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전력산업 계획안
- 2011~2020년 베트남 전력발전계획안 공표 –
- 신재생에너지원 점차 증가 계획 –
□ 베트남 전력 산업 현황
○ 베트남은 매년 높은 경제, 산업 성장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전력수요를 보임. 이에 베트남 정부는 원활한 전력 공급을 위해 발전소 프로젝트 투자 유치와 운영에 많은 변화를 꾀함.
- 총리령(24/2011/QD-TTg)에 따라 2011년 6월부터 베트남 전력 공사(EVN)는 전력생산 원료, 부자재 가격 인상 요인에 따라 전기요금을 5% 미만 내에서 최소 3개월 주기로 가격조정이 가능하게 됨.
- 2011년 7월부터 전력시장 경쟁모형을 시범 도입함에 따라 30㎿ 이상의 73개 발전소 중 48개 발전소에서 전력판매 가격을 내놓았으며, 2011년 연말까지 55개 발전소가 참여할 계획임.
○ 수년 전 베트남은 전체 전력 공급의 70%를 수력발전에 의존했지만, 화력발전소 활발한 투자로 인해 최근 30%대로 비중이 작아짐. 그러나 아직 높은 수준으로 기후에 따라 큰 영향을 받음.
- 2010년에는 유난히 길었던 건기로 매우 심각한 전력 부족현상을 보이며, 베트남 산업생산에 많은 차질을 빚음.
○ 2011년 상반기는 기후 조건 도움으로 2010년에 비해 전력 수급상황이 나아짐.
- 2011년 상반기 평균 기온이 2010년보다 낮아 북부지역 수력발전에서 많은 발전량을 생산했고, 중부, 남부지방의 수력발전 역시 예년 평균보다 비슷하거나 높은 수위를 보임.
- 올 상반기 베트남 전체 수력발전소 저수량은 314억㎥로 연초 예상보다 154억㎥가 많았으며, 47.5억kWh 발전량에 상응
○ 2011년 상반기 건기 동안 전력수요 증가는 10.31%로 연초 전망보다 18.3% 낮게 나타났고 예년 20~30%보다 크게 감소
- 이는 올해 연초 정부의 공공사업 제한, 신용 대출 제한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전력에 대한 수요가 감소함.
○ 올해에는 불완전했던 화력발전소 전력 생산이 원활해졌으며, Son La 수력발전소가 예정보다 조기 운영됨.
- 올 상반기 베트남 전체 추가 발전 설비규모는 1700㎿임.
- 2011년 상반기 동안 EVN은 5개의 프로젝트 중 6개의 발전단지(총 1085㎿ 규모)를 운영하고, 110~500㎸ 배전, 송전관련 약 625㎞, 2450MVA 규모의 설비를 설치함.
베트남 연간 전력 수급현황
구분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계획 |
설비용량(㎿) |
12,788 |
15,600 |
17,300 |
20,900 |
- |
총 발전량(Mill.kWh) |
64,147 |
70,960 |
80,643 |
91,602 |
107,435 |
국영부분(Mill.kWh) |
50,001 |
53,091 |
57,002 |
59,131 |
47,443 |
민영부문(Mill.kWh) |
12 |
12 |
15 |
17 |
- |
외국투자부분(Mill.kWh) |
14,134 |
17,857 |
23,626 |
32,454 |
59,992 |
판매전력량(TWh) |
58.4 |
65.9 |
74.8 |
85.7 |
98.6 |
전력수입량(TWh) |
2.6 |
3.5 |
5.0 |
5.6 |
4.6 |
자료원: 베트남 산업무역부
□ 2011~2020년 베트남 전력발전 계획안
○ 최근 베트남 산업무역부는 베트남 총리가 승인한 2011~2020년 전력발전, 2030년 평가(제7차 전력 계획) 계획안(1208/QD-TTg)을 공표함.
- 2015년까지 베트남 국내 전력생산과 전력수입은 1940억~2100억kWh, 2020년 3300억~3620억kWh, 2030년까지 약 6950억~8340억kWh로 계획
- 베트남의 GDP 대비 전력 증가율은 현재 2.0 수준에서 2015년 1.5, 2020년까지 1.0으로 줄이는 것으로 계획
○ 2011~2015년까지 전국 전력망 확충 목표로 약 50만 농촌 가구에 전기가 추가 공급되며, 재생에너지로는 약 37만7000 농촌 가구에 전기가 공급될 계획
- 2020년까지 모든 농촌 가구에 전기 공급을 목표로 함.
○ 베트남은 2020년까지 화력발전소를 전체 전력생산 비중 60%, 수력발전 23.1%, 원자력발전소 1.3% 비중으로 전력생산을 계획함.
- 2020년에도 베트남의 전력수입 비중은 전체 전력 총생산 비중의 3.1%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
○ 최우선적으로 재생에너지(풍력, 태양열, 양적 생물자원-Biomass) 발전 생산에 중점을 두며, 전력 생산 비중을 높임.
- 2010년 베트남 재생에너지 생산 비중은 전체 전력생산의 약 3.5%로 추정되며 2020년까지 4.5%, 2030년까지 6%를 목표로 함.
- 아직 풍력발전 비중이 미비하지만, 이를 2020년 1000㎿, 2030년까지 6200㎿로 계획함. 풍력은 현재 베트남 총 전력생산에서 0.7% 비중 차지, 2030년까지 2.4%를 목표로 함.
○ 수력발전에서는 다용도 수력발전(침수 방지, 용수공급, 전기생산) 계획을 우선적으로 진행함.
- 최근 9200㎿ 총 발전 설비 규모를 2020년까지 1만7400㎿로 계획함.
- 이외 화력발전소는 소요자원의 매장량과 공급량에 따라 적절한 비중으로 발전을 진행함.
○ 2020년까지 베트남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를 완공, 운영할 계획이며 2030년까지 원자력 발전소 설비용량은 1만700㎿, 전력생산량은 705억kWh(베트남 총 전력생산량의 10.1% 비중)를 목표로 함.
○ 2020년까지 전력 분야에 필요한 총 투자 자본금은 929조7000억 동으로 추정, 488억 달러로 매년 48억 달러 투자 자본금을 필요함.
- 2011~2020년 베트남 전력 발전소 투자규모는 약 619조3000억 동으로 전체 투자 자본금 수요에 66.6% 비중을 차지하며, 배전송전 부문에 대한 투자는 310조4000억 동으로 33.4% 비중을 차지함.
- 2011~2030년까지 베트남 전력분야 총 투자규모는 2359조 동으로 추정(1238억 달러)
구분 |
발전소 프로젝트 |
소수력 발전소 | |||
연도 |
발전량(㎿) |
재생에너지 |
건수 |
발전량(㎿) |
건수 |
2011 |
4,187 |
30 |
16 |
280.5 |
5 |
2012 |
2,805 |
100 |
13 |
657 |
12 |
2013 |
2,105 |
130 |
9 |
401.5 |
6 |
2014 |
4,279 |
120 |
12 |
655 |
9 |
2015 |
6,540 |
150 |
13 |
384 |
5 |
2016 |
7,136 |
200 |
18 |
355 |
5 |
2017 |
6,775 |
200 |
12 |
354 |
2 |
2018 |
7,842 |
200 |
15 |
|
|
2019 |
7,015 |
230 |
14 |
|
|
2020 |
5,610 |
300 |
9 |
|
|
자료원: 총리 결정령(1208/QD-TTg)
○ 베트남 전력산업 발전 계획에 따라 전력시장 경쟁체제 도입, 다양한 방식의 전력분야 투자유치와 발전소 운영 방안을 계획함.
- 베트남 정부는 국가 에너지 시스템 안보를 위해 중앙 전력망에 대해서만 독점권한을 가지는 것으로 규정, 베트남 송전 총 공사가 관리함.
- 베트남 전력공사, 석유공사, 석탄광물 공사의 전력생산 책임을 명시함.
○ 전력분야 투자 자본금 확보를 위해 발전소 전력 판매 비용을 2020년까지 1800동(8~9 센트)kWh 수준까지 조절할 계획
- 이와 함께 베트남 전기요금 보조금을 점차 줄여가며, 낮은 수준 전기요금을 실제 전력 생산비용에 적합한 수준으로 현실화 계획
- 연료 가격, 환율과 전력 생산 구조에 따라 전기판매 가격을 조정하고 차등되는 전력소비층, 각 분야 따른 가격차이를 완화하며, 계절과 지역에 따른 차등 판매가격표 이행 등의 방안을 모색함.
자료원: 베트남 뉴스, 총리 결정령(1208/QD-TTg), 코트라 호찌민 KBC 종합
하노이 동아인 현 6개 지역 개발에 참여할 투자자 모집
하노이시는 동시의 행정구 중 하나, 동아인(Đông Anh)현의 6개의 에리어에서 진행하는 개발 사업에 투자할 투자자를 모집하고 있다. 동시는 2025년까지 인프라에 ...
베트남 호텔 숙박 시장 동향 전망, 호치민시 요금 인상
2022년 말 호치민 시내 호텔 숙박 요금은 1박 평균 180만VND로 2022년 3분기 대비 9%, 2021년 대비 21% 상승했다. 세빌스 베트남사의 호텔 시장 조사 보고서에 의...
지정학적 긴장과 함께 비용 상승으로 세계의 대기업들은 대체 생산 거점을 찾아야 하고, 베트남 호조의 경제 상황이 유럽 기업들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베트남...
외국과의 직업훈련 제휴에 관한 새로운 시행령, 정치나 종교를 포함한 커리큘럼 금지
베트남 정부는 6일 직업훈련 분야에서의 투자·활동 조건에 관한 규정을 개정·보충하는 시행령 제24호/2022/ND-CP를 공포했다. 동시행령은 6월 1일에 시행된다. 시...
코로나에 의한 부품 공급망 차단 등으로.. 일본 기업이 최근 베트남의 주변산업이 가진 기술과 제품에 주목하고 있다. 신형 코로나바이러스의 세계적 감염 확대로...
베트남 외국인 투자 규제 및 제한 사업 명확하게 작성 리스트 공표
베트남 정부는 3월 말 2021년 1월 1일부로 시행 된 투자법(2020 년판)의 일부에 대해 안내하는 시행령 제 31 호 / 2021 / ND-CP를 공포하여 동 시행령은 즉시 시...
베트남 개발 서두르는 6개 도시의 '스마트 시티' 계획
과학 기술에 의해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인더스트리 4.0' 시대의 세계적인 추세가 되고있다. 사진 ㊤ = 최신 스마트 시티 기술 전시회를 시찰하는 Nguyễn X...
EVFTA 1 일부로 발효, 유럽 시장 진출의 과제는 규정 준수
지난 1일 유럽 연합(EU)과 베트남 간의 자유 무역 협정(EVFTA)이 발효되었다. 관세 인하 등의 혜택을 받는 베트남 기업들은 새로운 제품 수출의 큰 기회가 될 수 ...
해외 기업들 베트남 유통 시장 진출 모색, EVFTA 등에 힘입어
1800억 달러 규모를 자랑하며, 매년 두 자리 성장률을 자랑하는 베트남 소매 시장의 호조에 주목하고 투자 및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는 해외 기업들이 늘고있다. ...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2020-06-22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국회 6월 8일 EVFTA 비준 완료 - - 2012년 6월 협상 개시 이...
포스트 코로나를 대처하는 베트남의 자세 2020-06-19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EVFTA로 수출과 투자 활로 확대 기대 - - IT 인프라 및 노동자 양성,...
제14기 (2016 ~ 2021년) 제9회 국회는 8일 오전 베트남 EU 자유 무역 협정 (EVFTA)의 비준에 관한 결의를 94.62 %의 찬성 다수로 채택했다. 또한, 베트남 EU 투자...
최근 한국의 베트남 투자 동향 2020-01-28 유상철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유통, 서비스 등 투자분야 다각화 - - 10만 달러 미만 소규모 투자 프로젝트 증가 - (참...
베트남 수입 통관 시 까다로운 FTA 적용 절차 2020-01-23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세계 주요 시장과 FTA 협정 체결로 FTA 활용 허브로 역할 증대 기...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 전자 상거래, 2020 년까지 100 억 달러의 수익 전망
2020 년까지 베트남의 전자 상거래는 100 억 달러의 수익에 도달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전자 상거래는 소규모의 베트남 기업도 소액 자금으로 모든 국가에 제...
[KOTRA]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2019-02-15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CPTPP 조항 따라 법ㆍ제도 선진화 및 글로벌 공급망 참여 기대 - - 원산지 포탈 ...
베트남의 전자 지갑 시장에 모이는 해외 기업의 뜨거운 시선, 소비자들도 편리성에 주목
베트남 정부는 2020년까지 현금 결제를 전 결제 거래의 약 10%이하까지 줄이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성장의 여지가 크다고 예측되는 전자 대금 결제와 계좌인 ...
다낭시 제1분기 외국인 관광객 59%증가 FDI도 약진 , 다낭 시장이 밝혀
다낭시 인민 위원회 Huỳnh Đức Thơ 시장은 최근 기자 회견을 갖고(사진 ㊤) 동시의 제1분기의 관광객 수가 169만 700명 (전년 동기 대비 34.7%증가)으로, 2018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