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에너지(석유가스)산업 현황 (2)
- 베트남 유전탐사 및 생산량 증가로 성장성 유망 -
- 자체 정유공장 건설로 향후 관련 장비 수요확대 전망 -
□ 석유제품 수요 동향
○ 2008년 베트남 내 석유제품에 대한 국내 수요는 1300만 톤에 달했으며, 이의 대부분은 수입으로 충당되는 상황임. 전체 수요의 대부분은 북부의 하노이와 남부의 호치민 중심으로 수요되며, 베트남 석유가스공사인 PetroVietnam가 자회사를 통해 관련 제품의 수요를 독점하는 상황임.
○ 2008년 수입현황을 살펴보면, 1286만 톤(108억9000만 달러) 상당의 석유를 수입했으며, 수입량은 매년 2.41%씩 증가세를 나타내는 반면, 수입액은 국제유가의 급등으로 무려 45.15%의 증가율을 기록함.
베트남 석유제품 수입동향
자료원 : GSO, 2009
베트남 석유가스 파이프라인 가동 프로젝트
구분 |
수용량 |
규모 |
시작연도 |
수요업체 |
Rang Dong -Bach Ho 가스 파이프라인 |
2BCM/annum |
L=150km ■=16" |
1995 |
전력공장, 비료공장, LPG공장 |
Nam Con Son 가스 파이프라인 |
7BCM/annum 2단계 |
L=398km ■= 26" |
2002 |
전력공장, 응축액공장 |
저압 Phu My-Go Dau 가스 파이프라인 |
1BCM/annum 1단계 |
N/A |
2003 |
5곳의 산업지구 |
미드스트림 분야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
구분 |
수용량 |
규모 |
진행상황 |
PM3-CAA-Ca Mau 파이프라인 |
2BCM/annum |
L=316km ■=18" |
건설 중 |
Phu My-Nhon Trach-Hiep Phuoc 가스 파이프라인 |
2BCM/annum |
L=26km ■=22", L=13km ■=12" |
건설 중 |
Block B-Omon 가스 파이프라인 |
6.5BCM/annum |
L=425km ■=26" |
FS 준비 중 |
East &West South Area 파이프라인 |
- |
- |
PFS 준비 중 |
□ 베트남 석유가스공사(Petro Vietnam)
○ PetroVietnam은 베트남 정부 산하의 국내 석유·가스 독점기업으로 외국인 투자기업과의 합작을 통해 업스트림사업을 수행해 왔으며, 산하 자회사들을 통해 석유가스의 국내 판매 및 유통부문을 관리하고 있음. 페트로베트남사는 독점권을 이용해 2007년 상반기에만 VND 84조6000억(약 52억8750만 달러)의 수익을 낸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한 수치임.
Petro Vietnam 주요 자회사 현황
자회사 명 |
주요 기능 |
Petechim |
연료용 석유가스 제품의 수입과 수출을 담당하는 무역회사 |
Petrolimex |
석유가스 저장시설, 워크숍, 탱크로리, 직영 소매점 관리 운영 |
PetroVietnam Oil processing and Distribution Co.(PVPDC) |
윤활유 플랜트 및 석유 터미널의 관리, 관련 무역업무 |
PV Engineering |
엔지니어링, 측량, 컨설팅 기능 |
PV Gas |
생산가스 사용, 가공, 응축, LPG, 무역 |
PetroVietnam Investment and Development Co.(PIDC) |
업스트림부문의 계약 관리 |
Petroleum Technical Service Co.,(PTSC) |
선적, 저장, 물류 등 담당. 2006년 8월에 성공적으로 기업 공개 |
PV Drilling |
2006년 11월, 호치민시 증권거래소에서 기업 공개 승인 완료 |
PVFC |
페트로베트남사의 금융서비스부문으로서 은행역할을 함. |
□ 베트남 기술력과 공급력
○ 베트남 내에서 추출되는 원유의 대부분은 수출용이지만 국내 저장고 및 운송시스템이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수출 시 장애요인이 있는 상태임. 또한 베트남 내 가장 큰 유조선의 규모는 15만WT로 올해에 건조됐음.
○ PV Drilling 시추시장에 따르면 PetroVietnam은 1oil platform과 1drilling rig를 가지고 있으며, Drilling rig PV Drilling 11의 경우 지하 7000m까지 굴착 가능하며, 130명의 인력지원 가능함. oil platform PV Drilling Ⅰ은 고성능장비인 I.e. Top Drive TDS-8SA, 3000 HP National Drawwork, VFD, 14-p-220 Mud Pump, Amphion Drilling System을 갖추고 있음. 이것은 지하 7600m 이하까지 굴착이 가능하며, 110명의 인력을 지원함. PV Drilling Ⅱ와 PV Drilling Ⅲ는 현재 제작 중이며 2009년 말에 가동될 것으로 보임.
○ 베트남은 원유 저장 및 공급 시스템이 매우 부족한 상황임. 따라서 Petrolimex는 120만㎥의 유류 저장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나 단지 국내소비의 1개월치 저장규모에 불과한 상황임.
○ 또한 LPG시장은 베트남의 항만설비가 낙후돼 현재까지 1000~1500톤의 소형선박에 제한되는 어려움이 있으며, 반면 태국의 경우 5만 톤 선박이 가능해 대조적인 상황임.
□ 베트남 정부의 석유·가스 산업 육성방향
○ 베트남 경제의 급격한 성장과 지속적인 성장력 유지는 필연적으로 에너지 수요 확산의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되며, 이 같은 수요확대에 따른 대처를 위해 베트남 정부는 현지 및 해외 유전탐사에 매우 적극적으로 투자를 하는 상황임.
○ 베트남 정부의 2020년까지 석유·가스 산업의 주요 목표를 살펴보면
1) 생산목표
- 국내 : 22~24MMT 규모의 원유,
- 해외 : 10MMT 규모의 원유
2) 천연가스 소비에 대한 국내시장 개발
- 2010 : 12~14BCM
- 2011~20 : 지역별 통합 파이프라인 건설 및 가동
3) 국제적인 탐사 및 생산 시장 건설(아래 지역에 초점 맞춤.)
- 중서부 지역, 북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러시아
4) 석유제품 생산을 위한 정제시설 개발
- 정제시설 : 연간 20MMT 처리능력을 갖춘 3개의 정제시설 건설 및 가동
- 석유화학제품 : 2개의 복합 석유화학제품 처리시설 건설 및 가동
5) 저장·수송·공급 시설의 개발 및 업그레이딩
- 항만시설 업그레이딩
- 석유 및 석유 제품 운송시설 업그레이딩
□ 전망 및 시사점
○ 베트남 석유·가스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은 시장으로 평가되며, 국내 플랜트 기업과의 동반진출을 고려해야 함. 특히 석유·가스부문에 진출 시 정유, 수송, 파이프라인, 발전 등 다운스트림 부문 관련 플랜트 기업과의 동반진출을 도모할 경우 시너지효과뿐만 아니라 유관 에너지 플랜트 수출도 가능함.
○ 또한 베트남 에너지산업 개발에 적극 동참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민자발전 및 현지 에너지 인프라 분야에 참가해 다양한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해야 하며, 현지 진출 시 공관, 유관기관, 민간기업의 유기적인 상호협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자료원 : KOTRA 하노이KBC 자체 종합
하노이 동아인 현 6개 지역 개발에 참여할 투자자 모집
하노이시는 동시의 행정구 중 하나, 동아인(Đông Anh)현의 6개의 에리어에서 진행하는 개발 사업에 투자할 투자자를 모집하고 있다. 동시는 2025년까지 인프라에 ...
베트남 호텔 숙박 시장 동향 전망, 호치민시 요금 인상
2022년 말 호치민 시내 호텔 숙박 요금은 1박 평균 180만VND로 2022년 3분기 대비 9%, 2021년 대비 21% 상승했다. 세빌스 베트남사의 호텔 시장 조사 보고서에 의...
지정학적 긴장과 함께 비용 상승으로 세계의 대기업들은 대체 생산 거점을 찾아야 하고, 베트남 호조의 경제 상황이 유럽 기업들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베트남...
외국과의 직업훈련 제휴에 관한 새로운 시행령, 정치나 종교를 포함한 커리큘럼 금지
베트남 정부는 6일 직업훈련 분야에서의 투자·활동 조건에 관한 규정을 개정·보충하는 시행령 제24호/2022/ND-CP를 공포했다. 동시행령은 6월 1일에 시행된다. 시...
코로나에 의한 부품 공급망 차단 등으로.. 일본 기업이 최근 베트남의 주변산업이 가진 기술과 제품에 주목하고 있다. 신형 코로나바이러스의 세계적 감염 확대로...
베트남 외국인 투자 규제 및 제한 사업 명확하게 작성 리스트 공표
베트남 정부는 3월 말 2021년 1월 1일부로 시행 된 투자법(2020 년판)의 일부에 대해 안내하는 시행령 제 31 호 / 2021 / ND-CP를 공포하여 동 시행령은 즉시 시...
베트남 개발 서두르는 6개 도시의 '스마트 시티' 계획
과학 기술에 의해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인더스트리 4.0' 시대의 세계적인 추세가 되고있다. 사진 ㊤ = 최신 스마트 시티 기술 전시회를 시찰하는 Nguyễn X...
EVFTA 1 일부로 발효, 유럽 시장 진출의 과제는 규정 준수
지난 1일 유럽 연합(EU)과 베트남 간의 자유 무역 협정(EVFTA)이 발효되었다. 관세 인하 등의 혜택을 받는 베트남 기업들은 새로운 제품 수출의 큰 기회가 될 수 ...
해외 기업들 베트남 유통 시장 진출 모색, EVFTA 등에 힘입어
1800억 달러 규모를 자랑하며, 매년 두 자리 성장률을 자랑하는 베트남 소매 시장의 호조에 주목하고 투자 및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는 해외 기업들이 늘고있다. ...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2020-06-22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국회 6월 8일 EVFTA 비준 완료 - - 2012년 6월 협상 개시 이...
포스트 코로나를 대처하는 베트남의 자세 2020-06-19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EVFTA로 수출과 투자 활로 확대 기대 - - IT 인프라 및 노동자 양성,...
제14기 (2016 ~ 2021년) 제9회 국회는 8일 오전 베트남 EU 자유 무역 협정 (EVFTA)의 비준에 관한 결의를 94.62 %의 찬성 다수로 채택했다. 또한, 베트남 EU 투자...
최근 한국의 베트남 투자 동향 2020-01-28 유상철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유통, 서비스 등 투자분야 다각화 - - 10만 달러 미만 소규모 투자 프로젝트 증가 - (참...
베트남 수입 통관 시 까다로운 FTA 적용 절차 2020-01-23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세계 주요 시장과 FTA 협정 체결로 FTA 활용 허브로 역할 증대 기...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 전자 상거래, 2020 년까지 100 억 달러의 수익 전망
2020 년까지 베트남의 전자 상거래는 100 억 달러의 수익에 도달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전자 상거래는 소규모의 베트남 기업도 소액 자금으로 모든 국가에 제...
[KOTRA]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2019-02-15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CPTPP 조항 따라 법ㆍ제도 선진화 및 글로벌 공급망 참여 기대 - - 원산지 포탈 ...
베트남의 전자 지갑 시장에 모이는 해외 기업의 뜨거운 시선, 소비자들도 편리성에 주목
베트남 정부는 2020년까지 현금 결제를 전 결제 거래의 약 10%이하까지 줄이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성장의 여지가 크다고 예측되는 전자 대금 결제와 계좌인 ...
다낭시 제1분기 외국인 관광객 59%증가 FDI도 약진 , 다낭 시장이 밝혀
다낭시 인민 위원회 Huỳnh Đức Thơ 시장은 최근 기자 회견을 갖고(사진 ㊤) 동시의 제1분기의 관광객 수가 169만 700명 (전년 동기 대비 34.7%증가)으로, 2018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