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 |
베트남, 한국기업이 최대 고용주 | |||
작성일 | ![]() |
2009-09-30 | 작성자 | ![]() |
박근형 ( kotra@hn.vnn.vn ) |
국가 | ![]() |
베트남 | 비즈니스센터 | ![]() |
하노이KBC |
베트남, 한국기업이 최대 고용주 - 2009년 6월말 현재 2,078개사에서 40만3천명 고용 – - 베트남 내 외국인투자기업의 전체 고용인력의 23.7% 고용 -
보고일자 : 2009. 9. 30 하노이 코리아비즈니스센터 박근형 keunhyungp@gmail.com
ㅇ 2009년 6월말 현재, 베트남에 진출하여 경영활동을 하고 있는 한국기업의 수는 2,078개사로 베트남 전체 외국인투자기업 중 약 23%를 차지하고 있음.
ㅇ 지역별로는 베트남의 63개 행정구역(시 및 성) 중 37개 행정구역에 우리기업들이 진출해 있으며, 호치민시에 가장 많은 731개사의 기업이 진출하였으며 다음으로는 하노이에 345개사, 빙즈엉성 304개사, 동나이성 137개사, 흥옌성 72개사 순으로 우리기업들이 분포하여 있음
ㅇ 호치민시를 중심으로한 남부지역에 1,382개사가 소재하여 전체의 66.5%를 차지하고 있으며, 하노이시를 중심으로 한 북부지역에는 전체의 32%인 665개사가 소재하고 있으며, 다낭을 중심으로한 중부지역에는 31개사에 불과해 진출 정도가 아주 미미한 것으로 조사되었음
□ 우리기업 인력 고용 현황
ㅇ 2009년 8월말 현재,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기업에서 고용하고 있는 종업원의 수는 40만3천477명으로 전체 외국인투자기업에서 고용하고 있는 170만명의 23.7%를 차지하고 있음.
ㅇ 지역별로는 우리기업 진출지역에 따라 남부지역(호치민 중심)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이 전체의 64.6%인 26만465명의 종업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북부지역(하노이 중심) 한국기업들이 34.4%인 13만8735명, 그리고 중부지역(다낭 중심)의 한국기업들이 약 1%인 3,977명을 고용하고 있음.
ㅇ 개별 지역별로는 동나이성, 호치민시, 빙즈엉성에 소재한 한국기업들이 베트남 종업원을 가장 많이 고용하고 있는데 그 수는 21만7,650명으로 우리 기업들이 고용하고 있는 베트남 전체 종업원의 53.9%를 차지하고 있음.
한국기업 지역별 진출 및 인력고용 현황
자료원: 하노이 KTC (63개 지방정부 기획투자국, 노동국, 공단관리위원회 대상 조사, 종합) 주: Binh Duong, Ba Ria-Vung Tau, Ben Tre성의 2009년 6월말 기준 고용인력 수는 최근 수치 부재로 2008년도 수치 적용
□ 2008년 우리 기업 투자 동향
ㅇ 2009년 우리기업의 대 베트남 투자는 9월까지 대 베트남 투자는 133건, 13.5억 달러로 전년에 비해 투자 관심도가 회복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연간 투자 순위도 지난해 10위에서 4위로 상승함
ㅇ 누계기준으로도 지난해의 4위에 비해 다소 상승하여 대만에 이어 2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말레이시아, 일본, 싱가포르 등이 그 뒤를 잇고 있음
ㅇ 투자프로젝트당 평균 투자자본은 10.2백만달러로 지난해의 6.1백만달러에 비해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며 올해 투자가 대규모의 신도시 및 건설프로젝트 위주로 이루어진 데 기인함
최근 한국기업의 대베트남 투자현황 (단위: 건, 백만달러)
자료원 : 베트남 기획투자부
□ 전망 및 시사점
ㅇ 한국 기업들의 베트남 진출이 지난해에는 다소 위축되었으나 올해 OECD 국가 중 가장 빠른 경제회복으로 인해 베트남에 대한 투자 역시 다른 국가에 비해 회복 속도가 빠르며 베트남 경제사회 발전에 대한 기여도도 높아 투자진출 기업 수면에서나 고용인력 수에서 외국인 투자국 중 최대임
ㅇ 한국 기업들의 진출지역에 대한 편중도는 조금씩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신규 진출이 분야별로는 노동집약적 산업보다는 기술집약적인 산업으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 기업들이 중국으로부터의 원부자재 조달이 용이한 북부지역을 선호하는데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ㅇ 한국투자기업들은 투자기업 수나 고용인력 수 면에서 베트남 경제에 기여도가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투자 및 경영환경 개선을 위한 압력단체로서의 역할은 매우 미흡한 상황으로, 향후 우리기업들의 협의체 또는 연합회 등이 Amcham이나 Eurocham과 같이 베트남 정부에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조직과 적극적인 활동이 필요함
정보원: 하노이 KTC (63개 지방정부 기획투자국, 노동국, 공단관리위원회 대상 조사, 종합), 베트남 통계청, 베트남 기획투자부 |
하노이 동아인 현 6개 지역 개발에 참여할 투자자 모집
하노이시는 동시의 행정구 중 하나, 동아인(Đông Anh)현의 6개의 에리어에서 진행하는 개발 사업에 투자할 투자자를 모집하고 있다. 동시는 2025년까지 인프라에 ...
베트남 호텔 숙박 시장 동향 전망, 호치민시 요금 인상
2022년 말 호치민 시내 호텔 숙박 요금은 1박 평균 180만VND로 2022년 3분기 대비 9%, 2021년 대비 21% 상승했다. 세빌스 베트남사의 호텔 시장 조사 보고서에 의...
지정학적 긴장과 함께 비용 상승으로 세계의 대기업들은 대체 생산 거점을 찾아야 하고, 베트남 호조의 경제 상황이 유럽 기업들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베트남...
외국과의 직업훈련 제휴에 관한 새로운 시행령, 정치나 종교를 포함한 커리큘럼 금지
베트남 정부는 6일 직업훈련 분야에서의 투자·활동 조건에 관한 규정을 개정·보충하는 시행령 제24호/2022/ND-CP를 공포했다. 동시행령은 6월 1일에 시행된다. 시...
코로나에 의한 부품 공급망 차단 등으로.. 일본 기업이 최근 베트남의 주변산업이 가진 기술과 제품에 주목하고 있다. 신형 코로나바이러스의 세계적 감염 확대로...
베트남 외국인 투자 규제 및 제한 사업 명확하게 작성 리스트 공표
베트남 정부는 3월 말 2021년 1월 1일부로 시행 된 투자법(2020 년판)의 일부에 대해 안내하는 시행령 제 31 호 / 2021 / ND-CP를 공포하여 동 시행령은 즉시 시...
베트남 개발 서두르는 6개 도시의 '스마트 시티' 계획
과학 기술에 의해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인더스트리 4.0' 시대의 세계적인 추세가 되고있다. 사진 ㊤ = 최신 스마트 시티 기술 전시회를 시찰하는 Nguyễn X...
EVFTA 1 일부로 발효, 유럽 시장 진출의 과제는 규정 준수
지난 1일 유럽 연합(EU)과 베트남 간의 자유 무역 협정(EVFTA)이 발효되었다. 관세 인하 등의 혜택을 받는 베트남 기업들은 새로운 제품 수출의 큰 기회가 될 수 ...
해외 기업들 베트남 유통 시장 진출 모색, EVFTA 등에 힘입어
1800억 달러 규모를 자랑하며, 매년 두 자리 성장률을 자랑하는 베트남 소매 시장의 호조에 주목하고 투자 및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는 해외 기업들이 늘고있다. ...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EU-베트남 FTA 발효 코앞, 진출기업 준비 사항은? 2020-06-22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국회 6월 8일 EVFTA 비준 완료 - - 2012년 6월 협상 개시 이...
포스트 코로나를 대처하는 베트남의 자세 2020-06-19 윤보나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EVFTA로 수출과 투자 활로 확대 기대 - - IT 인프라 및 노동자 양성,...
제14기 (2016 ~ 2021년) 제9회 국회는 8일 오전 베트남 EU 자유 무역 협정 (EVFTA)의 비준에 관한 결의를 94.62 %의 찬성 다수로 채택했다. 또한, 베트남 EU 투자...
최근 한국의 베트남 투자 동향 2020-01-28 유상철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유통, 서비스 등 투자분야 다각화 - - 10만 달러 미만 소규모 투자 프로젝트 증가 - (참...
베트남 수입 통관 시 까다로운 FTA 적용 절차 2020-01-23 박주희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베트남 세계 주요 시장과 FTA 협정 체결로 FTA 활용 허브로 역할 증대 기...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중고기계 수입법 개정안 발표 2019-05-07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여전히 까다로운 수입요건, 베트남 정부는 낙후 기계 대량 유입 우려 - - 발효 전...
베트남 : 전자 상거래, 2020 년까지 100 억 달러의 수익 전망
2020 년까지 베트남의 전자 상거래는 100 억 달러의 수익에 도달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전자 상거래는 소규모의 베트남 기업도 소액 자금으로 모든 국가에 제...
[KOTRA]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CPTPP 발효, 베트남이 주목하는 것은? 2019-02-15 이주현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 CPTPP 조항 따라 법ㆍ제도 선진화 및 글로벌 공급망 참여 기대 - - 원산지 포탈 ...
베트남의 전자 지갑 시장에 모이는 해외 기업의 뜨거운 시선, 소비자들도 편리성에 주목
베트남 정부는 2020년까지 현금 결제를 전 결제 거래의 약 10%이하까지 줄이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성장의 여지가 크다고 예측되는 전자 대금 결제와 계좌인 ...
다낭시 제1분기 외국인 관광객 59%증가 FDI도 약진 , 다낭 시장이 밝혀
다낭시 인민 위원회 Huỳnh Đức Thơ 시장은 최근 기자 회견을 갖고(사진 ㊤) 동시의 제1분기의 관광객 수가 169만 700명 (전년 동기 대비 34.7%증가)으로, 2018년 ...