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 |
베트남, 광물자원산업 현황 | |||
작성일 | ![]() |
2009-10-05 | 작성자 | ![]() |
박동욱 ( kotra@hn.vnn.vn ) |
국가 | ![]() |
베트남 | 비즈니스센터 | ![]() |
하노이KBC |
베트남, 광물자원산업 현황 - 아시아 6대 석유생산국, 보크사이트, 티타늄 다량 보유 - - 광물자원산업의 국가경제 차지비중 매우 높아 -
□ 베트남 광물자원 전략산업 지위
○ 베트남 내 광물자원산업은 전체 GDP 비중이 9.79%, 연간수출액의 17.5%를 차지하는 매우 중요한 산업임. 에너지·광물 자원이 다양하게 분포된 편이나, 부존량이 아시아 및 세계자원대국과 비교 시 적은 규모임. - 베트남은 총 60여 개의 광물자원과 5000여 개의 광산이 소재함. - 베트남 석유 생산량은 아시아의 6대 생산국이며 석탄(대부분 무연탄임.), 석회석이 풍부한 편이고 보크사이트, 철광, 주석, 크롬, 동, 아연, 흑연, 운모, 티탄철석, 니켈, 망간, 티타늄, 금, 인회석 등이 존재하나 부존량은 소량임.
○ 탐사 및 개발은 초기단계로 광물자원 대부분은 상업성 부족과 개발여력 부족으로 초기단계 미개발 상태임. - 자원개발산업이 부진한 이유는 기술 및 자금 부족과 사업추진에 필수적인 도로, 운송수단, 설비 등 기본적 인프라 부족이 주요인이며 광물 생산 시 구식장비와 낙후기술로 생산성이 매우 낮기 때문임.
○ 주요 광물자원 부존현황
자료원 : 베트남 통계청
□ 자원개발 정부정책 방향
○ 베트남정부는 최근 세계적으로 자원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중장기적으로 광물자원개발에 인적·재정 자원을 동원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예정임. - 하지만 베트남 정부예산의 부족으로 경제적 효율성과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있으며, 산업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함.
○ 베트남정부는 1986년 경제개방정책이 시행된 후 석유법(1987년), 외국인투자법 및 개정석유법(2000년) 등을 통해 석유·대륙붕 개발을 활성화시켰으며 광물자원법령(2005년)의 개정을 통해 광물자원에 대한 투자절차, 규정에 대해 명확한 정의를 내림.
○ 베트남정부의 자원개발에 대한 기본입장을 보면, - 석탄, 원유와 같은 주요광물은 정부주도로 개발 - 기타 다른 광업부문은 비정부기관 및 개인에 의해 개발 - 부족한 정부재정으로 광업부문 전반에 대한 정부투자 제한
○ 광업부문의 해외 및 국내 투자는 여전히 적은 상태로 영역별 투자 자본은 5~9%이며, 해외직접투자(FDI) 또한 1988~2007년 총 FDI 프로젝트 8753건 중 1.2%를 차지
□ 민간 및 외국인 투자동향
○ 베트남 내 광물자원 개발은 주로 국가주도로 추진이 돼 민간 및 외국인의 투자가 상대적으로 제한됐으며, 전체 투자건수의 10%에 미치지 못하는 투자만이 이뤄짐. - 주요 투자국은 뉴질랜드, 호주, 일본 순으로 금과 석회석에 대한 투자가 주를 이룸.
○ 외국인투자의 경우 탐사분야에 대한 투자가 대부분을 이루며, 특히 베트남 내 매장량이 풍부한 모래석재 등 건설기자재분야에 대한 투자가 진행되고 있음.
□ 인근국과의 자원개발 관련 마찰 혹은 관계
○ 베트남의 경우 인근국과의 자원개발 관련 마찰은 크지 않은 편이나 해저 석유·가스 매장이 풍부한 Hoang Sa와 Truong Sa 군도에 대한 점유권 문제로 중국과 오랜기간 마찰이 있음.
□ 주요 부존자원 현황
1) 석유, 가스
○ 베트남은 아시아 6대 석유생산국으로 전체 매장량은 45억㎥ 규모로 추정되며, 이 중 가스가 55%를 차지함. 추가 매장량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 미래 석유·가스 자원강국으로 부상함.
○ 2001~04년 15개의 탐사공구에서 222MCM이 매장 확인됐고 2005년에는 4개의 신규매장공구에서 전체 매장량의 20%가 신규로 확인돼 향후 개발가능성이 매우 높음. - 주요 유전 매장지역 : Song Hong(11억㎥), Cuu Long(8억2000만㎥), Phu Khanh(3억7000만㎥), Nam Con Son(9억7000만㎥), Malay(3억7000만㎥)
2) 석탄
○ 베트남의 석탄매장량은 ’07년 기준, 35억5000만 톤으로 전체 66.7%의 매장량이 베트남 북부인 Quang Ninh지역에 분포돼 있으며 무연탄이 전체의 68.5%를 차지함. - 정확한 탐사는 불가하나 북부 홍강델타지역과 내륙지역 지하 250~1200m 아래 3500㎢에 달하는 지역에서 2100억 톤의 추가 석탄매장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함. - 베트남 석탄광산은 200여 개로 주요 산지인 Quang Ninh지역에 소재하며, 이 지역 내 석탄채집센터가 3개소를 설치운영함. · Cua Ong(Cam Pha), Nam Cau Trang(Ha Long City), Vang Danh(Uong Bi)
3) 철
○ 베트남 내 철광산은 총 220여 개로 대부분은 베트남 북부지역에 소재함. - 주요 산지 : Thai Nguyen, Bac Can, Cao Bang, Ha Giang 등 - 베트남 내 매장 철광석은 대부분 C1, 2급이 주요 등급이며 2006년 기준, 전체 매장량은 11억 톤으로 추정됨.(A, B, C1급 : 5억6800만 톤, C2급 : 1억9300만 톤) - 베트남 철광석은 아연의 함유가 높은 편으로 일반 제조공법 활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음.
4) 구리
○ 베트남 내 구리 매장은 베트남 북부지역 중심으로 홍강델타 서부유역과 중국과 국경선을 마주한 Lao Cai지역에 대표적으로 분포됨.
○ 베트남 내 구리 매장량은 ’07년 기준, 7600만 톤임. - 주요산지 : Ban Phuc(300만 톤), Shin Quyen(55억1000톤)
5) 아연
○ 베트남 내 아연 매장량은 베트남 북부지역 중심으로 Tuyen Quyen, Bac Can, Ngan Son 지역 사이에 소재하며 최근에는 Bo Vat지역에 17만5000톤과 Cao Bang, Ha Giang 지역에 26만6000톤의 아연 매장이 추가로 확인됨.
○ 베트남 내 아연 매장량은 ’07년 기준, 100만 톤임. - 베트남 내 아연 매장량은 전 세계 1%에 해당하는 소량이나 아연 매장 가능성이 높은 지형으로 향후 일부 전문가의 견해에 따르면 Bac Can지역에 400만 톤을 포함한 총 1300만 톤의 매장 추정가능성도 제기됨.
6) 보크사이트
○ 베트남 매장 광물자원 중 가장 많은 부존량을 가진 광물로 확인된 매장량은 55억 톤이며 베트남 남부지역에 대부분인 54억 톤이 소재, 북부지역에 1억 톤이 매장돼 있음.
7) 티타늄
○ 베트남은 세계 티타늄 매장량의 5%를 차지하는 매우 중요한 광물자원지역으로 캐나다, 미국, 노르웨이, 인도, 호주 다음으로 6위의 매장량을 기록함. - 티타늄은 주로 Ha Tinh, Quang Tri, Hue, Binh Dinh, Phu Yen, Binh Thuan 등 해안선을 따라 매장돼 있으며 21개의 주요 채집광이 소재함.
○ 베트남 내 티타늄 매장량은 ’07년 기준, 3450만 톤임.
주요자원 보유현황
자료원 : 베트남 통계청
베트남 광물자원 분포도
□ 유의사항 및 시사점
○ 베트남 광물자원 개발 물류 및 인력 인프라 미흡 - 베트남은 자원개발을 위한 전반적인 인프라가 매우 취약한 상태이며, 자원개발 시 현지 고급 및 중간 관리인력의 인건비가 높고 매장자원 대부분이 산악지대에 소재해 채굴된 광물자원 이동 시 제한된 철도와 도로는 물론 항만설비 부족으로 인해 전체 사업추진 비용이 높아지는 상황임. 따라서 이것을 감안해 사업타당성 분석 시 세밀한 비용검토가 선행돼야 함.
○ 베트남정부의 자원개발 관련 인허가절차 복잡 - 베트남정부는 주요광물의 채광 및 채굴을 국영기업을 통해 독점하고 있으며 원유, 천연가스, 석탄 등 주요분야는 거의 정부관리가 매우 엄격해 인허가 절차 및 소요기간이 매우 복잡하고 길어질 가능성이 있음. - 또한 베트남 인허가 당국의 경우 불명확한 규정과 현지 행정처리 시 불합리한 행정처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바 진출 시 유의해야 함.
자료원 : 베트남 통계청 및 코트라 하노이KBC 자체종합 |
하노이 동아인 현 6개 지역 개발에 참여할 투자자 모집
하노이시는 동시의 행정구 중 하나, 동아인(Đông Anh)현의 6개의 에리어에서 진행하는 개발 사업에 투자할 투자자를 모집하고 있다. 동시는 2025년까지 인프라에 ...
베트남 호텔 숙박 시장 동향 전망, 호치민시 요금 인상
2022년 말 호치민 시내 호텔 숙박 요금은 1박 평균 180만VND로 2022년 3분기 대비 9%, 2021년 대비 21% 상승했다. 세빌스 베트남사의 호텔 시장 조사 보고서에 의...
지정학적 긴장과 함께 비용 상승으로 세계의 대기업들은 대체 생산 거점을 찾아야 하고, 베트남 호조의 경제 상황이 유럽 기업들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베트남...
외국과의 직업훈련 제휴에 관한 새로운 시행령, 정치나 종교를 포함한 커리큘럼 금지
베트남 정부는 6일 직업훈련 분야에서의 투자·활동 조건에 관한 규정을 개정·보충하는 시행령 제24호/2022/ND-CP를 공포했다. 동시행령은 6월 1일에 시행된다. 시...
코로나에 의한 부품 공급망 차단 등으로.. 일본 기업이 최근 베트남의 주변산업이 가진 기술과 제품에 주목하고 있다. 신형 코로나바이러스의 세계적 감염 확대로...
베트남 외국인 투자 규제 및 제한 사업 명확하게 작성 리스트 공표
베트남 정부는 3월 말 2021년 1월 1일부로 시행 된 투자법(2020 년판)의 일부에 대해 안내하는 시행령 제 31 호 / 2021 / ND-CP를 공포하여 동 시행령은 즉시 시...
베트남 개발 서두르는 6개 도시의 '스마트 시티' 계획
과학 기술에 의해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인더스트리 4.0' 시대의 세계적인 추세가 되고있다. 사진 ㊤ = 최신 스마트 시티 기술 전시회를 시찰하는 Nguyễn X...
EVFTA 1 일부로 발효, 유럽 시장 진출의 과제는 규정 준수
지난 1일 유럽 연합(EU)과 베트남 간의 자유 무역 협정(EVFTA)이 발효되었다. 관세 인하 등의 혜택을 받는 베트남 기업들은 새로운 제품 수출의 큰 기회가 될 수 ...
해외 기업들 베트남 유통 시장 진출 모색, EVFTA 등에 힘입어
1800억 달러 규모를 자랑하며, 매년 두 자리 성장률을 자랑하는 베트남 소매 시장의 호조에 주목하고 투자 및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는 해외 기업들이 늘고있다. ...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2020-06-22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국회 6월 8일 EVFTA 비준 완료 - - 2012년 6월 협상 개시 이...
포스트 코로나를 대처하는 베트남의 자세 2020-06-19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EVFTA로 수출과 투자 활로 확대 기대 - - IT 인프라 및 노동자 양성,...
제14기 (2016 ~ 2021년) 제9회 국회는 8일 오전 베트남 EU 자유 무역 협정 (EVFTA)의 비준에 관한 결의를 94.62 %의 찬성 다수로 채택했다. 또한, 베트남 EU 투자...
최근 한국의 베트남 투자 동향 2020-01-28 유상철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유통, 서비스 등 투자분야 다각화 - - 10만 달러 미만 소규모 투자 프로젝트 증가 - (참...
베트남 수입 통관 시 까다로운 FTA 적용 절차 2020-01-23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세계 주요 시장과 FTA 협정 체결로 FTA 활용 허브로 역할 증대 기...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 전자 상거래, 2020 년까지 100 억 달러의 수익 전망
2020 년까지 베트남의 전자 상거래는 100 억 달러의 수익에 도달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전자 상거래는 소규모의 베트남 기업도 소액 자금으로 모든 국가에 제...
[KOTRA]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2019-02-15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CPTPP 조항 따라 법ㆍ제도 선진화 및 글로벌 공급망 참여 기대 - - 원산지 포탈 ...
베트남의 전자 지갑 시장에 모이는 해외 기업의 뜨거운 시선, 소비자들도 편리성에 주목
베트남 정부는 2020년까지 현금 결제를 전 결제 거래의 약 10%이하까지 줄이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성장의 여지가 크다고 예측되는 전자 대금 결제와 계좌인 ...
다낭시 제1분기 외국인 관광객 59%증가 FDI도 약진 , 다낭 시장이 밝혀
다낭시 인민 위원회 Huỳnh Đức Thơ 시장은 최근 기자 회견을 갖고(사진 ㊤) 동시의 제1분기의 관광객 수가 169만 700명 (전년 동기 대비 34.7%증가)으로, 2018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