |
N/A |
2,830 |
330 |
6,430 |
N/A |
11,118 | ||
2000 |
N/A |
1,528 |
N/A |
2,830 |
267 |
7,134 |
N/A |
11,759 | ||
2001 |
N/A |
1,528 |
N/A |
3,606 |
208 |
7,522 |
N/A |
12,864 | ||
2002 |
N/A |
1,528 |
N/A |
4,266 |
85 |
8,123 |
N/A |
14,002 | ||
2003 |
N/A |
1,528 |
N/A |
4,671 |
33 |
8,591 |
N/A |
14,823 | ||
2004 |
N/A |
2,023 |
N/A |
4,798 |
33 |
9,339 |
N/A |
16,193 | ||
2005 |
N/A |
3,265 |
N/A |
5,230 |
33 |
10,874 |
N/A |
19,402 | ||
2006 |
N/A |
3,286 |
N/A |
5,650 |
33 |
11,053 |
N/A |
20,022 | ||
변압기 (MVA) |
1998 |
N/A |
2,700 |
N/A |
4,032 |
631 |
5,834 |
N/A |
13,197 |
|
1999 |
N/A |
2,700 |
N/A |
5,535 |
657 |
6,132 |
N/A |
15,024 | ||
2000 |
N/A |
2,700 |
N/A |
6,036 |
658 |
7,737 |
N/A |
17,131 | ||
2001 |
N/A |
2,700 |
N/A |
7,910 |
577 |
9,427 |
N/A |
20,614 | ||
2002 |
N/A |
3,150 |
N/A |
9,161 |
501 |
11,621 |
N/A |
24,433 | ||
2003 |
N/A |
4,050 |
N/A |
10,752 |
150 |
13,740 |
N/A |
28,692 | ||
2004 |
N/A |
4,050 |
N/A |
12,390 |
150 |
16,572 |
N/A |
33,162 | ||
2005 |
N/A |
6,150 |
N/A |
14,890 |
150 |
18,459 |
N/A |
39,649 | ||
2006 |
N/A |
6,600 |
N/A |
15,923 |
150 |
20,656 |
N/A |
43,329 |
자료원 : 베트남전력공사(EVN)
□ 베트남 전력산업은 정부 독점산업체제 유지
○ 베트남산업무역부(Ministry of Industry and Trade)에서 총괄하고 있으며, 국영기업인 베트남전력공사(EVN)에서 전력생산, 송·배전, 설비 등을 독점하는 체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력생산의 경우 정부허가 개별발전소(IPP)를 통한 민간전력생산을 병행함.
○ 베트남 전력산업은 전력공사(EVN)을 중심으로 에너지연구소, 지역별 7개의 발전 및 배전회사, 4개의 전력 엔지니어링 및 컨설팅사, 4개의 송전회사로 구분됨.
□ 베트남정부의 송·배전 설비 투자계획
○ 베트남 정부는 중장기 전력산업 발전계획을 바탕으로 전력망에 대한 투자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며, 하노이와 호치민을 연결하는 고압송전망 구축은 물론 주변국에 대한 전력 수출·입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라오스, 중국, 캄보디아를 잇는 전력망 확충도 추진해 나갈 계획임.
2005~15년 송전·변전·배전 라인 확충계획
구분 |
단위 |
2005~10 |
2011~15 |
500㎸ Line |
㎞ |
800 |
1,150 |
220㎸ Line |
㎞ |
2,644 |
2,160 |
110㎸ Line |
㎞ |
2,202 |
2,546 |
500㎸ 변전소 |
MVA |
3,750 |
2,550 |
220㎸ 변전소 |
MVA |
8,189 |
14,210 |
110㎸ 변전소 |
MVA |
11,379 |
16,875 |
자료원 : 베트남전력공사(EVN)
2005~06년 송·배전 발전
구분 |
단위 |
2005 |
2006 |
550㎸라인 총 길이 |
km |
3,232 |
3,259 |
220㎸라인 총 길이 |
km |
5,203 |
5,278 |
11㎸라인 총 길이 |
km |
10,961 |
11,820 |
500㎸급 변압기 개수 |
|
16 |
18 |
500㎸변전소 총 수용력 |
MVA |
7,014 |
7,464 |
220㎸급 변압기 개수 |
|
83 |
86 |
220㎸ 변전소 총 수용력 |
MVA |
13,502 |
13,815 |
110㎸급 변압기 개수 |
|
476 |
535 |
110㎸ 변전소 총 수용력 |
MVA |
16,219 |
18,856 |
중간볼트라인 총 길이 |
km |
121,746 |
123,371 |
저볼트라인 총 길이 |
km |
181,063 |
218,424 |
중간 변전소 개수 |
|
735 |
708 |
중간 변전소의 총 수용력 |
MVA |
3,792 |
3,589 |
배급 변전소 개수 |
|
148,976 |
159,693 |
배급 변전소의 총 수용력 |
MVA |
29,555 |
36,304 |
자료원 : 베트남전력공사(EVN)
□ 시장전망 및 유의점
○ 베트남은 급속한 경제발전 및 산업수요 확대에 따른 발전설비 투자가 필요한 상태이나 정부의 부족한 예산으로 매년 30억 달러에 달하는 투자필요자금이 부족한 상태이며, 민간투자를 활성화하려고 최근 다양한 시도를 하는 상황임. 하지만 전력부족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부족한 정부 투자예산을 대체할 수 있는 민간투자가 더욱 확대돼야 할 것으로 전망됨.
○ 또한 베트남의 열악한 도로 및 기초 인프라 부족으로 기존 계획된 정부의 발전설비 프로젝트가 지연되는 사례가 잦으며, 기자재가격 급등, 금융비용 상승, 전문 노하우가 부족한 현지 건설기업 등이 현지 전력 관련 인프라 건설에 걸림돌로 작용함.
자료원 : 베트남전력공사 및 하노이KBC 자체종합
하노이 동아인 현 6개 지역 개발에 참여할 투자자 모집
하노이시는 동시의 행정구 중 하나, 동아인(Đông Anh)현의 6개의 에리어에서 진행하는 개발 사업에 투자할 투자자를 모집하고 있다. 동시는 2025년까지 인프라에 ...
베트남 호텔 숙박 시장 동향 전망, 호치민시 요금 인상
2022년 말 호치민 시내 호텔 숙박 요금은 1박 평균 180만VND로 2022년 3분기 대비 9%, 2021년 대비 21% 상승했다. 세빌스 베트남사의 호텔 시장 조사 보고서에 의...
지정학적 긴장과 함께 비용 상승으로 세계의 대기업들은 대체 생산 거점을 찾아야 하고, 베트남 호조의 경제 상황이 유럽 기업들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베트남...
외국과의 직업훈련 제휴에 관한 새로운 시행령, 정치나 종교를 포함한 커리큘럼 금지
베트남 정부는 6일 직업훈련 분야에서의 투자·활동 조건에 관한 규정을 개정·보충하는 시행령 제24호/2022/ND-CP를 공포했다. 동시행령은 6월 1일에 시행된다. 시...
코로나에 의한 부품 공급망 차단 등으로.. 일본 기업이 최근 베트남의 주변산업이 가진 기술과 제품에 주목하고 있다. 신형 코로나바이러스의 세계적 감염 확대로...
베트남 외국인 투자 규제 및 제한 사업 명확하게 작성 리스트 공표
베트남 정부는 3월 말 2021년 1월 1일부로 시행 된 투자법(2020 년판)의 일부에 대해 안내하는 시행령 제 31 호 / 2021 / ND-CP를 공포하여 동 시행령은 즉시 시...
베트남 개발 서두르는 6개 도시의 '스마트 시티' 계획
과학 기술에 의해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인더스트리 4.0' 시대의 세계적인 추세가 되고있다. 사진 ㊤ = 최신 스마트 시티 기술 전시회를 시찰하는 Nguyễn X...
EVFTA 1 일부로 발효, 유럽 시장 진출의 과제는 규정 준수
지난 1일 유럽 연합(EU)과 베트남 간의 자유 무역 협정(EVFTA)이 발효되었다. 관세 인하 등의 혜택을 받는 베트남 기업들은 새로운 제품 수출의 큰 기회가 될 수 ...
해외 기업들 베트남 유통 시장 진출 모색, EVFTA 등에 힘입어
1800억 달러 규모를 자랑하며, 매년 두 자리 성장률을 자랑하는 베트남 소매 시장의 호조에 주목하고 투자 및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는 해외 기업들이 늘고있다. ...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2020-06-22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국회 6월 8일 EVFTA 비준 완료 - - 2012년 6월 협상 개시 이...
포스트 코로나를 대처하는 베트남의 자세 2020-06-19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EVFTA로 수출과 투자 활로 확대 기대 - - IT 인프라 및 노동자 양성,...
제14기 (2016 ~ 2021년) 제9회 국회는 8일 오전 베트남 EU 자유 무역 협정 (EVFTA)의 비준에 관한 결의를 94.62 %의 찬성 다수로 채택했다. 또한, 베트남 EU 투자...
최근 한국의 베트남 투자 동향 2020-01-28 유상철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유통, 서비스 등 투자분야 다각화 - - 10만 달러 미만 소규모 투자 프로젝트 증가 - (참...
베트남 수입 통관 시 까다로운 FTA 적용 절차 2020-01-23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세계 주요 시장과 FTA 협정 체결로 FTA 활용 허브로 역할 증대 기...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 전자 상거래, 2020 년까지 100 억 달러의 수익 전망
2020 년까지 베트남의 전자 상거래는 100 억 달러의 수익에 도달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전자 상거래는 소규모의 베트남 기업도 소액 자금으로 모든 국가에 제...
[KOTRA]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2019-02-15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CPTPP 조항 따라 법ㆍ제도 선진화 및 글로벌 공급망 참여 기대 - - 원산지 포탈 ...
베트남의 전자 지갑 시장에 모이는 해외 기업의 뜨거운 시선, 소비자들도 편리성에 주목
베트남 정부는 2020년까지 현금 결제를 전 결제 거래의 약 10%이하까지 줄이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성장의 여지가 크다고 예측되는 전자 대금 결제와 계좌인 ...
다낭시 제1분기 외국인 관광객 59%증가 FDI도 약진 , 다낭 시장이 밝혀
다낭시 인민 위원회 Huỳnh Đức Thơ 시장은 최근 기자 회견을 갖고(사진 ㊤) 동시의 제1분기의 관광객 수가 169만 700명 (전년 동기 대비 34.7%증가)으로, 2018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